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부터 고령자까지 세대 상생을 위한 대화의 장 열리다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8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0

한국고용정보원(원장 김영중)은 12월 14일 서울 LW 컨벤션에서 ‘2023 청장년정책허브센터 성과공유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한국고용정보원 청장년정책허브센터의 연구성과 공유를 목적으로 개최되며 청년 및 중장년 노동시장 특성과 세대 상생을 주제로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과, 한국고용정보원, 청년·고령화 연구분야 전문가 등이 모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한다.


<청장년정책허브센터 성과공유 포럼>

○ 일시 및 장소: 2023. 12. 14.(목), 13:30, 서울 LW 컨벤션 호텔

○ 참석자: 고용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장, 한국고용정보원장, 청년·고령화 연구분야 전문가

○ 주요 내용: 청년 및 중장년 세대상생 사례, 중장년 협업을 통한 혁신 일자리 사례, 고령자 노동시장 특성, 일자리 퇴직 후 경력발달 연구 등


이번 포럼에서는 ‘일본의 청년 및 중장년 세대 특성과 상생협력(발제1)’을 통해 우리나라보다 앞서 고령화가 진행된 일본에서 청년과 중장년 간의 상생협력 사례가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소개하고, ‘중장년 협업을 통한 청년 혁신 일자리 사례(발제2)’에서는 우리나라의 청년과 중장년을 둘러싼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세대 상생 사례와 현장 의견을 통해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이어서 ‘고령자 노동시장 특성과 정책 과제(발제3)’에서는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와 고령자 노동시장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주요 정책 과제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베이비부머의 주된 일자리 퇴직 후 경력발달 이해(발제4)’에서는 지난 10년간의 질적 종단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경력 후기 일과 삶의 변화 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김영중 원장은 “이번 성과공유 포럼을 통해 청년과 고령자가 서로 협력하고 상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 사례와 정책적 제언을 나눌 기회가 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세대 특성을 고려한 상생협력의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와 정보 제공을 통해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준비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전했다.



붙임 : 2023 청장년정책허브센터 성과공유 포럼 일정표

?


(고용노동부, 2023.12.14)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5289&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20&endDate=2023-12-20&srchWord=&period=year

?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45 사회서비스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사항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6
1944 보건복지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종합병원협의회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8
1943 재난에 적극 대비하고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받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2
1942 저출산 대응을 위해 전문가?청년 부부와 릴레이 대화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7
1941 지하수, 숨은 가치를 찾다… 활용 방안 새롭게 조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2
1940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을 위한 비축기지 구축사업 예타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8
1939 전기차 배터리 자원순환 미래를 연다… 포항시에 자원순환 집적단지 착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307
1938 보건복지부,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24개소에 ‘사회서비스 품질인증’ 부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0
1937 사회서비스 투자 펀드, 1호 투자 기업 탄생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87
1936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대구에서 개막… 기후위기 대비 물 재해 해결책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41
1935 수도권 대기질 향상을 위한 새로운 관리체계 구축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70
1934 환경보건 협치(거버넌스) 강화 모색… 국내외 전문가 한자리에 모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0
1933 따뜻한 대한민국 ‘온기나눔 범국민 캠페인’에 참여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83
1932 ‘사회서비스 고도화 사업’ 성과 공유 및 청사진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45
1931 야생동물 보호·관리 강화… 동물원수족관법 및 야생생물법 하위법령 개정·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1
1930 2023년 어린이 환경보건 우수사례 시상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49
1929 건강한 토양, 미래를 싹 틔우다… 2023 세계 토양의 날 기념 행사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0
1928 제3회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 이행 우수사례… 기업 6곳, 지자체 2곳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2
1927 한국, 일본·중국과 보건의료 분야 국제 공조 의지 다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42
1926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매연 뿜는 자동차 집중단속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