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33.9%로 역대 최대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9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1-19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이하 문체부)는 대한장애인체육회와 함께 전국 등록 애인 1만 명(만 10~69)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22년 9월~’23년 8월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33.9%, 전년보다 7.3%포인트 증가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주 2회 이상(1회당 30분 이상집 밖에서 동하는 장애인 생활체육 완전 실행자* 비율로코로나19로 인해 2020년과 2021년도에는 감소했으나 2022년도에 반등, 2023년도에는 33.9%로 상승했다이는 2007년 첫 조사 이후 역대 최대 참여율로전년(26.6%)보다 7.3%인트(p) 증가한 수치다.

  최근 1년간재활치료 이외 목적, 1주일 2회 이상, 1회당 30분 이상집 밖에서 운동하는 자

 

<완전 실행자 비율 / 연도별 추이>

 

 

  행복감지수를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유형별로 살펴보면‘완전 실행자’의 행복감지수가 평균 3.33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불완전 실행자’가 평균 3.16점으로 뒤를 이었다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높은 장애인들이 그렇지 않은 장애인들보다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참여 유형별 행복감지수>

 

 

 

 주로 이용하는 운동 장소는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운동 장소는 ‘근처 야외 등산로/공원’이 47.3% 가장 많았다. 체육시설 이용률은 15.3%로 나타났으며, 체육시설 이용률이 여전히 낮은 주요 이유는 ‘혼자 운동하기 어려워서’(29.9%), ‘시간이 부족해서’(19.0%), ‘체육시설과 거리가 멀어서’(12.9%) 순으로 조사됐다.

 

<체육시설 이용률>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b68312a.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97pixel, 세로 1928pixel

 

 운동 경험자 중 37.5%가 운동 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비용 지원 선택

 

  평소 운동할 때 가장 지원받고 싶은 사항이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비용 지원’을 희망하는 목소리가 37.5%로 가장 높았다이어 ‘체육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 16.0%, ‘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 13.9%, ‘장애인용 운동용품 및 장비’ 12.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운동 시 가장 필요한 사항>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d300038.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57pixel, 세로 1914pixel

 

 운동 경험자들의 운동 참여 주요 동기는 ‘자발적 필요’가 가장 많아

 

  운동 경험자들의 운동 참여 동기는 ‘자발적으로 필요하다고 느껴서’라는 응답이 62.6%로 가장 많았으며‘가족친구 및 지인 권유’(25.3%), ‘텔레비전(TV), 라디오 등 대중매체’(10.2%), ‘인터넷’(1.1%) 순으로 조사됐다.

 

<운동 참여 동기>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d300033.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57pixel, 세로 1914pixel

 

 ’24년,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정책 계속 강화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장애인의 생활체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생활밀착형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를 확충하고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수혜 대상과 지원금을 확대하는 등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정책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 2024년 장애인 생활체육 지원 주요 내용

 - (접근성 제고) ▲ 생활밀착형 체육시설(반다비 체육센터건립 지원(신규건립지 15개소 목표), ▲ 체육시설 접근성 낙후지역 대상 ‘장애인 스포츠버스’ 운영(70개소), ▲ 학교 체육시설의 장애인 이용 개방 지원(14개소)

 -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확대 월 지원금 인상(23년 9만 5천 원→’24년 11만 원),  지원 대상 확대(23년 만 19~64세 →’24년  만 5~69),  수혜자 확대(23년 1만 4천 명→’24년 2만 명)

 -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지원) 전국 17개 시도 장애인체육회에 재가·중증·고령층 장애인 등 맞춤형 생활체육 지도를 위한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지원(1,000)

 

  ‘2023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 결과’ 보고서는 문체부 누리집(www.mcst.go.kr/주요정책/분야별정책/체육) 문화셈터(stat.mcst.go.rk),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에서 1월 말부터 내려받을 수 있다.

?

?

(2024.01.15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0584&pageIndex=1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1-19&endDate=2024-01-1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310 선박 내 의약품 최신화하여 선원 건강 지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8
2309 시각·청각 장애인의 저작물 이용 편리하게 하고, 업무상 저작물 작성자 표시 근거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83
2308 소외된 이웃과 온기 나누고 안전한 ‘설’ 명절 준비 당부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89
2307 녹색 전환, 예비 ‘녹색 거대 신생기업(그린 유니콘)’과 함께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6
2306 설 명절 전, 취약계층 보호 방안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8
2305 산업 현장 투자 애로 해소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31
2304 여행산업 공정상생협력센터로 갑질, 불공정거래 근절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46
2303 현장점검의 날을 맞아 중소규모 사업장 대상 「산업안전 대진단」 집중안내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3
2302 과기정통부 장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점검을 하며 지역 민생도 챙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46
2301 섬유기업의 저탄소설비 교체를 도와드립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5
2300 소외된 이웃에 나눔과 기부문화 확산 실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4
2299 최중증 장애인 대상 전문서비스 도입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39
2298 우리 항만,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선도항만으로서 경쟁력 갖춰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44
2297 '24년 근로감독은 ’공정과 상식의 직장문화 정착' 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7
2296 전국의 장애인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한 장애인 치과주치의 교육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42
2295 보이는 언어 ‘한국수어’, 다양한 문화 포용하며 누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7
2294 한국산업인력공단 ‘HRDK안전경영자문위원회’ 신설, 대국민 서비스 혁신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6
2293 핵심광물,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CCS), 천연가스 분야 한-호주 협력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2
2292 한-싱가포르 무탄소에너지 미래 협력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63
2291 설연휴 생활쓰레기, 한발 앞선 관리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