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제7차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포럼 개최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3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18

외교부는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제7차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이하 GPEDC) 포럼을 12.5.(화)-6.(수) 간 서울 롯데호텔에서 개최하였다.

  ※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Effective Development Co-operation): 2011년 부산세계개발원조총회 결과로 2012.6월 출범한 포용적 개발협력 협의체로, 공여국, 수원국, 국제기구, 시민사회, 비정부기관 등 다양한 개발주체를 포괄

  ‘지속가능 발전을 향한 더 나은 공조개발효과성 강화’를 로 개최된이번 포럼에는 우간다인도네시아스웨덴시에라리온우간다보디아필리핀콩고민주공화국 등 6개국의 개발협력 담당 기관 장·급 인사를 포함하여 공여국 및 수원국 정부민사회국제기구재단학계 등 전 세계의 개발협력 관련 인사 약 250여 명이 참석하였다. 

  참석자들은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해 개발협력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치적 동력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는 에 의견을 같이하△현지주도개발 △시민사회역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민간참여 △남남협력 △현장에서의 협력 등 개발협력 효과성 증진을 위한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개발효과성: 원조를 넘어 국내재원 활용, 민관협력, 남남협력 등 다양한 개발협력 활동의 효과성 제고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실질적인 발전을 도모한다는 통합적 개념

  원도연 개발협력 국장은 환영사에서 글로벌 복합위기로 SDGs 달성이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어느 한 국가만의 노력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다양한 개발협력 주체들 간의 포괄적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개회사에서 주디스 수민와 툴루카(Judith Suminwa Tuluka) 콩고민주공화국 기획부 장관은 지속가능하며 포용적인 미래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접근 방식(holistic approach)이 중요하다면서금번 포럼에서의 논의 결과를 모든 개발주체가 정책 및 프로젝트 등을 통해 실질적인 행동으로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금번 제7차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포럼은 국제사회의 개발효과성 논의 성과와 도전과제를 점검하고, 수원국 개발협력 현장에서 효과적인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글로벌 개발협력 주체 간 논의의 장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  끝.


(외교부, 2023.12.0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3634&pageIndex=17&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01&endDate=2023-12-17&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75 보건복지부, 2023년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 성과공유회 열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24
2074 환경부, 중소기업 성장 저해하는 민생 환경규제 살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26
2073 기부금품, 상세한 사용 내역 투명하게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90
2072 제10차 「그린라운드테이블」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94
2071 지역경제 활성화! 기업과 정부가 한자리에 모여 해법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6
2070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 전환과 기업투자 본격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92
2069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 전환과 기업투자 본격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76
2068 보건복지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추진현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65
2067 제주도에 보관 중인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하여 유가금속 회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91
2066 지역완결형 의료의 버팀목, 병원을 튼튼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5
2065 공유재산, 찾아가는 지원으로 빈틈없이 관리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4
2064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시대, 「재난관리 분야 한일협력」 강화 도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77
2063 한파 대비 취약계층 특별보호대책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2
2062 내년 공공기관 청년인턴을 총 2.2만명 채용하고 6개월 인턴도 1만명 수준으로 대폭 확대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77
2061 기후위기 적응대책, 국민체감도 높인다… 제3기 국민평가단 발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4
2060 겨울철 대비 재해구호물자 비축 상황, 이재민 임시조립주택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3
2059 보건복지부, 필수의료 살리기 위한 비급여 관리 대책 등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5
2058 보건복지부, 한파 대비 취약노인 보호 추진현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3
2057 환경부-대한상의,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환경규제 혁신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2
2056 재난안전 장기교육과정 수료생 16명, 지역 재난안전 관리를 위해 고향 앞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