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 분야 성과 공유 및 향후 정책방향 논의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6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0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 이하 산업부)와 한국집단에너지협회, 한국열병합발전협회, 한국에너지공단은 집단에너지사업들과 12.14.(목) 인터컨티넨탈 코엑스에서 ?2023 집단에너지의 날? 행사를 개최하였다.

 

이날 집단에너지의 날은 집단에너지사업법이 제정된 1991.12.14를 기념하여 최초로 개최되는 행사로, 집단에너지업계 대표, 산학연 전문가 등 100여 명이 함께하였고, 산업부에서는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이 참석하였다.

 

우선, 집단에너지사업 발전에 이바지한 유공자에 포상이 있었으며, 참석자들은 집단에너지 발전을 위한 특강(서울과학기술대 유승훈 교수)을 통해 금년 한해 집단에너지 분야의 성과*를 공유하였다.

 

* 집단에너지 보급 주택 확대(352만호 → 368만호), 수도권 열수송관 지리정보시스템 구축 완료(총 8,486km), 집중안전점검 및 동절기 특별점검 실시로 선제적 안전사고 예방, 드론 활용 안전진단 시범사업 실시, 사용자시설 점검 가이드라인 마련 등

 

이어진 오찬 행사를 통해 업계와 산업부는 2024년 집단에너지 산업 발전 방향 등을 논의하면서 집단에너지 업계와 정부의 소통과 화합을 다짐하였다. 특히, 집단에너지업계는 집단에너지사업자들이 조성한 사회공헌기금을 활용한 동절기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사업을 전개해 따뜻한 겨울나기에 동참하고, 노후 열수송관 개체 등 지속적인 안전관리 강화 등에 힘쓰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관련하여 정부는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라,「제6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 계획」을 수립해 나갈 계획임을 밝혔다.

 

?한편, 이호현 에너지정책실장은 축사를 통해 “집단에너지의 날을 축하하면서, 동절기 열수송관의 안전관리를 통한 안정적인 열공급에 만전을 기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12.1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5132&pageIndex=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20&endDate=2023-12-20&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75 보건복지부, 2023년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 성과공유회 열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20
2074 환경부, 중소기업 성장 저해하는 민생 환경규제 살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22
2073 기부금품, 상세한 사용 내역 투명하게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4
2072 제10차 「그린라운드테이블」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90
2071 지역경제 활성화! 기업과 정부가 한자리에 모여 해법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2
2070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 전환과 기업투자 본격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8
2069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 전환과 기업투자 본격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72
2068 보건복지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추진현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61
2067 제주도에 보관 중인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하여 유가금속 회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7
2066 지역완결형 의료의 버팀목, 병원을 튼튼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1
2065 공유재산, 찾아가는 지원으로 빈틈없이 관리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0
2064 심각해지는 기후위기 시대, 「재난관리 분야 한일협력」 강화 도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73
2063 한파 대비 취약계층 특별보호대책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78
2062 내년 공공기관 청년인턴을 총 2.2만명 채용하고 6개월 인턴도 1만명 수준으로 대폭 확대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73
2061 기후위기 적응대책, 국민체감도 높인다… 제3기 국민평가단 발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0
2060 겨울철 대비 재해구호물자 비축 상황, 이재민 임시조립주택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99
2059 보건복지부, 필수의료 살리기 위한 비급여 관리 대책 등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1
2058 보건복지부, 한파 대비 취약노인 보호 추진현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99
2057 환경부-대한상의,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환경규제 혁신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78
2056 재난안전 장기교육과정 수료생 16명, 지역 재난안전 관리를 위해 고향 앞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