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업계 친환경 지속가능 순환경제로의 전환 구심체 가동

담당부서 : 산업통상자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0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12.19.(화) 섬유패션 업계의 지속가능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산학연 논의체인 「섬유산업의 지속가능 순환경제 포럼」을 공식 발족,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글로벌 섬유패션산업은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한 섬유산업 선도국의 친환경 규제와 나이키, ZARA, H&M 등 글로벌 기업들의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제품 납품 요구 등 지속가능 순환경제로의 대전환 흐름에 직면해 있다.

 

이에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섬유패션업계로서는 변화하는 세계 섬유패션시장 참여는 물론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적극적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그간 개별 기업 차원의 순환경제 전환 노력은 있어 왔으나, 섬유패션 업계 전체를 견인하여 지속가능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추진하는 사회적 구심체가 없었다. 이에 섬유패션 업계에서는 산학연이 함께 참여하는 포럼을 발족하여 향후 섬유패션업계의 지속가능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과제를 발굴, 그 추진 방안을 집중 논의하여 해결책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번에 발족하는 포럼은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서 간사를 맡아 민간 자율 방식으로 구성ㆍ운영하면서 제도개선 사항 및 이행 과제 발굴, 시범사업 추진 등 역할을 할 계획이다. 포럼에서는 ?제도개선, ?순환생태계, ?탄소중립, ?에코디자인 등 4개 분과위원회를 운영하며 기업, 연구소, 학계, 섬유산업 스트림별 협회 등에서 100여 명이 참여한다.

 

?이용필 첨단산업정책관은 이날 포럼 출범식에서 “글로벌 섬유패션 산업이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구조로 빠르게 전환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들의 대응 역량을 하나로 모으고 이행 과제를 논의하여 실행하는 구심체로 포럼이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하면서, 포럼 운영 주체들과 긴밀히 소통하여 제언을 정책에 반영하고 섬유 업계의 노력을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2023.12.1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6181&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2-12-20&endDate=2023-12-20&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1882 중소벤처기업부, 2023년 상생결제 확산의 날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86
1881 산재 근로자 최고의 복지는 ‘보다 빠른 사회복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8
1880 중소규모 사업장, 안전일터 조성 우리도 할 수 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83
1879 개방형 혁신 확산을 위한 성과공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69
1878 ’23년 불공정거래신고센터 운영협의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9
1877 항만 내 탈탄소를 위한 기술기준 등 마련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8
1876 하천으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 줄이기 위해 관계부처-공공기관 함께 대책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320
1875 대전환의 시대, 북극 협력의 새로운 길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7
1874 전기이륜차! 충전 대기시간 없이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91
1873 이주배경청소년의 촘촘한 사회안전망 함께 만들어 가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5
1872 다양한 노무제공자를 위한 공정하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8
1871 (참고자료)수소 저장·운송 산업 생태계 기반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79
1870 새싹삼 지능형 농장(스마트팜) 통해 발달장애인과 가족의 경제적 자립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363
1869 청년 일경험, 올 한해 소중한 결실 한데 모아 「미래내일 일경험 콘퍼런스」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80
1868 울산 신항배후단지 친환경에너지 특화구역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54
1867 세계에 무탄소에너지(CFE) 이니셔티브 알리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45
1866 공공기관 태양광 겸직비위자, 최대 해임 등 엄정조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54
1865 수소업계와 정부, 소통을 위해 한 자리에 모여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9
1864 중소벤처기업의 탄소중립(GX*)을 위한 금융권 민-관 협력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32
1863 “다시 시작하는 중장년을 응원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11 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