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산업재해 예방조치 의무 위반494개 사업장 명단공표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3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1-08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사망재해 발생  산업재해 예방조치 의무 위반 사업장 494개소의 명단 공표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10에 따라 고용노동부 장관은 매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을 공표해야 한다.

  구체적인 공표 대상은 ?사망재해자 2명 이상 발생 사업장?사망만인율(근로자 1만 명당 산재사망자수) 동규모·동업종 평균 이상인 사업장?위험물질 누출화재 및 폭발 등 중대산업사고 발생 사업장?산재를 은폐하거나 최근 3년간 2회 이상 미보고한 사업장 등으로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확정 사업장이다.

   22년 이전 사망재해 등이 발생하여 재판에 계류 중이었던 사업장이 ’23년에 형이 확정되면 공표 대상에 포함

  공표 대상이 된 사업장과 임원에 대해서는 향후 3년간 각종 정부포상 제한된다아울러 관할 지방고용노동청에서 최고경영자(CEO)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 실시할 예정이다.

  세부 공표 기준별 주요 현황은 아래와 같다.

 ? 사망재해 2명 이상 발생 사업장 ? 11개소

  11개 공표 사업장 중 사망재해가 많은 사업장은 ㈜대평(5명 사망21)포스코건설(원청)-한라토건(하청)(4명 사망16) 등이다.

 ? 사망만인율이 높은 사업장 ? 367개소

   367개 공표 사업장 중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절반 이상(193개소, 52.6%)규모별**로는 50인 미만 사업장이 대부분(301개소, 82.0%)을 차지했다.

   * [건설업] 193개소(52.6%), [기계기구·금속·비금속 제조업] 55개소(15%), [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17개소(4.6%) 순서

  ** [50인 미만] 301개소(82%), [50~99] 27개소(7.4%), [100~299] 19개소(5.2%) 순서

 

 ? 중대산업사고 발생 사업장 ? 9개소

   중대산업사고 발생 사업장 중 사고피해가 큰 사업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명 사망·2명 부상19)LG화학 대산공장(1명 사망·2명 부상20), AGC화인테크노한국()(9명 부상21등이다.

 ? 산재 은폐 및 미보고 사업장 ? 산재은폐 0개소산재미보고 21개소

  올해 산재 은폐로 공표되는 사업장은 없으며최근 3간 2회 이상 산재 미보고 과태료 처분 받은 사업장은 ㈜미래이엔씨(미보고 6)디엘건설() 로지스코아 북천안 물류센터 신축공사(미보고 5) 등 21개소이다.

  또한사망재해 및 중대산업사고 공표 사업장  수급인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조치 의무(산안법 제63) 위반으로 처벌받은 원청 134개소 명단 함께 공표했다.

 ? ·하청 통합공표 사업장 ? 3개소

  원청의 하청에 대한 산재예방 책임 강화를 위해 시행 중인 ‘·하청 산업재해 통합관리 제도*’에 따라하청 사고사망 비중이 높은 원청 3개소의 명단도 공표했다.

   제조업철도운송업도시철도운송업전기업 중 500인 이상 사업장에 대하여‘원청과 하청을 합친 사고사망만인율’이 원청의 사고사망만인율보다 높은 원청 사업장을 공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번 명단공표를 계기로 모든 사업장에서 산업재해에 대한 경각심 높아지기를 바라며아울러 각 사업장에서는 위험성평가를 비롯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더욱 견고히 하여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해주기를 당부드린다.”라고 하면서,

  정부도 사망재해 발생 사업장에 대해 앞으로도 엄중하게 책임 묻는 한편, 자기규율 예방체계 확립 안전문화 확산 등을 통해 사망사고 감축될 수 있도록 전력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공표 명단은 관보고용노동부 홈페이지*(www.moe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보공개 → 사전정보 공표목록 → 산재예방/산재보상 →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등 공표

?

?

?

(2023.12.29 고용노동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8489&pageIndex=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1-08&endDate=2024-01-08&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95 노인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을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97
2194 “안전 운행으로 올 겨울도 따뜻하게” 배달종사자 이륜자동차 무상 점검 및 소모품 교체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417
2193 장애인고용공단-현대엘리베이터 장애인 고용 확대를 통한 ESG경영 실천 약속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83
2192 ’24년 공급망 안정화 사업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410
2191 못받던 임금, 신속히 지급받고 귀성길 가벼워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80
2190 국내·외 전문가들과 기후재난 관련 정신건강 문제 대응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86
2189 긴급복지 지원대상 늘고 지원금액 오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20
2188 노인복지주택 활성화 위한 현장 목소리 듣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19
2187 가축분뇨 에너지화로 저탄소 녹색축산업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30
2186 중소·중견기업 녹색투자 지원사업,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51
2185 문체부, 적극행정으로 장애인과 창작자 권리 보호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33
2184 최근 5년간 사다리에서 발생한 중대재해자 2백명 넘어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16
2183 전 국민의 95.1% 하수도 서비스 혜택, 11억 톤 이상의 물 재이용으로 수자원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34
2182 12월 임시국회, 중대재해처벌법 50인 미만 기업 추가 적용유예 입법 불발에 대한 정부 입장 [출처] 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26
2181 전기차 보조금 추가지급에 대한 구체적 방안은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확정·발표할 계획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21
2180 노인학대 관련 범죄자 취업제한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40
2179 장애계 신년인사회,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행하는 새해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48
2178 해운업계 「중대재해처벌법」 이행 돕기 위한 ‘20문 20답’ 제작 한국생산성본부 2024-01-12 353
2177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기업 대상으로 1,202억 원 규모 탄소중립설비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410
2176 2024년 고령자친화기업 공모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