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찾은 일상, 근로복지공단이 전하는 산재근로자 장해극복 감동 스토리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9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0

근로복지공단(이사장 박종길)은 산재근로자 재활성공사례 공유를 통해 보다 나은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23.12.15.「산재근로자 재활우수사례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표회에는 공단 소속 전국 13개 병·의원 원장을 포함한 직원 100여 명이 참여했으며, 뇌출혈로 쓰러진 근로자, 롤러에 손이 말려 들어가 수지절단 손상을 입은 근로자 등이 공단 직영병원의 전문재활치료와 직장복귀지원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좌절을 극복하고 다시 직장에 복귀한 감동적인 사연들이 우수사례로 소개되었다.


재활우수사례로 선정된 산재근로자 ㄱ 씨의 경우 2022년 11월 스티로폼 천공 작업 중 뇌출혈로 의식을 잃고 쓰러졌으나 이후 근로복지공단 순천병원에서 재활의학과전문의, 간호사, 물리치료사 등이 참여하는 재활치료계획에 따라 맞춤형 집중재활과 작업능력강화훈련을 거쳐 2023년 8월 원래 근무하던 직장에 성공적으로 복귀할 수 있었다.


ㄱ 씨는 갑작스런 사고로 막막했는데 근로복지공단 병원에서 재활치료와 심리상담을 받고 회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고 직장복귀를 위한 재활훈련과정 참여를 통해 원래 일하던 직장으로 돌아갈 수 있어서 행복하다고 전했다.


또 다른 재활우수사례로 선정된 산재근로자 ㄴ 씨는 2022년 7월 제품 확인을 위해 손을 넣었다가 장갑이 롤러에 끼면서 손이 말려 들어가 수지절단 손상을 입었으나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에서 맞춤형 집중재활과 작업능력강화훈련을 거쳐 2023년 10월 원래 근무하던 직장에 성공적으로 복귀할 수 있었다.


ㄴ 씨는 공단 대구병원 간호사와의 전화 한 통이 직장복귀의 시작점이었다고 말하며, 일반 병원에서는 받을 수 없는 1:1 집중재활치료와 작업강화훈련은 직장 복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으로 다른 산재환자들에게도 적극 추천하고 싶다고 했다.


재활은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생긴 장해를 극복하고 다시 일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신체기능 회복을 위한 물리·작업치료 등의 의료재활”, “상담·교육 등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심리재활”, “훈련·취업지원 등을 통해 사회적 적응을 돕는 직업사회재활”로 구분된다.


아울러, 이날 행사에서는 공단 직영병원의 의료서비스 질 향상(QI)활동에 대한 우수사례 발표와 시상도 진행되었다. 적정 투약업무 수행을 위한 “FMEA(고장유형분석) 활동을 통한 투약오류 예방”,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저탄소 食으로 탄소중립 실천” 및 필라테스 등의 운동을 재활치료에 적용하는 “외래재활센터 재활스포츠 운영 활성화” 등이 우수사례로 선정되었다.


박종길 이사장은 “산재근로자의 직업·사회복귀 및 환자 안전 등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의미있는 결과물을 만들어 준 모든 직원분께 감사드린다”라며 “근로복지공단 직영병원은 산재근로자가 건강하게 사회로 복귀하여 삶과 일터를 온전히 지켜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근로복지공단은 산재근로자의 신체기능 회복과 안전한 직업복귀 지원을 위해 전국에 10개 병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산재근로자의 재활치료 접근성을 높이고자 서울·부산·광주에 3개 외래재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2024년 1월에는 태백지역 유일의 요양병원인 태백요양병원을 개원하여 돌봄이 필요한 산재근로자와 지역주민의 노인성 질환 관리 등 공공의료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 2023.12.15)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5771&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20&endDate=2023-12-20&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955 국내 최대규모의 「여수 안전체험교육장」 개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77
1954 “현장으로 나가 안전을 더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47
1953 ‘세계 식량 위기에 기여하는 케이(K)-농업’ 특집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0 282
1952 보건복지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제주지역 의료현장 의견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309
1951 「제4차 한-캐나다 개발협력 정책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91
1950 의료·돌봄 통합지원 사업 전국 확산을 위한 성과공유 및 토론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86
1949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혁신방안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8
1948 ‘국민 안전’ 최우선으로 ‘치수 정책’ 전면 쇄신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379
1947 의료취약지 주민의 건강을 지켜온 우수 보건진료소들의 운영 성과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81
1946 효과적인 개발협력을 위한 제7차 부산 글로벌 파트너십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33
1945 사회서비스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 개선 사항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4
1944 보건복지부,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종합병원협의회 의견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6
1943 재난에 적극 대비하고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받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47
1942 저출산 대응을 위해 전문가?청년 부부와 릴레이 대화 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5
1941 지하수, 숨은 가치를 찾다… 활용 방안 새롭게 조명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1
1940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을 위한 비축기지 구축사업 예타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67
1939 전기차 배터리 자원순환 미래를 연다… 포항시에 자원순환 집적단지 착공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306
1938 보건복지부,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24개소에 ‘사회서비스 품질인증’ 부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59
1937 사회서비스 투자 펀드, 1호 투자 기업 탄생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86
1936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대구에서 개막… 기후위기 대비 물 재해 해결책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8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