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꿈나무를 키우는 디지털새싹 캠프부터 어르신 생활밀착형 디지털 문해교육까지 모든 국민의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담당부서 : 교육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4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1-05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작년 8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하면서 희망하는 모든 국민이 디지털 역량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초중등교육부터 평생교육까지 디지털 교육을 강화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우선 초·중등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작년 겨울방학부터 현재까지 1년간 17개 시·도교육청한국과학창의재단과 함께 디지털새싹 캠를 운영해 오고 있다.

  디지털새싹 캠프는 전국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민간·공공기관이 전문적인 소프트웨어·인공지능 체험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역량을 함양하 교육 프로그램이다. 코딩인공지능데이터 등 최신 기술과 디지털 사회의 쟁(이슈) 및 디지털 융합 문제 등을 다루면서 컴퓨팅 사고력자기 주도성협업 능력 등을 기를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2023년 1월부터 현재까지 총 310개의 운영기관이 22,600여회의 프로그램을 무료로 운영하였고총 38만 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특히, 도서벽지문화배경특수아동학교밖 청소년 등 디지털 교육의 사각지대에 있는 학생들도 약 3만여 명 참여하였다.

 

  디지털새싹 캠프를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 소양컴퓨팅 사고력데이터 소양, 인공지능 소양이 향상되었으며특히 인공지능(AI) 소양 향상 효과가 뚜렷게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 경험이 없는 학생들과 읍면 지역 학생들의 컴퓨팅 고력이 크게 향상되어 사교육·지역에 따른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붙임 참조)

  대전맹학교 김○○ 교사는 “시각적 어려움으로 디지털 역량 교육에서 소되었던 아이들이 캠프를 통해 자신감을 얻었고대화 소재도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바뀌었다.”라고 말했다.

  학부모 최○○님은 “미국에 있는 조카가 코딩을 배우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부러웠는데디지털새싹 캠프 소식을 듣고 정말 반가웠다.”라며, “하교 시간이 늦어졌는데도, 아이는 오히려 즐거워했다.”라고 말했다.

  패션디자인과를 다니고 있는 고등학생 박○○양은 “나만의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어 기뻤다.”라고 말하며, “더 많은 친구들이 캠프에 참여할 수 있으면 좋겠다.”라는 소감을 전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08069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1pixel, 세로 22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0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0pixel, 세로 17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f0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6pixel, 세로 129pixel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가상현실(VR) 체험과 프로그래밍

인공지능 윤리에 대해 고민하는

인공지능(AI) 과학자 되어보기 과정

휴머노이드를 활용하여

시각장애인을 돕는 AI로봇 체험

  오는 1월부터는 2024년 겨울방학 디지털새싹 캠프 프로그램이 제공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앞으로도 민관의 역량을 결집하여 공교육 내에서 코딩, 인공지능 등 디지털 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학생들이 미래 사회의 디지털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맞춤형 디지털 교육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2020년 성인문해능력조사에 따르면 성인 비문해자의 수가 200만 명에 달하고 있고최근 일상생활에서 디지털·비대면 영역이 확대되면서 스마트폰·무인 안내기(키오스크) 사용법 등 새롭게 요구되는 문해 능력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교육부는 2006년부터 지원해 오고 있는 성인문해교육지원사업의 영역을 확대2023년 신규로 디지털 문해교육을 지원하였다.

  성인문해교육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지역 문해교육기관에 디지털 문해교육 프로그램 운영비를 지원*하는 한편하나은행맥도날드카카오 등 민간 기업과 협력하여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디지털 금융무인 안내기(키오스크) 사용누리 소통망(SNS) 활용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교재 개발 및 현장실습을 지원하였다.

   * 디지털 문해교육 프로그램 지원(69개 지자체, 89개 기관), 디지털문해 거점기관 육성(14개 지자체)

  이를 통해 2023년 약 8만여 명의 학습자를 지원하였으며어르신의 실생활 및 학습 수준을 고려한 온라인 콘텐츠 ‘모범생’* 제작?보급을 통해 자발적 학습 또한 지원하였다.

   * ?■모두를 위한 ■범국민 ■생활밀착형 공부시간35편 제작 및 유튜브 탑재가수 김수찬한국사 강사 최태성시인 김용택 등 참여

  2024년에도 디지털 문해교육을 비롯하여 사회환경 변화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문해교육 영역을 지속적으로 확대?지원해 나갈 예정이며, 문해교육기관 접근성이 낮은 지역을 대상으로 단기 집중 수업을 지원하는 ‘찾아가는 문해교육’을 실시하는 한편1차 디지털 문해능력조사’를 실시하여 18세 이상 성인의 디지털 문해능력 실태를 파악하고수준별로 필요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디지털문해교육 교과서 최종본_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42pixel, 세로 59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0a8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12pixel, 세로 69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모범생 2화.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32pixel, 세로 412pixel

맥도날드 키오스크 교과서

하나은행 디지털 금융앱 체험활동

온라인 성인문해교실 ‘모범생’

?

?

?

(2023.12.28 교육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8250&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1-05&endDate=2024-01-05&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25 ‘강제 춤 연습’ 등 직장 내 괴롭힘 의혹 ‘(주)이랜드월드’ 예외 없는 특별근로감독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49
2124 ’23년 국제장애인기능올림픽 국가대표 정부포상 수여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2
2123 강추위, 산업현장 근로자 건강관리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9
2122 2023년 청년친화 ESG 지원사업 성과공유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63
2121 프랑스 전기차 보조금 대상 차종 발표에 따른 민관합동 대응회의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63
2120 청소년 마음건강지킴이 버스가 달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44
2119 함께 키우는 즐거움, 공동육아나눔터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3
2118 고위기 청소년 마음건강 회복 위한 특화지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74
2117 유관기관 임직원 가족까지 원칙적으로 태양광 사업 금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64
2116 재사용전지 안전성검사기관 4호 지정, 배터리 재사용 시장 확대 돕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78
2115 청정수소 인증제 글로벌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78
2114 지자체와 지역 에너지 산업 활성화 방안을 공유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94
2113 겨울철 건설현장 양생작업 중 3대 안전보건 수칙 준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5
2112 자립준비청년의 일을 통한 자립,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가 함께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95
2111 ‘성폭력 없는 안전한 캠퍼스’, 우리가 만들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5
2110 국가 공공 교육기관 91.4%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76
2109 어린이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범정부가 함께 노력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5
2108 탄소국경조정제도 적용받는 철강제품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해설서 보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69
2107 노후상수도 정비로 수돗물 654억 원 아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97
2106 신속한 재난 피해 지원으로 실질적 복구 지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