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지역복지사업 평가 우수기관 선정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8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1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3년 지역복지사업 평가를 통해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제공희망복지지원단 운영지역사회보장계획 등 10개 분야에서 우수한 지역복지 행정을 펼친 128(중복포함) 지방자치단체*를 우수기관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 2023년 지역복지사업 평가 우수기관 (붙임1)

 지역복지사업 10개 분야 평가결과 (붙임2)

 

  그중 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경기도충청북도 및 경상남도 등 6개 광역자치단체와 서울 성동구부산 수영구 등 11개 기초자치단체가 ‘대상’의 영광을 차지하였다.

 

< 분야별 ‘대상’ 수상 자치단체 >

 

①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제공 : (기초)부산 연제구, 경기 오산시

② 희망복지지원단 운영 : (광역)대구광역시, (기초)부산 수영구

 22년 지역사회보장계획 시행결과 (광역)인천광역시경기도(기초)경기 성남시충남 예산군부산 수영구

④ 민관협력 및 자원연계 : (기초)서울 서대문구, 광주 서구, 경남 창녕군

⑤ 사회보장급여 사후관리 : (기초)대전 서구

⑥ 사회보장 부정수급 관리 : (광역)경상남도, (기초)서울 성동구

⑦ 지역사회서비스 확충 : (광역)부산광역시

⑧ 사회서비스 품질 제고 및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 (광역)충청북도(기초)서울 성동구

⑨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 제공 : (기초)충북 진천군

⑩ 사회서비스원 운영지원 : (광역)경상남도

 

 

 

  특히 부산 연제구는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 제공 분야에서 자살시도 위기에 놓인 고위험 한부모 가정을 발굴·지원한 점에서 호평을 받았으며경기 오산시는 은둔형 외톨이 청년 1인 가구를 발굴·지원하여 대상자의 위기상황 개선에 큰 기여를 했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부산 연제구]

#1 양○○(, 42)은 부채로 인한 경졔적 어려움중증도 우울증 및 공황장애불안 등으로 반복적으로 자살 시도하였다엄마의 자살시도를 목격한 자녀도 우울증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돌봄을 받지 못하여 성장 및 학업 수행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수차례의 자살시도로 위기에 처해있던 대상자는 이웃주민의 신고로 발굴되었다민관 공동사례관리를 통해 행정복지센터 수급자 책정복지관을 통한 좋은 이웃들 연계 및 후원물품 지원사랑의 연제 리퀘스트 후원금 지원 및 생활가전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였다. 자원봉사자 등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시작하면서 삶에 대한 의지를 가지게 되었고, 부채해결 및 재정적 지원을 발판으로 삶의 활력을 되찾았다. (상세내용 별첨 사례1)

[경기 오산시]

#2 조○○(, 38)는 실직상태와 대출 채무로 낯선 사람을 경계하여 고립된 상황에 처해 있었으며경제적 어려움으로 갑상선 질환 치료를 중단하여 건강상태도 나쁜 상황이었다. 긴급생계지원 및 사례관리대상자 선정 등 공적지원 뿐만아니라 집안청소를 돕는 깔끄미사업 연계반찬 나눔 등 지역사회 후원물품을 지원하고주민관계망(편의점, 반찬가게 등)과의 관계 확대 등 지지체계 형성을 지원하였다. 또한 외로움을 이겨낼 수 있는 고독사 예방사업에 참여하고아르바이트도 시작하는 등 살아가기 위해 스스로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상세내용 별첨 사례2)

 자치단체별 우수사례 (별첨)

 

  선정된 우수기관은 장관상(대상 20, 최우수 31, 우수 72, 특별 5, 총 128)과 포상금(총 26억 원)을 받게 된다.

 

  정윤순 사회복지정책실장은 “지역주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모든 지자체의 노고에 감사드리고, 특히 지역 여건과 주민 욕구에 부합하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여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지자체에 축하드린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정부는 사회적 약자를 촘촘하게 찾아 두텁게 지원하기 위해 계속 노력해 나갈 것이며정부의 복지정책에 지자체도 함께해 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당부하였다.


(보건복지부, 2023.12.1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4885&pageIndex=1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08&endDate=2023-12-2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255 50인 미만 사업장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 정부와 공공기관이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348
2254 처치곤란 태양광 폐패널의 변신… 환경부 장관, 녹색 신산업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340
2253 식물 신품종보호 출원 13,200품종 돌파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368
2252 녹색산업 협의체(얼라이언스) 참여기업 확대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88
2251 중대재해처벌법 및 안전보건관리체계에 대한 주요 문답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392
2250 근로자 휴가비 50% 지원받고 국내여행 2배로 즐기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98
2249 건축자재 화재시험 현장점검 및 애로해소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90
2248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 대비 「긴급 전국 기관장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81
2247 저소득층 자산형성지원 내실화 위한 현장 소통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93
2246 환경정책, 청년이 만들고 이끌어간다… 제1기 환경부 2030 자문단 출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83
2245 디지털 탄소중립 전담반 출범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56
2244 커피전문점·패스트푸드점·제과업체, 자발적 일회용품 줄이기 실천 약속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88
2243 동절기 한파 대비 노인요양시설 어르신 건강 살펴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70
2242 “안 잡히면 그만?” 소액이라도 악의적인 체불사업주는 끝까지 추적하여 구속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54
2241 “취약계층 먹거리,생활용품 지원 위해 푸드뱅크와 함께 더욱 노력할 것”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76
2240 도로·지하차도 침수 사고 예방을 위해 민·관이 손잡고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95
2239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관련 브리핑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307
2238 최근 5년간 1~2월에 떨어짐 사고로 195명 사망, 한파가 와도 안전수칙을 꼭 지켜주세요 [출처] 대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293
2237 발달장애인의 행복 일터를 위한 알기 쉬운 자료 3종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317
2236 저소득 중증장애인 근로자 출·퇴근 비용 지원 월 7만 원으로 인상 한국생산성본부 2024-01-29 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