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공개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3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1

환경부 소속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센터장 성지원)는 국내 150개 기관으로부터 약 260개 기초자료를 토대로 2021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여 이를 공개했다.

 

  이번 배출량 산정 결과는 올해 11월 29일 서울스퀘어(서울 중구 소재)에서 열린 제17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정보 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쳤다.

 

  * 공동 위원장(센터장?장영기 교수), 정책지원?배출계수?활동도?검증 분과위원 총 23인으로 구성

 

  배출량 산정 결과, 2020년 대비 2021년 대기오염물질 증감량은 △초미세먼지(PM-2.5)가 1천톤(2.1%), 황산화물(SOx)이 1만 9천톤(10.6%), 질소산화물(NOx)이 4만 5천톤(4.8%) 감소했으나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1만 2천톤(1.2%), 암모니아(NH3)는 8백톤(0.3%)으로 소폭 증가했다.

 

<`16~`21년 배출량 산정결과>                  (단위: 톤/년)

구 분

PM-2.5

SOx

NOx

VOCs

NH3

2016

69,768

313,210

1,268,587

1,035,629

258,268

2017

66,974

278,990

1,211,102

1,043,644

260,804

2018

67,352

256,653

1,145,063

1,022,640

269,878

2019

61,551

236,596

1,044,713

1,011,352

268,913

2020

58,558

180,157

929,227

990,629

261,207

2021

57,317

160,993

884,454

1,002,810

262,008

증감량

(20년 대비 ’21)

1,241

(2.1%)

19,164

(10.6%)

44,774

(4.8%)

12,182

(1.2%)

801

(0.3%)

 

 

 

 

  초미세먼지(PM-2.5),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의 감소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19년 11월)’과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2020년 12월 1일~2021년 3월 31일)’ 시행 등의 감축정책*이 효과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노후석탄 발전소 가동중단배출기준강화친환경차 보급 증가선박연료 황함유량 기준 강화 등

 

  반면, 생활 부문 활동(선박?건축용 도료 사용량, 소 사육두수 등) 증가 등 사회경제 여건의 변화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암모니아(NH3)의 배출량 증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번 산정 결과는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누리집(air.go.kr)을 통해 12 14일부터 공개될 예정이며사용자 이해를 돕기 위해 개선된 배출량 산정 결과를 설명하는 보고서가 내년 3월 중으로 배포될 예정이다.

 

  성지원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장은 “노후석탄 발전소 가동중단, 배출기준강화, 선박연료 황함유량 기준 강화 등 그간 지속적인 미세먼지 관리정책 시행에 따라 대기오염배출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라며, “다만 올겨울은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정부?지자체 뿐만 아니라 산업계 및 민간에서 ‘제5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2023년 12월 1일~2024년 3월 31일’에 적극 동참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붙임  1. ‘21년 주요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결과.

      2.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및 농도 변화 비교(?16~?21).

      3. 전문용어 설명.

      4.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조사개요.  끝.


(환경부, 2023.12.13.)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4954&pageIndex=1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08&endDate=2023-12-20&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49 2024년 보건복지 규제혁신 과제 발굴, 지방자치단체와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4
2048 보건복지부, 의료급여 우수기관 및 유공자 포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0
2047 민·관이 함께하는 어르신 돌봄, ‘2023년 사랑 나눔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5
2046 자활사업이 만들어 준 더 높은 행복의 날갯짓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9
2045 2023년 탄소중립 생활 실천 국민대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4
2044 제8기 환경협력국 수료식… 외국 공무원 환경정책 전수로 해외진출 기반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4
2043 소양강댐 준공 50주년 기념… 기후위기 시대, 댐 역할을 재조명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1
2042 학교 환경교육, 함께 미래를 그리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0
2041 이산화탄소 자원화 기술 혁신으로 온실가스 감축 속도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8
2040 2023 인도?태평양 지역 보건협력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2
2039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의료 성과공유를 통한 발전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8
2038 보건복지부, 보육 현장의 애로사항 청취 및 건의사항 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8
2037 환경부 장관, 야생동물 복지 공감대를 시작으로 미래세대 소통 광폭 행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9
2036 국민비서 ‘구삐’에 14종 서비스가 추가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6
2035 2021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2
2034 발달장애인 돌봄지원 강화를 위한 우수사례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8
2033 토사재해 원인분석 및 인명피해 방지대책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2
2032 2023년 지역복지사업 평가 우수기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75
2031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추진현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5
2030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폐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