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혁신 확산을 위한 성과공유회 개최

담당부서 : 중소벤처기업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6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1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성과 확산을 위해 7일 서울 제이더블유(JW)메리어트 동대문 스퀘어에서 ?2023 민관협력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성과공유회?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년 96억원의 예산으로 87개 협업 창업기업(스타트업)을 지원 중인 ‘민관협력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사업은 대기업과 창업기업(스타트업)간 협업수요를 발굴·연결하고, 정부의 후속 연계 지원을 통해 기업간 개방형 혁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상생협력 사업이다.

 

이번 행사는 1부 개막식과 창업기업(스타트업) 관계자 시상에 이어 2부에서는 우수 협업사례 발표 등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성과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었다.

 

1부 정부와 민간기업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개막행사에서는 우수 협업 창업기업과 대기업 등 37개사* 대한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표창 및 상장 시상과 민관협력을 통한 개방형 혁신을 의미하는 세리머니 등을 진행하였다.

 

* 선정 창업기업(스타트업)은 협업사업화자금 최대 1억원과 상담(멘토링), 기술개발사업(R&D) 후속 연계지원

 

또한, 신산업 분야에서 개방형 혁신을 통한 성장잠재력이 우수한 창업기업(스타트업)을 발굴하는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도전잇기(챌린지)*’에 선정된 기업에 대한 시상식도 함께 개최하였다.

 

* 유인책(인센티브) : ’24년 초격차 사업(프로젝트) 신청 시 우대 및 협업 자금(최대 5천만원)지원

 

이어진 2부에서는 내년부터 시범운영될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소개와 우수 협업사례(호텔롯데 롯데월드-메이아이, 무림피앤피(P&P)-유승인네이처) 발표, 대기업 및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의 강연 및 토론자(패널)대화(토크) 등이 마련되었다.

 

특히, 우수 협업사례 발표에서는 협업과정에서 있었던 애로사항과 극복 비법(노하우) 등을 공유하면서 참관객들의 많은 공감을 얻었다.

 

이번 성과공유회에 참여한 중소벤처기업부 임정욱 창업벤처혁신실장은 “이제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은 대기업-창업기업(스타트업) 간 동반성장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라며,

 

“중소벤처기업부는 앞으로도 대기업과 창업기업(스타트업)이 한 조(원팀)를 이루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상생협업 생태계 조성에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

(중소벤처기업부, 2023.12.07)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3937&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11&endDate=2023-12-1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15 이차전지산업 폐수 적정하게 처리한다… 민관 합동기술지원반 발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8
2014 더 똑똑해진 CCTV와 119 신고 시스템으로 시민안전 지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7
2013 환경영향평가 제도 합리화하여 현장의 불편?부담 해소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0
2012 생물다양성 보전과 이용의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5년간 전략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2
2011 지속가능한 순환경제사회로 본격 전환… 순환경제사회법 하위법령 개정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6
2010 환경부, 녹색전환이니셔티브(GTI) 특별총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9
2009 보건복지부와 의료계, 불법 의료광고 집중 단속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5
2008 전국재해구호협회 채용절차 위반·성금 부정사용 등 확인 결과 통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2
2007 뮤지컬을 만든 주민들, 귀향 팝업스토어를 만든 청년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0
2006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장을 찾은 행안부와 17개 시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5
2005 요소 추가 수입계약으로 4.3개월분 물량 확보... 공급망 위험(리스크) 대응 본격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58
2004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위기 “관심” 단계 발령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8
2003 우울증, 디지털 기술로 편리하게 돌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0
2002 화학사고로 인한 주민 건강영향조사 10년간의 경험, 세계에 알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5
2001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실현하는 관광 미래전략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9
2000 미세먼지법 등 5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53
1999 장기요양 재가수급자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 지원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41
1998 하천사업 추진시 환경영향을 충실히 검토하여 진행할 계획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4
1997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유엔개발계획(UNDP)과의 전략적 협력 강화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6
1996 2023년 장애인복지사업 우수지자체·유공자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