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친화 7년차 중소기업이 말하는 일·생활 균형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비회원
  • 0
  • 25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1

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은 1() 오전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부뜰정보시스템을 방문하여 기업 근로자를 격려하고, 가족친화제도 운영에 대한 현장 의견을 수렴하였다.

 

 

㈜부뜰정보시스템은 정보통신 컴퓨터통신관리(CTMS)* 분야 중소기업으로 2017년 가족친화기업으로 인증을 받았고,

* Computer Telephony Management System

 

ㅇ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근무 및 출산전후휴가 운영, 해외 휴양시설 무료제공 등 가족친화제도 운영 및 일·생활 균형을 위한 조직문화 개선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2022년 가족친화 우수기업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 ㈜부뜰정보시스템 가족친화제도 추진내용 >

 

?임신·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도입·운영

? 육아휴직 사용 적극 장려

? 출산축하금 30만원 지원 및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의무화

? 자녀 학자금(학자금의 50%) 지원

? 해외 휴양시설(베트남 호치민 소재) 직원 무료 제공

 

가족친화인증제’근로자가 일?가정생활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기업과 공공기관에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로 2008년 도입된 이후 지난해까지 5,415개 기업(관)이 지정되었다.

 

ㅇ 올해는 2,476개사가 신규인증, 유효기간 연장, 재인증을 신청하여 인증심사를 진행하였으며,

 

ㅇ 오는 19일(화) 서울 종로구 에이치더블유(HW) 컨벤션센터에서 ‘2023년 가족친화인증서 및 정부포상 수여식’을 열고 신규 인증기업과 가족친화 최고기업?우수기업을 격려할 예정이다.

 

이기순 차관은 기업 내 청년근로자, 육아기 부모, 가족친화제도 운영 담당자만나 중소기업 가족친화 경영 일·생활 균형제도 운영에 대한 애로사항 등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ㅇ 간담회에 참석한 직원들은 “아이들이 어릴 때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이용하여 자녀를 양육했고, 현재는 시차출퇴근제를 활용 중으로 중소기업도 일·가정양립이 가능하다는 것이 많이 알려지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또한, “배우자 출산휴가의 경우 분할 횟수나 사용기한을 유연하게 운영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은 “청년세대는 함께 일하면서 아이를 키울 수 있는 가족 친화적인 기업 선호하여, 가족친화제도를 적극적으로 운영하는 기업들에 젊은 인재들이 모일 수밖에 없다.”라며,

 

족친화 직장문화 지지하는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될 수 있도록 가족친화 인증기업을 확대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확산 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1. 현장방문 개요



(여성가족부, 2023.12.0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2889&pageIndex=10&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11&endDate=2023-12-1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49 (참고자료)한국, 제28차 기후변화총회 의장국 주도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이니셔티브에 동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9
1848 탄소중립 규범 선도와 보호주의적 기후조치 억제를 위한 ‘기후 클럽’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63
1847 민관협력 미혼 한부모 생활비 지원 대상 19세→22세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67
1846 노사 상생의 문화 확산을 위한 「2023년 일터혁신 컨퍼런스」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13
1845 국회 생생텃밭 김장나눔 행사를 통해 도시농업의 가치확산, 취약계층 나눔 실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0
1844 폴리텍, 한국마이크로소프트와 손잡고 차세대 교육 혁신 나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0
1843 농식품부,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 업체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56
1842 가족친화 7년차 중소기업이 말하는 일·생활 균형 비회원 2023-12-11 254
1841 2023년 이에스지(ESG) 경영혁신대전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343
1840 산업전환에 따른 핵심기술의 변화에, 근로자는 새로운 능력으로 역량발휘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66
1839 연안해운 중장년 고용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5
1838 소방청·고용노동부, 화학물질 정보제공 시스템 신뢰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63
1837 ‘제5차 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98
1836 구직자와 기업의 일자리 어려움 해소한 맞춤형 고용서비스 우수사례 확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81
1835 우리 업계의 폐배터리·핵심광물 분야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주요국과의 협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74
1834 환경부의 일회용품 감량 원칙은 변함없으며, 자발적 참여를 통한 감량 정책으로 전환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7
1833 수소차 보급 및 충전소 등 충전인프라 확충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64
1832 장애인고용공단, ‘국민정책디자인 우수과제 성과공유대회’ 행정안전부 장관상 수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77
1831 아동이 행복한 나라! 다시 뛰는 드림스타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28
1830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선 청소년들의 한마당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