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아동·청소년 맞춤형 지원 강화를 위한 협력방안 논의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2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1-08

□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4(오후 서울 성동구 한양대학교를 찾아 이기정 총장과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 지원을 위한 대학생 상담(멘토링확대 방안을 논의한다.

 

□ 여성가족부는 ‘24년도 다문화 아동·청소년 지원 예산을 전년대비 235억 원(151.6%) 증가한 390억 원을 편성하고,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위해 지역 가족센터와 학교·지역교육청지역대학 등과 협업을 추진 중이다. 

 

□ 이번 간담회는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학업적응을 돕고 또래 청소년과의 학력격차*를 줄이기 위한 대학생 상담자(멘토활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고등교육기관 취학률 격차 : 31%p(다문화가족 자녀 40.5%, 전체 국민 71.5%/2021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ㅇ 다문화 가족의 경우 자녀의 성장단계에 맞는 진학?입시 정보 제공과 학습 지도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며가족센터 등 다문화가족 지원 현장에서는 학령기 다문화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학교 적응기초학습진로설계 지원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ㅇ 김 장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경기도 안산 소재)에서 재학 중인 학생들이 수험생활진로계획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의 다문화 아동?청소년들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요청할 계획이다.

 

 

 

□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지역의 우수한 인재들이 다문화 아동?청소년들을 위해 자신의 경험과 노하우를 나누는 뜻깊은 일에 적극 동참해 주실 것을 부탁드린다.”라며,

 

 ㅇ “앞으로도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학습지원을 위한 지역의 다양한 기관과의 연계,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

(2024.01.03 여성가족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9203&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2,A00008,A00015,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1-08&endDate=2024-01-08&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15 청정수소 인증제 글로벌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2
2114 지자체와 지역 에너지 산업 활성화 방안을 공유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97
2113 겨울철 건설현장 양생작업 중 3대 안전보건 수칙 준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8
2112 자립준비청년의 일을 통한 자립, 고용노동부와 보건복지부가 함께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99
2111 ‘성폭력 없는 안전한 캠퍼스’, 우리가 만들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5 289
2110 국가 공공 교육기관 91.4% 장애인식개선교육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80
2109 어린이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범정부가 함께 노력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9
2108 탄소국경조정제도 적용받는 철강제품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해설서 보급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73
2107 노후상수도 정비로 수돗물 654억 원 아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402
2106 신속한 재난 피해 지원으로 실질적 복구 지원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72
2105 과학기반 기후위기 적응정보 제공 누리집 개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2
2104 복권위원회, 따뜻한 겨울나기 ‘사랑의 연탄 배달’ 봉사 비회원 2023-12-26 355
2103 “그동안 고마웠어, 그리고 안녕.” 녹색여권, 국민들의 주머니 사정을 헤아리고 역사가 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64
2102 대기·수질 측정대행업체 302곳 이행능력평가… 상위등급 3년 연속 향상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69
2101 국가 전체 환경보호 활동 지속 증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9
2100 외교부, 지방 민생 활성화를 위한 외교적 지원 강화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40
2099 한파 취약계층의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나기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13
2098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 제공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57
2097 미세먼지 고농도 대비 공공사업장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10
2096 차량용 요소수 재고 7개월 이상으로 증가 전망 전국 요소수 판매량 감소 추세 한국생산성본부 2023-12-26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