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업계와 정부, 소통을 위해 한 자리에 모여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2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1

수소기업들의 투자계획을 공유하고 관련 애로 청취 및 민관 협력방안 모색을 위해 수소업계 및 정부가 한 자리에 모여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수소융합얼라이언스(H2KOREA) 주최로 12.6.(수)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개최된 ‘수소업계 송년 조찬간담회’에 참석하여 올 한해 우리 수소업계의 성과와 기업인들의 노고를 격려하며, 업계 목소리를 청취하였다.

 

간담회에는 수소 생산(롯데케미칼, SK E&S, 효성 등), 유통(에어리퀴드, 에어프로덕츠), 활용(현대차, 현대로템, 두산퓨얼셀 등), 설비·기자재(두산에너빌리티, 일진하이솔루스 등) 등 국내 수소 생태계 주요 기업ㆍ기관 등 총 30개 사가 참여하였다.

 

‘수소시대의 개막’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유진투자증권 한병화 애널리스트는 미국·유럽연합(EU) 등 주요국 수소정책*과 전통 석유·가스기업들의 수소 투자계획** 등을 토대로 글로벌 수소 투자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미국 :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최대 3달러/㎏H2 지원, 7개 수소허브 70억달러 지원
EU : ‘REPowerEU’에 따라 (~'25)17.5GW 수전해 설치, (~'30)재생수소 1천만톤 생산·수입 계획

** Shell, BP, Exxon 등 글로벌 석유기업들은 '30년까지 30여개(8개 기업 합계) 대규모 청정수소 생산 프로젝트 추진 예정

 

간담회 참여기업들은 청정수소 생산을 위한 경제성 및 기술 확보 등에 필요한 적극적 정책 지원과 초기산업인 수소 산업의 특성을 감안한 합리적 안전규제 적용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요청하였다.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정부는 올해 수소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여 수전해 등 6대 수소기술 연구개발 및 시설투자 관련 세제혜택을 강화하고, 수소산업 규제혁신 민관협의체를 통해 기업 투자애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 중”이라고 언급하며, “앞으로도 수소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업계와 활발히 소통하여 내년도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CHPS)의 차질없는 개설 등 청정수소 기반의 생태계 전환 및 기업투자 촉진을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

?【붙 임】 1. 수소업계 송년 조찬간담회 개요

2. 간담회 참석기업ㆍ기관 현황



(산업통상자원부, 2023.12.0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3530&pageIndex=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11&endDate=2023-12-1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69 청년 일경험, 올 한해 소중한 결실 한데 모아 「미래내일 일경험 콘퍼런스」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64
1868 울산 신항배후단지 친환경에너지 특화구역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2
1867 세계에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알리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2
1866 공공기관 태양광 겸직비위자, 최대 해임 등 엄정조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27
1865 수소업계와 정부, 소통을 위해 한 자리에 모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24
1864 중소벤처기업의 탄소중립(GX*)을 위한 금융권 민-관 협력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20
1863 “다시 시작하는 중장년을 응원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19
1862 고용노동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가 지역 청년 취업 여정에 동행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14
1861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4
1860 「장애인기업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59
1859 119조원 규모 공공구매 실효성 제고방안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3
1858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계기, 녹색해운 및 블루카본 관련 국제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6
1857 취약계층 따뜻한 겨울나기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790
1856 유럽연합(EU) 환경규제 대응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9
1855 현장 예방점검의 날! 근로계약서 작성은 상식입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428
1854 숨겨진 체불임금 91억원 적발 상습체불 사업주 등 69개사 즉시 사법처리 비회원 2023-12-11 249
1853 12월 4일부터 신청 시작! 「대·중소기업 안전보건 상생협력사업」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1
1852 한국형 안전문화 평가지표(KSCI) 시범 적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4
1851 (참고자료)원전 유망 협력국에 수주 활동 전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26
1850 한국 포함 전 세계 22개국, 원자력 발전 용량 3배 확대 동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