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33.9%로 역대 최대

담당부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0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1-19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이하 문체부)는 대한장애인체육회와 함께 전국 등록 애인 1만 명(만 10~69)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3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22년 9월~’23년 8월 기준)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도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 33.9%, 전년보다 7.3%포인트 증가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주 2회 이상(1회당 30분 이상집 밖에서 동하는 장애인 생활체육 완전 실행자* 비율로코로나19로 인해 2020년과 2021년도에는 감소했으나 2022년도에 반등, 2023년도에는 33.9%로 상승했다이는 2007년 첫 조사 이후 역대 최대 참여율로전년(26.6%)보다 7.3%인트(p) 증가한 수치다.

  최근 1년간재활치료 이외 목적, 1주일 2회 이상, 1회당 30분 이상집 밖에서 운동하는 자

 

<완전 실행자 비율 / 연도별 추이>

 

 

  행복감지수를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 유형별로 살펴보면‘완전 실행자’의 행복감지수가 평균 3.33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불완전 실행자’가 평균 3.16점으로 뒤를 이었다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높은 장애인들이 그렇지 않은 장애인들보다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 참여 유형별 행복감지수>

 

 

 

 주로 이용하는 운동 장소는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운동 장소는 ‘근처 야외 등산로/공원’이 47.3% 가장 많았다. 체육시설 이용률은 15.3%로 나타났으며, 체육시설 이용률이 여전히 낮은 주요 이유는 ‘혼자 운동하기 어려워서’(29.9%), ‘시간이 부족해서’(19.0%), ‘체육시설과 거리가 멀어서’(12.9%) 순으로 조사됐다.

 

<체육시설 이용률>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b68312a.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97pixel, 세로 1928pixel

 

 운동 경험자 중 37.5%가 운동 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비용 지원 선택

 

  평소 운동할 때 가장 지원받고 싶은 사항이 무엇인지 조사한 결과‘비용 지원’을 희망하는 목소리가 37.5%로 가장 높았다이어 ‘체육시설의 장애인 편의시설’ 16.0%, ‘장애인 생활체육 프로그램’ 13.9%, ‘장애인용 운동용품 및 장비’ 12.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운동 시 가장 필요한 사항>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d300038.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57pixel, 세로 1914pixel

 

 운동 경험자들의 운동 참여 주요 동기는 ‘자발적 필요’가 가장 많아

 

  운동 경험자들의 운동 참여 동기는 ‘자발적으로 필요하다고 느껴서’라는 응답이 62.6%로 가장 많았으며‘가족친구 및 지인 권유’(25.3%), ‘텔레비전(TV), 라디오 등 대중매체’(10.2%), ‘인터넷’(1.1%) 순으로 조사됐다.

 

<운동 참여 동기>

(단위: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d300033.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57pixel, 세로 1914pixel

 

 ’24년,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정책 계속 강화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장애인의 생활체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생활밀착형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를 확충하고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수혜 대상과 지원금을 확대하는 등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정책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 2024년 장애인 생활체육 지원 주요 내용

 - (접근성 제고) ▲ 생활밀착형 체육시설(반다비 체육센터건립 지원(신규건립지 15개소 목표), ▲ 체육시설 접근성 낙후지역 대상 ‘장애인 스포츠버스’ 운영(70개소), ▲ 학교 체육시설의 장애인 이용 개방 지원(14개소)

 - (장애인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 확대 월 지원금 인상(23년 9만 5천 원→’24년 11만 원),  지원 대상 확대(23년 만 19~64세 →’24년  만 5~69),  수혜자 확대(23년 1만 4천 명→’24년 2만 명)

 -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지원) 전국 17개 시도 장애인체육회에 재가·중증·고령층 장애인 등 맞춤형 생활체육 지도를 위한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지원(1,000)

 

  ‘2023년 장애인 생활체육조사 결과’ 보고서는 문체부 누리집(www.mcst.go.kr/주요정책/분야별정책/체육) 문화셈터(stat.mcst.go.rk),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에서 1월 말부터 내려받을 수 있다.

?

?

(2024.01.15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0584&pageIndex=1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1-19&endDate=2024-01-1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275 민관협력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으로 나아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30
2274 건설근로자공제회, 「통합시스템 구축 용역」 본격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09
2273 ‘일하다 아프면 맘 편히 몸 편히’ 상병수당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4
2272 올해 친환경선박 전환에 2,422억 원 투입, 온실가스 배출 규제 적극 대응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82
2271 사회약자 보호, 경제활력 제고 위해 노인일자리 등 신속집행 당부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4
2270 생분해성수지 생산 기업을 위한 국가표준 개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2
2269 우리땅 우리생물의 공식기록, 국가생물종목록 6만여 종 달성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28
2268 미래자동차 전환기업 애로해소에 박차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13
2267 외래생물 관리 강화를 위한 생물다양성법 하위법령 개정·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0
2266 미인증 배출가스저감장치 관리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9
2265 장애인 요금감면, 온라인으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6
2264 동절기 광산안전 특별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88
2263 산업단지 디지털화, 저탄소화를 위해 향후 4년간 총 2,010억원 국비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69
2262 인구 세계 1위국 인도와 공급망 협력 강화를 위한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선협상 열려 [출처] …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59
2261 중소·영세기업의 ‘손에 잡히는’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위해 안전보건교육기관이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69
2260 중대재해처벌법 전면 시행, 사상 최초의 산업안전 대진단으로 총력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6
2259 남녀고용평등에 앞장선 유공자 및 우수기업을 발굴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69
2258 탄소중립 위해 모든 무탄소에너지 최대한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65
2257 페트병 재생원료 품질, 국가표준(KS) 시험방법으로 확인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3
2256 자연환경보전·복원, 효율성과 전문성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