가족친화 7년차 중소기업이 말하는 일·생활 균형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비회원
  • 0
  • 26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1

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은 1() 오전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부뜰정보시스템을 방문하여 기업 근로자를 격려하고, 가족친화제도 운영에 대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였다.

 

 

㈜부뜰정보시스템은 정보통신 컴퓨터통신관리(CTMS)* 분야 중소기업으로 2017년 가족친화기업으로 인증을 받았고,

* Computer Telephony Management System

 

ㅇ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근무 및 출산전후휴가 운영, 해외 휴양시설 무료제공 등 가족친화제도 운영 및 일·생활 균형을 위한 조직문화 개선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2022년 가족친화 우수기업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 ㈜부뜰정보시스템 가족친화제도 추진내용 >

 

?임신·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도입·운영

? 육아휴직 사용 적극 장려

? 출산축하금 30만원 지원 및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의무화

? 자녀 학자금(학자금의 50%) 지원

? 해외 휴양시설(베트남 호치민 소재) 직원 무료 제공

 

가족친화인증제’근로자가 일?가정생활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과 공공기관에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2008년 도입된 이후 지난해까지 5,415개 기업(관)이 지정되었다.

 

ㅇ 올해는 2,476개사가 신규인증, 유효기간 연장, 재인증을 신청하여 인증심사를 진행하였으며,

 

ㅇ 오는 19일(화) 서울 종로구 에이치더블유(HW) 컨벤션센터에서 ‘2023년 가족친화인증서 및 정부포상 수여식’을 열고 신규 인증기업과 가족친화 최고기업?우수기업을 격려할 예정이다.

 

이기순 차관은 기업 내 청년근로자, 육아기 부모, 가족친화제도 운영 담당자만나 중소기업 가족친화 경영 일·생활 균형제도 운영에 대한 애로사항 등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ㅇ 간담회에 참석한 직원들은 “아이들이 어릴 때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이용하여 자녀를 양육했고, 현재는 시차출퇴근제를 활용 중으로 중소기업도 일·가정양립이 가능하다는 것이 많이 알려지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배우자 출산휴가의 경우 분할 횟수나 사용기한을 유연하게 운영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은 “청년세대는 함께 일하면서 아이를 키울 수 있는 가족 친화적인 기업 선호하여, 가족친화제도를 적극적으로 운영하는 기업들에 젊은 인재들이 모일 수밖에 없다.”라며,

 

족친화 직장문화 지지하는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될 수 있도록 가족친화 인증기업을 확대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확산 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1. 현장방문 개요



(여성가족부, 2023.12.0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2889&pageIndex=10&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11&endDate=2023-12-1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15 청정수소 인증제 글로벌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2
2114 지자체와 지역 에너지 산업 활성화 방안을 공유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97
2113 겨울철 건설현장 양생작업 중 3대 안전보건 수칙 준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8
2112 자립준비청년의 일을 통한 자립,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가 함께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99
2111 ‘성폭력 없는 안전한 캠퍼스’, 우리가 만들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9
2110 국가 공공 교육기관 91.4%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80
2109 어린이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범정부가 함께 노력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9
2108 탄소국경조정제도 적용받는 철강제품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해설서 보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73
2107 노후상수도 정비로 수돗물 654억 원 아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402
2106 신속한 재난 피해 지원으로 실질적 복구 지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72
2105 과학기반 기후위기 적응정보 제공 누리집 개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2
2104 복권위원회, 따뜻한 겨울나기 ‘사랑의 연탄 배달’ 봉사 비회원 2023-12-26 355
2103 “그동안 고마웠어, 그리고 안녕.” 녹색여권, 국민들의 주머니 사정을 헤아리고 역사가 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64
2102 대기·수질 측정대행업체 302곳 이행능력평가… 상위등급 3년 연속 향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69
2101 국가 전체 환경보호 활동 지속 증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9
2100 외교부, 지방 민생 활성화를 위한 외교적 지원 강화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40
2099 한파 취약계층의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나기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13
2098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제공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7
2097 미세먼지 고농도 대비 공공사업장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10
2096 차량용 요소수 재고 7개월 이상으로 증가 전망 전국 요소수 판매량 감소 추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