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사회·투명 경영(ESG)' 현안 해결에 도움 드립니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2-21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우리 기업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을 돕기 위해 2월 16일부터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현안 맞춤형 ‘이에스지(ESG) 진단(컨설팅) 지원사업’을 공모한다.

 

  이 사업은 △친환경 공정진단?개선, △온실가스 배출량 목록(인벤토리) 구축이에스지(ESG) 교육 등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영체계 구축을 위한 각종 사업을 진단(컨설팅)해 지원한다.

 

  지난해 중소?중견기업 92개사를 지원했으며제조 현장의 에너지?온실가스?폐기물 저감 효율화 등을 통해 연 100억 원 수준의 경제적 성과를 성한 바 있다특히해외 고객사의 이에스지(ESG) 경영 요구 조건을 충족하는 진단(컨설팅) 지원을 통해 수출 계약조건을 충족하는 데 도움을 준 사례가 우수사례로 꼽힌다.

 

  또한, 환경부는 지난해 2월 수출 대기업(삼성전자?LG전자?현대기아차) 상생협력 이에스지(ESG) 경영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공급망 전반에 대한 ‘환경?사회?투명 경영’ 역량 강화 체계를 마련하기도 했다.

 

  올해 지원사업은 이에스지(ESG) 경영 기본기를 다지는 기존(기초진단(컨설팅과정 외에 실질적인 환경무역 규제를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심화 과정을 신설했다.

 

구분

주요내용

기존

기초컨설팅

? (친환경경영 컨설팅) ESG 경영체계 및 시스템 구축 지원

 ※ ESG 교육친환경 공정개선온실가스 관리체계(측정?목표 설정?감축구축

신규

심화컨설팅

? (환경무역장벽 대응 컨설팅) ESG 규제 맞춤형 대응 지원

 ※ 기후 공시?공급망 실사 대응 준비계약서 검토?이니셔티브 취득 지원

(탄소저감 제품 설계?생산 컨설팅제품의 탄소 경쟁력 강화 지원 

 ※ 제품 전과정 탄소 배출량 산정 및 감축 방안 수립

 

  기초 과정이 기업의 친환경공정 진단, 온실가스 관리체계 구축과 같은 일반적인 내용으로 구성된다면심화 과정은 국제 사회의 환경 규제에 맞춤형 대응을 위한 ‘환경무역장벽 대응 진단(컨설팅)’과 생산 제품의 탄소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탄소저감 제품 설계?생산 진단(컨설팅)’으로 구성되어 보다 전문적으로 지원한다.

 

  먼저, ‘환경무역장벽 대응 진단(컨설팅)’은 기업의 기후대응 관련 정보를 공시하는 ‘기후 공시’사업 전과정에 걸친 이에스지(ESG) 기준 및 실천사항을 조사?평가하는 ‘공급망 실사’ 등 환경무역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정보 공개 등록모의 공급망 실사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

 

  ‘탄소저감 제품 설계?생산 진단(컨설팅)’은 자동차석유화학 등 탄소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업종을 대상으로 제품 전과정 평가(LCA), 탄소 배출량 감축 및 공정개선 방안 수립 등을 지원하며, 공급망 내 유관 업체에 묶음 형태(패키지형)로 진단(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올해 지원사업은 수출 비중이 높거나 주요 공급망에 포함된 130여 개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다.

 

  사업별 모집기간 및 참여요건 등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환경부(www.me.go.kr)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www.keiti.re.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지원사업에 대한 세부사항 안내, 신청서 작성방법 및 접수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한국환경사업기술원 ESG경영지원실(02-2284-1966, 1988, 1968)로 문의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급변하는 국제 환경무역 규제를 면밀히 분석하여 기업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사업을 제공하겠다”라면서“우리 기업의 수출 경쟁력과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

(2024.02.14 환경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5262&pageIndex=1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2-21&endDate=2024-02-2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450 해수부, 60개 항만하역장에 재해예방시설을 설치하여 항만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0
2449 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국제에너지기구(IEA)와 공동 개최 결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0
2448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지금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4
2447 ‘모두가 차별없는 세상을 위하여’ 제1회 편의증진의 날 기념행사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0
2446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89.2%로 ‘18년보다 9.0%p 상승, 세종·서울·경기 등 높아 [출처] 대한…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7
2445 장애인고용공단-아이티센그룹 ‘자회사형 장애인표준사업장’ 설립 약속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8
2444 산업전환 과정을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취약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36
2443 떨어짐·끼임 및 부딪힘 사고사망, 현장의 철저한 안전 관리로 막을 수 있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83
2442 화학사고 대응 물질정보 97종에서 150종으로 확대… 현장대응 역량 높여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49
2441 행안부-환경부, 부처 간 칸막이 허물고 폐현수막 재활용 해법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73
2440 장애인고용공단-동진쎄미켐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8
2439 위험성평가 우수사례, 기업이 직접 뽑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46
2438 제조업의 근간, 뿌리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생태계 조성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5
2437 원전 등 무탄소에너지 증가 추세, 탄소배출 지속 감소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0
2436 중대재해 반면교사(反面敎師), 2024년에도 중대재해 사고백서 발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0
2435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주식회사 킨텍스와 사회적경제기업 판로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4
2434 올해 54개 연근해어장에서 폐어구 4,000여 톤 수거 나서 한국생산성본부 2024-04-09 220
2433 장애인고용공단-학교법인 신흥학원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 한국생산성본부 2024-04-09 201
2432 이차전지 산업 탄소경쟁력 강화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스코프3) 산정 안내서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4-04-09 226
2431 알짜배기 공급망 정보를 한 곳에서 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09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