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1.29.~ 2.8.까지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 신청·접수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41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1-19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1월 29일부터 2월 8일까지 전국 지방고용노동관서를 통해 고용허가제 외국인근로자(E-9)에 대한 ’24년도 1회차 신규 고용허가 신청을 받는다총 발급 규모는 3.5만 명*이며전년도 1회차 대비 73.6% 증가한 규모이다.

   업종별 발급 규모제조업(23,232), 조선업(1,500), 농축산업(4,209), 어업(2,595), 건설업(1,632), 서비스업(1,297), 업종별 초과 수요에 대해서는 탄력배정분(2만명)을 활용·배정

   

  이는 지난해 12.1. 외국인력정책위원회에서 외국인근로자(E-9) 도입규모를 역대 최대인 16.5만 명으로 결정한 데 따른 것으로 고용허가 신청이 연초에 집중되는 점을 고려해 연간 도입 규모의 30%가량을 이번 1회차에 배정했다.

  이번 신청부터 제조·조선·건설·서비스업에 대해서도 고용허가 신청 요건인 내국인 구인 노력 기간을 14일에서 7일로 단축*하여 더욱 신속히 인력을 충원할 수 있도록 했다.

   * 종전에는 농축산·어업만 내국인 구인 노력 기간이 7일이었음

  외국인근로자(E-9) 고용을 희망하는 사업주는 7일의 내국인 구인 노력을 거친 후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를 방문하거나 홈페이지*(www.work24.go.kr 또는 www.eps.go.kr)에서 고용허가를 신청할 수 있다.

   고용24 전산망 개편으로 홈페이지를 통한 고용허가 신청 시 기존 EPS홈페이지 회원 사업장도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거쳐 고용허가 신청 가능(상세한 사항은 www.eps.go.kr 공지 내용 참고)

  1회차 고용허가 신청 결과는 2월 28일에 발표되며, 발급은 제조업·조선업의 경우 2.29.~3.8.농축산·어업건설업서비스업은 3.11.~3.15.에 진행될 예정이다.

   * 24년 2회차 신규 고용허가 신청(음식점업<한식주요 100개 지역 시범도입>, 호텔·콘도업<서울·부산·강원·제주 시범도입> 포함)은 4월 하순경 접수 예정



(2024.01.19 고용노동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1544&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1-19&endDate=2024-01-1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175 보건복지부, 노인 일상생활 지원 강화를 위한 현장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51
2174 항공기 띄워 충남 서해안 미세먼지 집중 감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78
2173 기후위기 당사자가 직접 참여한 첫 탄소중립·녹색성장 이행점검 결과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67
2172 거동불편노인, 1월부터노인맞춤돌봄서비스20시간이상으로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21
2171 공급망기본법 제정에 따른 공급망 대응력과 회복력 제고 기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47
2170 ’24년 문체부, 청년과 취약계층, 산업, 지역 중점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11
2169 분산된 자살예방 상담전화 1월 1일부터 ‘109’로 통합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47
2168 겨울철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 첨단장비 활용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집중 감시 비회원 2024-01-08 334
2167 ’23년 장애예술인 안정적 활동 기반 마련한 원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0
2166 ’24년도 무장애 관광 접근성과 연계성 강화할 지역 찾는다 비회원 2024-01-08 328
2165 환경부는 불법폐기물 근절을 위해 노력 중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89
2164 폐지수집 노인에게 노인일자리 제공 등 보건복지서비스 지원 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5
2163 기후변화에 대비한 소하천 관리 강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9
2162 환경부 장관, 미래세대와 새활용 제품 만들며 자원순환 가치 공유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1
2161 「중대재해 취약분야 기업 지원대책」 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285
2160 겨울철 고농도 미세먼지 저감, 소규모 대기배출사업장 관리 실시간으로 철저하게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2
2159 모든 학생을 위한 마음건강 지원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35
2158 다문화 아동·청소년 맞춤형 지원 강화를 위한 협력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25
2157 산업현장 최일선에서 근로자의 생명과 건강을 지킨 「2023년 올해의 산업안전감독관」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12
2156 저탄소 녹색 축산업으로 이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1-08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