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장애예술인 안정적 활동 기반 마련한 원년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99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1-08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올해 ?장애예술인 창작물 우선구매 제도 실시?국공립 공연장?전시장 내 장애예술인 작품 정기 공연?전시 의무화, ?모두예술극장 개관, ?문체부 ‘장애인문화예술과’ 신설 등으로 장애예술인들이 예술가로서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장애예술 창작과 향유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장애예술인 창작활동 지원을 위한 제도, 공간 마련

 

  먼저 문체부는 장애예술인의 창작활동을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제도와 공간을 마련했다올해 3월부터 시행한 장애예술인 생산 창작물 우선구매 제도(이하 우선구매 제도)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 등 총 847 기관이 창작물 구매 시 전체 총액을 기준으로 3% 이상을 장애예술인이 생산한 공예, 공연, 미술품 등 창작물로 구매하도록 한 제도이다. 지난 12월 21일에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한 국공립 공연장전시장 등 총 759개 시설에서 매년 1 이상 장애예술인의 공연과 전시를 개최하도록 관련 법령 개정안을 시행해 제도를 마련했다.

 

  지난 10월 24일에는 장애인의 창작·향유  문화예술 활동 접근성을 최고 수준으로 확보한 ‘모두예술극장(서울 충정로)’을 개관하고 공간과 시설비스 등 분야에서 창작과 향유에 대한 접근성 수준을 높였다시설 측면에서는 ?전체 공간을 평평하게 하고?무대 기술 조정실에 휠체어가 들어가도록 해 장애인 근성을 높였다또한 ?활동에 제약 없는 무대를 조성하고?분장실-무대 이동로를 확보했다서비스 측면에서는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발달 및 학습장애인 등 장애 유형별로 관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극장 운영 측면에서는 하우스 매니저접근성 매니저를 두어 다양한 비스를 제공하면서 장애?비장애인이 모두가 자유롭게 이용하는 공연시설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장애인문화예술과’ 신설로 다양한 정책지원 강화,

 ’24년 장애예술인 작품 유통플랫폼 구축시각예술 분야 ‘표준전시장’ 조성

 

  문체부는 12월 29(자로 ‘장애인문화예술과’를 신설해 장애예술 책을 통합·체계적으로 관리한다주요 업무로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기본계획 수립, ?실태조사 및 통계관리, ?시설별, 장애유형별 표준서비스 개발운영?장애예술인 창작물 우선구매 제도 시행관리?장애예술인 작품의 공연·전시 정기적 실시 지원?인력양성일자리 지원 등 장애예술인 정책지원을 강화한다.

 

  2024년에는 장애예술인의 활동 지원을 더욱 강화한다. 우선구매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유통플랫폼을 구축해 장애예술인의 다양한 작품을 소개하고 홍보한다. 이를 통해 거래를 활성화하고 장기적으로 자생적인 창작 생태계 구축을 뒷받침한다. 시각예술 분야 ‘표준전시장’을 조성해 작품전시다양한 방식의 관람 서비스 제공도 지원한다.

 

  문체부 유인촌 장관은 “작년에 역대 처음 ‘장애예술인 문화예술활동 기본계획’을 수립한 데 이어 2023년은 장애예술인 정책을 다변화하고 확산한 해로 장애예술인이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원년이다.”라며 “앞으로 장애예술인들이 세계적인 경쟁력도 갖출 수 있도록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창작활동을 적극 지원하겠다문화예술을 통해 장애·비장애를 구분하지 않고 사회를 바라보도록 인식이 변화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2023.12.29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08447&pageIndex=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33,A00014,A00031,A00009,A00012,A00019&startDate=2023-01-08&endDate=2024-01-08&srchWord=&period=year

?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415 장애인 권리보장은 더하고돌봄부담은 덜어내는 약자복지 강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31
2414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참여기업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20
2413 녹색기업 맞춤형 성장펀드로 민관협업 녹색투자 모범사례 늘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19
2412 환경부-인천시, 수소버스 전환 정책 선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20
2411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촉진한다…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표시제도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16
2410 요즘 농가에서는 ‘저탄소 인증’이 인기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25
2409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및 활용(CCUS), 신산업 창출을 위해 속도 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14
2408 수소버스 보급 확대 대비 수소 수급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12
2407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위한 지역사회전환시설 운영상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195
2406 생물다양성 경영 전략 새틀 짠다… 자연자본 공시 대응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35
2405 봄철 지붕, 사다리, 나무, 이동식 비계 위에서 떨어짐 사고 증가! 중대재해 위기경보 발령! [출처] 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192
2404 민원공무원의 안전한 일터 조성에 중앙-지방이 함께 한다 비회원 2024-03-29 188
2403 함께라서 따뜻했던 겨울, 도움이 필요한 이웃 찾아나선 지자체 포상 비회원 2024-03-29 197
2402 제주에 발달장애인 맞춤형 의료서비스 거점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41
2401 기후변화 대응과 물 위기 해소를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앞장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40
2400 협력사 근로자 복지증진을 위한 대기업 노·사의 상생 노력을 정부가 응원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38
2399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더 이상 고민하지 말고 사용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14
2398 기후위기 시대, 습지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19
2397 2024년도 전기이륜차 및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보조금 지침 확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78
2396 ‘스트레스 진단·우울증 해소’ 근로복지공단이 도와 드립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