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녹색전환이니셔티브(GTI) 특별총회 개최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1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를 계기로 12월 10일 오후 10(한국시간아랍에미리트 현지시각 오후 5)에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녹색전환이니셔티브(Green Transition Initiative, GTI) 특별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녹색전환이니셔티브는 국제기구다자개발은행과 공동으로 개발도상국의 녹색 기반시설(그린 인프라)을 개발하는 국제협력 창구(플랫폼)로 올해 3월에 출범*.

 

  * (회원국가) 한국, 인니,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필리핀, 라오스, 방글라데시
(국제기구녹색기후기금글로벌녹색성장기구국제물파트너십아시아물위원회
(다자개발은행세계은행아시아개발은행한국수출입은행

 

  이번 행사는 회원국들을 대상으로 녹색전환이니셔티브의 중장기 전략을 공유하고 아시아 지역 내에서 다양한 녹색 기반시설을 확충하기 위한 사업계획을 논의하는 등 실질적 운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환경부가 주관한 이번 행사에는 알폰소 페르디난드 주 아랍에미리트 필리핀 대사모하메드 시라지 파르와토 인도네시아 해양투자조정부 차관보세이버 호세인 초드허리 방글라데시 기후특사 등 4개 국가와 5개 기관의 고위급 인사* 들이 참여했다.

  * (국가한국인도네시아필리핀방글라데시, (다자개발은행·국제기구아시아개발은행녹색기후기금글로벌녹색성장기구글로벌물파트너십아시아물위원회

 

 

  이날 환경부는 녹색전환이니셔티브 중장기 목표 및 운영전략을 발표하며 △다양한 형태의 개발협력 사업을 수요자의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정부국제기구다자개발은행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사업규모를 대형화함으로써 녹색 기반시설 개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녹색전환이니셔티브의 비전을 공유했다.

 

  이어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수자원, 에너지대기 분야의 녹색 기반시설 사업계획을 논의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방글라데시가 신규로 참여하게 되어 회원기관이 14개로 확대되는 등 녹색전환이니셔티브의 국제 영향력을 강화하는 성과도 거두었다.

 

  * 회원기관 : 23.3(13개) → 23.12(14개)

 

  한편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내년 중 공식의장이 선출되기 전까지 대외적으로 녹색전환이니셔티브를 대표할 임시의장으로 윤석대* 아시아물위원회 회장을 이날 선임했다.

 

  * 한국수자원공사 사장(’23.6~) 및 세계물위원회 이사(’23.9~) 겸임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녹색전환이니셔티브를 통해 국제사회와 연대하여 개발도상국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겠다”라며,

“기후, 대기, 수자원, 폐기물 등 환경 분야 전반에 녹색 기반시설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국제사회의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행사 개요.

      2. 참석기관 대표.

      3. 녹색전환이니셔티브(GTI) 개요.  .


(환경부, 2023.12.11.)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4509&pageIndex=1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08&endDate=2023-12-2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92 필수약제 공급 지원을 위한 약가 인상 및 중증질환 치료제 보장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13
2091 내년부터 경로당에 냉·난방비 19만 원 추가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54
2090 2024년도 환경부 예산 및 기금 14조 3,493억 원 확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72
2089 산업계-환경부 협업… 녹색산업 수주·수출 20조 4,966억 원 달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59
2088 노인일자리 사업의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공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36
2087 한국환경보전원, 환경보전 전문 공공기관으로 새롭게 출발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64
2086 체계적인 고령화 대응을 위한 ‘고령친화도시’ 제도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57
2085 야생생물법 등 6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68
2084 자립준비청년의 일을 통한 자립,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가 함께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25
2083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부터 현장의 다양한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23
2082 소상공인을 위한 액화석유가스(LPG) 1톤 화물차 전달식…이웃들의 삶 목소리 듣다 비회원 2023-12-22 337
2081 보건복지부,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사업보고 대회 열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32
2080 노인·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연구개발 성과 교류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2
2079 환경부·사회복지공동모금회,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사업 확대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7
2078 본격적인 탄소중립 핵심 분야별 기술 개발 전략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34
2077 한중, 미세먼지 저감 등 환경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2
2076 전국 하구 668개 지점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로 한눈에 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88
2075 보건복지부, 2023년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 성과공유회 열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19
2074 환경부, 중소기업 성장 저해하는 민생 환경규제 살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19
2073 기부금품, 상세한 사용 내역 투명하게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