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하구 668개 지점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로 한눈에 본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9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2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최근 6년간*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하구의 다양한 생물 정보를 담은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를 물환경정보시스템(water.nier.go.kr)에 12월 20일부터 공개한다고 밝혔다.

  * 2016?2021, 국가생물측정망(하구) 자료

 

  국립환경과학원은 하구와 하천 등 전국 공공수역의 수생태계 건강성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부착돌말류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어류수변식생 등 주요 생물상을 3년 주기로 조사하고 있으며올해 초 1월에 ‘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를 공개한 바 있다.

 

  이번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에는 전국 3개 해역(동해서해남해총 35개 중권역에 위치한 하구 668개 지점의 생물 서식 현황 및 건강성 평가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는 전국 하구를 해역별로 건강성 등급을 구분하여 우리 지역 하구의 건강상태*를 누구나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 건강성 등급은 A(매우 좋음), B(좋음), C(보통), D(나쁨), E(매우 나쁨)로 구분되며생물상별로 보통 B등급 이상(강원 고성군 소재 동해 자산천전남 보성군 소재 남해 봉강천 등)은 건강성이 높다고 볼 수 있고, D등급 이하(인천 강화군 소재 서해 삼거천충남 아산시 소재 서해 밀두천 등)는 건강성이 낮다고 볼 수 있음    

 

  건강성 지도는 도표그림아이콘 등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였으며하구별 건강성 정보뿐만 아니라 멸종위기 야생생물고유종오염민감종 등 특이 생물들의 출현 현황을 알아보기 쉽게 담아냈다.

 

 

  이번에 공개된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는 국립환경과학원 누리집(nier.go.kr)과 물환경정보시스템(water.nier.go.kr)을 통해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다.

 

  김용석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장은 “이번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를 통해 많은 국민이 하구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 바다와 하천을 연결하는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정보를 국민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건강한 물환경 조성에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 하구 해역-권역별 목록.

     2. 하구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 예시.  끝.


(환경부, 2023.12.19.)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6276&pageIndex=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15&endDate=2023-12-21&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315 섬유산업 친환경 전환을 위한 비건레더 연구개발(R&D)에 286억 원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309
2314 탄소소재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K-Carbon플래그십기술개발”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308
2313 ‘하천 통해 바다로 오는 쓰레기 막자!’ 5대 주요 하천 권역별 실무협의회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94
2312 중소·영세기업을 위한 ‘손에 잡히는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영상 설명자료 유튜브 게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79
2311 유아부터 청소년까지 생물다양성교육 참가자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78
2310 선박 내 의약품 최신화하여 선원 건강 지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7
2309 시각·청각 장애인의 저작물 이용 편리하게 하고, 업무상 저작물 작성자 표시 근거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92
2308 소외된 이웃과 온기 나누고 안전한 ‘설’ 명절 준비 당부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98
2307 녹색 전환, 예비 ‘녹색 거대 신생기업(그린 유니콘)’과 함께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5
2306 설 명절 전, 취약계층 보호 방안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6
2305 산업 현장 투자 애로 해소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39
2304 여행산업 공정상생협력센터로 갑질, 불공정거래 근절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4
2303 현장점검의 날을 맞아 중소규모 사업장 대상 「산업안전 대진단」 집중안내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1
2302 과기정통부 장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점검을 하며 지역 민생도 챙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4
2301 섬유기업의 저탄소설비 교체를 도와드립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4
2300 소외된 이웃에 나눔과 기부문화 확산 실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72
2299 최중증 장애인 대상 전문서비스 도입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47
2298 우리 항만,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선도항만으로서 경쟁력 갖춰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2
2297 '24년 근로감독은 ’공정과 상식의 직장문화 정착' 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5
2296 전국의 장애인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한 장애인 치과주치의 교육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