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행복이 기업의 경쟁력이 되는 ‘가족친화인증’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5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0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12월 19일(화) 오후 3시 서울 종로구 에이치더블유(HW)컨벤션에서 ‘2023년 가족친화인증서 및 정부포상 수여식’을 개최한다.


ㅇ 올해는 2,476개 기업이 가족친화 인증을 신청*하였으며 이중 2,183개 기업이 인증기준을 통과했다.

* 신규인증(894개), 인증 유효기간 연장(609개), 재인증(732개)


※ 가족친화기업은 신규인증(3년) 후 1회에 한하여 인증 유효기간을 연장(2년)하고, 첫 신청 후 5년 경과 시 재인증을 통해 인증을 유지함.


ㅇ 2023년 기준 가족친화 인증기업은 총 5,911개로 2022년 대비 496개 늘었으며, 이중 중소기업은 4,110개전체 인증기업69.5%차지한다.

 

〈 가족친화 인증현황〉

연도

2008

2014

2017

2021

2022

2023

14개

956개

2,802개

4,918개

5,415개

5,911개

* 대기업 668개(11.3%), 중소기업 4,110개(69.5%), 공공기관 1,133개(19.2%)

 

이날 수여식에는 ‘2023년 가족친화 우수기업’으로 선정돼 표창을 받는 18개 기업, 장기간 가족친화인증을 유지하여 민간에서 자율적으로 가족친화문화를 확산하고 있는 10개 최고기업, 신규인증기업 대표 및 임직원 등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ㅇ 또한 우수기업에 대한 표창, 최고기업 지정서, 신규기업 인증서 수여뿐만 아니라 롯데엠시시(주), 한미글로벌(주)의 우수사례 발표를 통해 각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노하우도 공유한다.

 

□ 올해 가족친화 우수기업에게는 대통령 표창(3점), 국무총리 표창(5점), 여성가족부장관 표창(10점) 총 18점이 수여된다.


ㅇ 대기업인 롯데엠시시(주)는 ?남성 의무 육아휴직(’17년~), ?주52시간 근로시간제 조기 도입(’18.11월~) ?선택적 근로시간제 및 시차출퇴근제 ?미취학자녀 양육비 지급 ?임직원 및 가족 심리상담지원 등을 실시하여 가족친화 직장문화를 조성하는데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롯데엠시시(주) [기술1팀 김OO] 저는 `20년도에 첫째를 낳고 남성 육아휴직을 한 달 동안 사용했고, 임신/출산으로 지친 배우자를 돌보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올해 둘째를 출산하면서 재차 육아휴직을 사용하였고, 힘들었지만 육아휴직 기간 동안 첫째와 평생 간직할 추억들을 쌓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아이가 자라는 만큼 아빠도 함께 성장할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ㅇ 에스케이(SK)텔레콤의 고객서비스 자회사인 ㈜서비스탑은 ?자동육아휴직 제도 ?난임치료휴가(3일→16일)제도 확대 ?매월 산부인과 진료비 및 약제비용을 지원하여 임직원의 모?부성 보호와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서비스탑(주) [경영전략본부 김OO] 저는 결혼 4년차로 2세에 대한 고민이 많던 중 회사의 난임 치료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임신에 성공했습니다. 법적으로 난임치료 휴가는 3일(유급1일/무급2일)이지만 사내규정으로 최대 16일(유급)까지 이용 할 수 있어 난임 치료에 집중할 수 있었고, 지금은 임신에 성공하여 임신기 단축근로 제도를 이용하며 회사에 다니고 있어 일과 태아에게 집중할 수 있어 좋습니다.

