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국민의 95.1% 하수도 서비스 혜택, 11억 톤 이상의 물 재이용으로 수자원 활용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2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1-12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우리나라 하수도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22 하수도 통계(이하 하수도 통계)’를 정리해 공개했다.

 

  이번 하수도 통계는 2022년 한 해 동안의 △지자체별 하수도 보급현황, △하수처리장 및 하수관로 현황, 하수도 요금, 하수처리수 재이용 등 하수도 전반에 대한 보를 제공한다하수도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 하수도 서비스에 대한 국민 이해를 돕기 위해 매년 제공되고 있다.

 

  이번 하수도 통계 조사 결과, 2022년 기준으로 하수처리구역 내 인구는 5,005만 9천여 명으로 전년 대비 0.3%p 증가한 95.1%로 나타났다.

 

  농어촌지역* 하수도보급률은 2013년 63.7%에서 2022년 76.6%로 지난 10년간 계속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며농어촌지역과 도시지역 간 하수도보급률 격차는 2013년 31.2%p에서 2022년 20.2%p로 줄었다.

   농어촌지역 도내 군(읍?면) 668개 지역

 

  전국에 가동 중인 공공하수처리장은 총 4,397곳으로 이들 처리장이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하수 용량은 총 2,689만 8,000()이며하수관로 총 길이는 16만 8,786㎞로 나타났다.

 

 

  2022년 한 해 동안 처리된 하수의 총량은 약 73억 7,891만 톤이다이 중 15.4%인 11억 3,675만 톤의 하수를 재이용했다이는 30만 3,000여 개의 올림픽 규격 수영장의 물을 채울 수 있는 양이며 상수도로 환산하면 연간 약 8,500억 원*을 절약하는 효과와 맞먹는다하수 재이용수는 하천유지용수로 41.5%, 하수처리시설 세척수 17.3%, 공업용수 11.4% 등으로 활용됐다.

   * 2022년 전국 수돗물 톤당 평균 요금 747.8원으로 계산

 

  전국 하수도 평균 요금은 1톤당 634.7원으로 전년(602.1원) 대비 다소 가했으며특?광역시 평균 요금은 646.4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반면 ()의 평균 요금은 623.3원으로 낮은 편이었다또한전국 평균 하수처리용은 1톤당 1,392.5원으로 하수도 요금 현실화율은 45.6%로 조사됐다.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하수도 통계는 하수도 정책 추진의 기초가 되는 자료로통계를 바탕으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공공하수도 정책을 진하여 물환경 보전과 대국민 하수도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2022년 하수도 통계’는 환경부 누리집과 국가하수도정보시스템(www.hasudoinfo.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4.01.10 환경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0041&pageIndex=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1-12&endDate=2024-01-12&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71 공급망기본법 제정에 따른 공급망 대응력과 회복력 제고 기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35
2170 ’24년 문체부, 청년과 취약계층, 산업, 지역 중점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99
2169 분산된 자살예방 상담전화 1월 1일부터 ‘109’로 통합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37
2168 겨울철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 첨단장비 활용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집중 감시 비회원 2024-01-08 322
2167 ’23년 장애예술인 안정적 활동 기반 마련한 원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89
2166 ’24년도 무장애 관광 접근성과 연계성 강화할 지역 찾는다 비회원 2024-01-08 288
2165 환경부는 불법폐기물 근절을 위해 노력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76
2164 폐지수집 노인에게 노인일자리 제공 등 보건복지서비스 지원 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92
2163 기후변화에 대비한 소하천 관리 강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96
2162 환경부 장관, 미래세대와 새활용 제품 만들며 자원순환 가치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89
2161 「중대재해 취약분야 기업 지원대책」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73
2160 겨울철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 관리 실시간으로 철저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93
2159 모든 학생을 위한 마음건강 지원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25
2158 다문화 아동·청소년 맞춤형 지원 강화를 위한 협력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15
2157 산업현장 최일선에서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킨 「2023년 올해의 산업안전감독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0
2156 저탄소 녹색 축산업으로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97
2155 고교 재학 중인 한부모가족 자녀 아동양육비 중단 없이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45
2154 노동약자 보호와 노사법치 확립에 힘쓴 「2023년도 올해의 근로감독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4
2153 건설근로자 권익 보호를 위해 전자카드제 전면 확대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4
2152 고용부, 올해 기업내 자율적 유연근무 확산 적극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