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환의 시대, 북극 협력의 새로운 길 모색한다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4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1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와 외교부(장관 박진)는 12월 10일(일)부터 12일(화)까지 3일간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국제여객터미널 5층)에서 ?제8회 북극협력주간(Arctic Partnership Week)?을 개최한다.

 

북극협력주간은 북극 관련 정책, 과학연구,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2016년부터 개최되어 온 국제 포럼으로, 매년 정부 관계자와 주한 북극권 국가 대사, 국내외 전문가, 일반 국민 등 약 1,000여 명이 참석하는 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올해 행사는 ’대전환의 시대, 북극 협력의 새로운 길(Great Transition: Navigating New Arctic)‘을 주제로 개최되며, ▲10일(일) 소통의 날(개회식 포함), ▲11일(월) 지식의 날, ▲12일(화) 지속가능의 날 등 분야를 정해 분야별 현안을 논의하고, 협력 방향을 모색한다. 일반 국민들도 관심 있는 프로그램에 참석하여 발표를 듣거나 논의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우리나라가 북극권 현안을 논의하는 정부 간 협의체인 ’북극이사회‘의 옵서버 국가 지위를 획득한 지 10주년이 되는 해로써, 정부는 첫째 날 개회식에서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북극 활동 성과와 앞으로의 비전을 소개한다. 개회식 직후에는 일본, 중국, 인도 등 다른 옵서버 국가들과 함께 앞으로 북극이사회에서 옵서버 국가의 역할을 확대하는 방향에 대해 토론할 예정이다.

 

둘째 날에는 국제북극과학위원회(IASC), 남극연구과학위원회(SCAR) 등 국제기구와 함께 극지연구 협력방향을 모색하는 ‘북극과학협력세미나’ 등 지식을 기반으로 국제적 현안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세션이 개최된다.

셋째 날에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북극항로의 연중 운항 가능성을 살펴보고 한국 기업과 북극권 국가의 기업 간 교류의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점차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체감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행사에서 북극권과 비북극권이 손을 잡고 기후변화 등 현안에 대응하며 지속가능한 내일을 만들어 갈 수 있는 희망을 발견하기를 바란다.”라며, “북극 관련 국제적 협력의 장이 될 이번 행사에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외교부가 올해로 8년째 해양수산부와 함께 북극협력주간을 공동 개최하게 된 점을 뜻깊게 생각하고, 이번 행사가 북극 이슈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법을 통해서 우리나라 북극 외교의 지평을 한층 넓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 2023.12.0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3838&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11&endDate=2023-12-1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282 폐기물처리시설 사후관리로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체계 구축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65
2281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울산 지역 탄소중립 기술혁신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21
2280 2024년 장애인고용공단 사업설명회 성료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61
2279 산업 현장에서 기업과 함께 석유화학 무역장벽 대응해법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22
2278 설 연휴 기간 환경오염행위 특별 감시·단속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06
2277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지원, 올해도 이어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49
2276 올해 우수재활용제품과 재제조 친환경제품 인증사업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33
2275 민관협력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으로 나아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30
2274 건설근로자공제회, 「통합시스템 구축 용역」 본격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09
2273 ‘일하다 아프면 맘 편히 몸 편히’ 상병수당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4
2272 올해 친환경선박 전환에 2,422억 원 투입, 온실가스 배출 규제 적극 대응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82
2271 사회약자 보호, 경제활력 제고 위해 노인일자리 등 신속집행 당부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4
2270 생분해성수지 생산 기업을 위한 국가표준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2
2269 우리땅 우리생물의 공식기록, 국가생물종목록 6만여 종 달성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28
2268 미래자동차 전환기업 애로해소에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13
2267 외래생물 관리 강화를 위한 생물다양성법 하위법령 개정·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2
2266 미인증 배출가스저감장치 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00
2265 장애인 요금감면, 온라인으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6
2264 동절기 광산안전 특별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88
2263 산업단지 디지털화, 저탄소화를 위해 향후 4년간 총 2,010억원 국비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