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체불임금 91억원 적발 상습체불 사업주 등 69개사 즉시 사법처리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비회원
  • 0
  • 26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1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상습체불 의심 기업(131개소)과 12개 건설 현장에 대해 기획감독을 실시한 결과, 총 91억원이 넘는 체불임금을 적발하고 이중 69개사, 148건의 법 위반사항에 대해「즉시 사법처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획감독은 재직근로자의 경우 임금체불 피해가 있어도 사업주에 대한 신고가 어려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특히 고의 및 상습 체불에 대해서는 즉시 사법처리 하는 등 어느 때 보다 강도 높게 실시되었다. 그 결과 단일 기획감독으로는 최대규모의 체불액 적발과 사법처리로 이어졌다.

 

임금체불은 주로 정보통신업, 제조업, 병원 등에서 경영이 어렵다는 이유로 수개월에서 많게는 1년간의 임금을 상습적으로 지급하지 않거나, 사업주의 자의적 임금 지급, 노동법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많게는 수년간 각종 수당을 상습적으로 체불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주요 체불 사례 ‘붙임’ 참조

 

확인된 체불에 대해서는 사법처리와 함께 청산 계획을 제출받아 향후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등 근로자 권리구제에도 만전 기할 계획이다.

또한 고용노동부와 국토교통부간 합동으로 점검한 12개 건설현장에서는 6개 현장에서 불법 하도급과 임금 직접지급 위반을 적발하였으며, 이에 대해 사법처리 등의 조치를 취했다. * 주요 적발 사례 ‘붙임’ 참조

 

고용노동부는 이번 기획감독을 계기로 재직근로자의 임금체불 피해를 해소하고자「임금체불 익명신고센터」를 12.11.부터 12.31까지 운영하여 불시 기획감독을 강화하고, 건설현장에 대한 근로감독도 향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상습체불 사업주를 대상으로 신용제재, 정부 등 보조?지원 제한, 공공입찰 시 불이익 등 경제적 제재를 강화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과, 체불사업주의 자발적인 청산을 지원하기 위해 융자요건을 완화하는 등의 ?임금채권보장법? 개정안이 현재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주요내용 붙임2 참조

 

이정식 장관은 “임금체불은 근로자의 삶의 근간을 훼손하는 명백한 범죄행위로 어떠한 이유로도 용납할 수 없다”라고 하면서,

 

?앞으로도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임금체불을 근절해 나갈 예정이며, 아울러 체불액의 80%를 차지하는 반복?상습체불 제재를 강화하는 ?근로기준법?과, ?임금채권보장법? 개정안이번 정기국회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으며, 민생에 직결되는 법률인 만큼 국회에서도 적극적으로 검토, 통과 시켜주시기를 요청 드린다”라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2023.12.0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3129&pageIndex=9&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11&endDate=2023-12-1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35 우리 업계의 폐배터리·핵심광물 분야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한 주요국과의 협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86
1834 환경부의 일회용품 감량 원칙은 변함없으며, 자발적 참여를 통한 감량 정책으로 전환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68
1833 수소차 보급 및 충전소 등 충전인프라 확충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75
1832 장애인고용공단, ‘국민정책디자인 우수과제 성과공유대회’ 행정안전부 장관상 수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87
1831 아동이 행복한 나라! 다시 뛰는 드림스타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40
1830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선 청소년들의 한마당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303
1829 에너지 혁신기술로 무장한 에너지혁신벤처 성장 위한 투자유치 설명회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5
1828 새활용을 주제로 웹드라마 방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0
1827 부유물 감김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해역 한 눈에 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39
1826 조홍식 기후환경대사,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정상회의에 대통령 특사로 참석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69
1825 강추위에 돌봄 아동들이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현장점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315
1824 보건복지부, 복지 사각지대 발굴 현황 점검 및 현장 의견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86
1823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으로 기업의 지방투자 적극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75
1822 녹색산업 혁신 기반 조성 논의… 옴부즈만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78
1821 한파 대응 결빙 취약지역 점검, 취약계층 따뜻한 겨울나기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46
1820 노사발전재단, 주한유럽기업-고용노동부 장관 간담회 자리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36
1819 보건복지부, 일상돌봄 서비스 제공현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45
1818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다발지점 위험요소 정비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63
1817 순환경제 트렌드를 한눈에! 「2023 대한민국 순환경제 페스티벌」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2
1816 겨울철 대설·한파 대비 국민 안전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01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