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국경조정제도 적용받는 철강제품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해설서 보급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7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26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전환기간(2023년 10월~2025년 12월)이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철강 등 수출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돕는 해설서를 제작해 12월 27일부터 보급한다고 밝혔다.

 

  * 유럽연합이 탄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3국의 수입제품에도 유럽연합 제품과 동등하게 탄소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로, 전환기간(‘23.10~’25.12)을 거쳐 2026년부터 본격 시행 예정(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력, 수소 등 6개 품목 대상)

 

  이번 해설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경험이 없는 기업을 위해 올해 9월에 보급한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 전환기간 이행 지침서(이드라인)’와 10월부터 운영 중인 도움창구(헬프데스크)에 이어 추가로 지원하는 것이다. 

 

  해설서는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비료, 전력, 수소 등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를 적용받는 6개 품목 중에 수출비중이 가장 큰 철강편을 다루고 있다.

 

  일관제철* 및 전기로 공정 등 철강제품 생산공정별 배출량 산정방법과 절차를 그림과 사례를 들어 설명했으며, 기업 실무자들이 유사한 예시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배출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했다.

 * 제선>제강>압연 등 3단계 공정을 하나의 장소에서 이뤄지도록 하는 것

 

 환경부는 이번 철강편 해설서에 이어 내년 중에 알루미늄 등 나머지 품목에 대해서도 차례로 해설서를 제작해 보급할 예정이다.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제도 철강편 해설서는 12월 27일부터 환경부 누리집(me.go.kr)에서 전문을 내려받을 수 있다.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돕기 위해 내년에는 추가적으로 현장 진단(컨설팅)을 실시하는 등 우리나라 기업들이 해외의 제도 이행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붙임  탄소국경조정제도 철강편 해설서 목차.  끝.


(환경부, 2023.12.26.)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7507&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12-26&endDate=2023-12-26&srchWord=&period=direct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42 학교 환경교육, 함께 미래를 그리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4
2041 이산화탄소 자원화 기술 혁신으로 온실가스 감축 속도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0
2040 2023 인도?태평양 지역 보건협력 포럼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3
2039 보건복지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의료 성과공유를 통한 발전방향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98
2038 보건복지부, 보육 현장의 애로사항 청취 및 건의사항 수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8
2037 환경부 장관, 야생동물 복지 공감대를 시작으로 미래세대 소통 광폭 행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9
2036 국민비서 ‘구삐’에 14종 서비스가 추가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6
2035 2021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45
2034 발달장애인 돌봄지원 강화를 위한 우수사례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48
2033 토사재해 원인분석 및 인명피해 방지대책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5
2032 2023년 지역복지사업 평가 우수기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285
2031 보건복지부,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추진현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5
2030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폐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42
2029 보건복지부, 홀몸 어르신에 요구르트 전달하며 안부 확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4
2028 소상공인 민생부담 완화를 위한 「혁신금융서비스(‘셀러월렛 빠른정산’ 서비스) 업무 협약식」 참석·격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27
2027 연탄나눔으로 사랑의 온기를 더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17
2026 핵심광물 공급망 강화 및 사용 후 배터리 산업생태계 체계적 육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0
2025 국내기업 오만 그린수소 사업 추가 진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8
2024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789개 기관, 기준배출량 대비 29.4% 감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39
2023 취약계층 보호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복지국가 미래상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1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