 

ㅇ 수출포장 전문기업인 ㈜산호수출포장은 ?육아휴직 중 육아지원금 지원 ?자녀 학자금 및 출생축하 지원금 지급으로 행복한 가정 및 일터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산호수출포장 [경영기획팀 오OO] 저희 회사는 가족 같은 분위기와 임직원들의 적극적인 배려로 출산휴가, 육아휴직, 출생축하 지원금 및 자녀 학자금 등을 지원받았습니다. 입사한 순간부터 저도 아이도 회사와 같이 성장하였고, 직장 동료들이 행복한 가정생활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 조직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 올해 가족친화 최고기업은 2009년부터 15년간 인증을 유지한 대기업, 2012년부터 12년간 인증을 유지한 중견·중소기업 10개가 지정되었으며, ‘가족친화 자율실천목표제’를 통해 법정규정을 상회한 가족친화제도를 운영 중이다.


한미글로벌(주)은 여성근로자에게 출산휴가 후, 육아휴직 3개월을 의무화하고, 의무사용기간 동안 정부지원금과의 급여차액을 월 100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이외에 자녀 1명당 육아휴직을 2년, 육아기 재택근무를 2년으로 확대 운영하고 있으며, 셋째 출산 시 특진, 넷째 출산 시 육아도우미를 1년간 지원하고 있다.


롯데쇼핑(주)은 임신기간 동안 배우자가 태아검진 시 병원에 동행할 수 있도록 ‘예비아빠 초음파 휴가’ 3일을 유급으로 지원하며, 난임 지원을 위해 난임 근로자에게 100만 원과 휴가 3일을 부여하고 난임휴직 3개월(무급)을 신설하였다.


에스케이(SK)하이닉스(주)는 배우자 출산휴가를 확대하여 법정 유급휴가일 10일에 더해 출산 자녀수*에 따라 최대 20일의 유급휴가를 지원한다. 또한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해에는 최대 3개월(무급)간 휴직을 부여한다.

* 첫째 10일, 둘째 15일, 셋째이상/다태아 20일

 

□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기업에서 가족친화경영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실천해나갈 때 작게는 기업에, 더 나아가 우리사회 전체에 가족친화 직장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다.”라며,

 

ㅇ “가족친화 인증기업일·가정 양립을 위해 노력할 때, 근로자가 안정된 미래를 꿈꾸며 결혼, 출산, 양육을 행복하게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 지고, 이는 곧 기업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붙임】1. ‘23년 가족친화인증서 및 정부포상 수여식 개요

2. 표창기업 명단

3. 가족친화 최고기업 명단



(여성가족부, 2023.12.18)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6047&pageIndex=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20&endDate=2023-12-20&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52 국립정신건강센터,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평가 ‘5년 연속 최우수기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7
2051 보건복지부, 어르신돌봄종사자 종합지원센터 방문하여 돌봄 현장의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5
2050 보건복지부, 소아의료체계 강화를 위한 현장 의견 청취 비회원 2023-12-21 338
2049 2024년 보건복지 규제혁신 과제 발굴, 지방자치단체와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4
2048 보건복지부, 의료급여 우수기관 및 유공자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1
2047 민·관이 함께하는 어르신 돌봄, ‘2023년 사랑 나눔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5
2046 자활사업이 만들어 준 더 높은 행복의 날갯짓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2
2045 2023년 탄소중립 생활 실천 국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5
2044 제8기 환경협력국 수료식… 외국 공무원 환경정책 전수로 해외진출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5
2043 소양강댐 준공 50주년 기념… 기후위기 시대, 댐 역할을 재조명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4
2042 학교 환경교육, 함께 미래를 그리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3
2041 이산화탄소 자원화 기술 혁신으로 온실가스 감축 속도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3
2040 2023 인도?태평양 지역 보건협력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2
2039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의료 성과공유를 통한 발전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8
2038 보건복지부, 보육 현장의 애로사항 청취 및 건의사항 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8
2037 환경부 장관, 야생동물 복지 공감대를 시작으로 미래세대 소통 광폭 행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9
2036 국민비서 ‘구삐’에 14종 서비스가 추가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6
2035 2021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3
2034 발달장애인 돌봄지원 강화를 위한 우수사례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8
2033 토사재해 원인분석 및 인명피해 방지대책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