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청년친화 ESG 지원사업 성과공유회 개최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6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1-05

고용노동부(차관 이성희)는 12월 21() 14시 JW메리어트 동대문 호텔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한국산업인력공단(이사장 이우영)과 함께 ‘2023년 청년친화 ESG 지원사업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

  청년친화 ESG 지원사업은 기업이 인적, 물적 자원과 전문성을 활용하여 직무훈련일경험멘토링 등 다양한 청년고용지원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면정부가 일부 비용과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CJ올리브네트웍스아모레퍼시픽카카오LG AI연구원, 알비더블유, 씨앤씨레볼루션농협중앙회 등 지난해 54개보다 20개소가 많은 74개 기업 등이 25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청년 6천 명 모집에 1만 3천여 명이 지원하여 사업에 대한 청년들의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실제 참여 인원도 지난해 3천 명보다 두 배 이상 많은 7천 5백여 명이 참여했고 수료자 대상 만족도 조사에서도 4.40점(5점 만점)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날 고용노동부는 청년 직무역량 향상에 크게 기여한 우수 프로그램 8* 대해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시상했다.

  * 엔터비즈니스 마스터 클래스(알비더블유), ABC부트캠프(유클리드소프트), 로컬파이오니어(CJ올리브네트웍스), ④리얼!웹툰!!카데미(씨앤씨레볼루션), ⑤더 이제이씨(더존비즈온), ⑥뷰티산업 인재육성 프로그램’(아모레퍼시픽), ⑦청년목수학교(바오밥목공전문학원), ⑧엘지 에이머스(LG AI연구원)

 

  성과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엔터비즈니스 마스터 클래스(알비더블유) 현직자의 멘토링 아래 16주 동안 음반 기획 및 신인 아티스트 개발 관련 직무이론 교육일경험 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청년들이 팀 단위로 음반을 직접 기획·제작함으로써 실무역량을 높일 수 있었다ABC 부트캠프’(유클리드소프트건양대산학협력단)는 대전·충청 지역 청년을 대상으로 한 소프트웨어(SW) 융합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기술배움 트랙’과 ‘기술나눔 트랙’으로 구분·운영하여 지역 청년들이 인공지능(AI) 및 소프트웨어 관련 지식과 기술을 배우고배운 지식과 기술을 지역 사회에 활용하게 하는 차별화된 전략을 높게 평가받았다.

  이번 행사에는 청년친화 ESG 지원사업에 참여하여 수기 공모전에서 입상 11명의 청년에게도 고용노동부 장관상(4)과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상(2) 및 한국산업인력공단 이사장상(5점)을 수여했다.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받은 “백하나”님은 ‘호텔 메이커 프로젝트’(롯데호텔) 참여하여 현직 강사의 직무교육과 실습 경험을 통해 취업목표를 확실히 하게 되었고팀원과 소통하며 상품을 기획하고 발표하는 팀 프로젝트를 통해 직무역량이 크게 향상되었으며취업에 대한 강한 자신감이 생겼다고 했다.

  이성희 차관은 우수기업 관계자와 청년들을 격려하고기업이 청년들에게 양질의 직무교육과 일경험 등을 제공하는 것이야말로 무엇보다도 값진 사회공헌으로 큰 흐름으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라고 강조하면서“내년에는 청년친화 ESG 지원사업과 일경험 지원사업을 통해 올해 2만 6천 명에서 4만 8천 명으로 지원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

?

(2023.12.21 고용노동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6924&pageIndex=1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1-05&endDate=2024-01-05&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095 “태어난 모든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 철저히 준비”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16
2094 침수·산불 재난위험분석 자동화 기술, 전력설비 피해 예측에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23
2093 장애인 지원, 초고령사회 대응에 앞장선 문화체육관광형 예비사회적기업 51개 신규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295
2092 필수약제 공급 지원을 위한 약가 인상 및 중증질환 치료제 보장성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20
2091 내년부터 경로당에 냉·난방비 19만 원 추가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61
2090 2024년도 환경부 예산 및 기금 14조 3,493억 원 확정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78
2089 산업계-환경부 협업… 녹색산업 수주·수출 20조 4,966억 원 달성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66
2088 노인일자리 사업의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공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43
2087 한국환경보전원, 환경보전 전문 공공기관으로 새롭게 출발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70
2086 체계적인 고령화 대응을 위한 ‘고령친화도시’ 제도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65
2085 야생생물법 등 6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75
2084 자립준비청년의 일을 통한 자립,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가 함께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32
2083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으로부터 현장의 다양한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30
2082 소상공인을 위한 액화석유가스(LPG) 1톤 화물차 전달식…이웃들의 삶 목소리 듣다 비회원 2023-12-22 344
2081 보건복지부,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사업보고 대회 열어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39
2080 노인·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연구개발 성과 교류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8
2079 환경부·사회복지공동모금회,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사업 확대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14
2078 본격적인 탄소중립 핵심 분야별 기술 개발 전략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41
2077 한중, 미세먼지 저감 등 환경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308
2076 전국 하구 668개 지점 수생태계 건강성, 지도로 한눈에 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2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