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규범 선도와 보호주의적 기후조치 억제를 위한 ‘기후 클럽’ 출범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3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8

두바이에서 개최 중인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11.30-12.12) 계기기후 클럽(Climate Club)이 우리나라 조홍식 대통령 특사숄츠 독일 총리, 폰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12.1() 공식 출범을 선언하였다.

 

 * 2022년 1월 G7 정상회의 계기 독일이 제안한 협력체이며, 우리나라는 2023년 5월 G7 정상회의에서 기후 클럽 참여 의사를 공식 표명

 

  ‘기후 클럽*’은 파리협정의 효과적인 이행과 글로벌 탄소중립 달성을 가속화하기 위한 협의체로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36개의 선진국과 개도국이 참여중이다.

 

 *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 임시사무국 역할을 수행중이며추후 공식 사무국 출범 예정

 

 * 창립 회원국은 우리나라, G7(독일, 미국영국이탈리아일본캐나다프랑스), 칠레인도네시아카자흐스탄케냐모로코, EU 등 총 33개국 (www.climate-club.org)

 

  특히동 협의체는 전 세계 에너지 체계 내 탄소 배출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부문에서의 탈탄소화를 중점 추진중이며산업공정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저탄소 기술개발 촉진상호인정국제표준 형성 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우리 정부 및 업계가 중점 추진 중인 무탄소연합(CFA: Carbon Free Alliance)과도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다.

 

  아울러기후 클럽이 구축을 제안한 ‘매칭 플랫폼*’을 활용해 산업 탈탄소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개도국의 수요와 다양한 정부국제기구민간의 지원을 중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선진-개도국 간의 협력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며우리 기업들이 새롭게 확대되는 청정경제 시장에서 사업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후 클럽은 국제기구(유엔산업개발기구), 민간기업(LeadIT )과의 협력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산업 부문 탈탄소화에 대한 재원 및 기술 지원 프로젝트 구상 발표

 

  또한기후클럽은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감축 정책 확산을 위해 국제사회의 여타 감축 논의와 연계하여 기후행동을 가속화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나아가서는 동 협의체를 통해 회원국이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고각국의 탄소중립 정책을 조율하면서표준에 대한 국제적 합의를 구축함으로써개별 국가의 일방적인 환경정책 도입에 따른 보호무역주의적 조치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외교부, 2023.12.0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3013&pageIndex=2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01&endDate=2023-12-17&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35 2021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8
2034 발달장애인 돌봄지원 강화를 위한 우수사례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44
2033 토사재해 원인분석 및 인명피해 방지대책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1
2032 2023년 지역복지사업 평가 우수기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1
2031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추진현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1
2030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폐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7
2029 보건복지부, 홀몸 어르신에 요구르트 전달하며 안부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9
2028 소상공인 민생부담 완화를 위한 「혁신금융서비스(‘셀러월렛 빠른정산’ 서비스) 업무 협약식」 참석·격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9
2027 연탄나눔으로 사랑의 온기를 더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0
2026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및 사용 후 배터리 산업생태계 체계적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3
2025 국내기업 오만 그린수소 사업 추가 진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5
2024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789개 기관, 기준배출량 대비 29.4% 감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8
2023 취약계층 보호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국가 미래상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8
2022 사회서비스제공기관 10곳 중 6곳(59.4%) 10인 미만 사업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9
2021 국민 누구나 필요할 때 누리는 질 높은 사회서비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0
2020 성공적인 복지국가 이행 위한 범정부 5개년 전략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6
2019 일하는 저소득층 자립 돕는 자활 장인 이야기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3
2018 근로자 건강이 곧 기업 경쟁력! 2023년 27개 건강친화기업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1
2017 보건복지부, 종교시설과 지역사회 협업 통한 돌봄시설 확충 사례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1
2016 지속가능 경영과 녹색금융 빛냈다… 2023년 녹색경영·금융 우수기업 시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