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사회·투명 경영(ESG)' 현안 해결에 도움 드립니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2-21

환경부(장관 한화진)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우리 기업의 ‘환경?사회?투명 경영(ESG)’을 돕기 위해 2월 16일부터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현안 맞춤형 ‘이에스지(ESG) 진단(컨설팅) 지원사업’을 공모한다.

 

  이 사업은 △친환경 공정진단?개선, △온실가스 배출량 목록(인벤토리) 구축이에스지(ESG) 교육 등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경영체계 구축을 위한 각종 사업을 진단(컨설팅)해 지원한다.

 

  지난해 중소?중견기업 92개사를 지원했으며제조 현장의 에너지?온실가스?폐기물 저감 효율화 등을 통해 연 100억 원 수준의 경제적 성과를 성한 바 있다특히해외 고객사의 이에스지(ESG) 경영 요구 조건을 충족하는 진단(컨설팅) 지원을 통해 수출 계약조건을 충족하는 데 도움을 준 사례가 우수사례로 꼽힌다.

 

  또한, 환경부는 지난해 2월 수출 대기업(삼성전자?LG전자?현대기아차) 상생협력 이에스지(ESG) 경영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공급망 전반에 대한 ‘환경?사회?투명 경영’ 역량 강화 체계를 마련하기도 했다.

 

  올해 지원사업은 이에스지(ESG) 경영 기본기를 다지는 기존(기초진단(컨설팅과정 외에 실질적인 환경무역 규제를 적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심화 과정을 신설했다.

 

구분

주요내용

기존

기초컨설팅

? (친환경경영 컨설팅) ESG 경영체계 및 시스템 구축 지원

 ※ ESG 교육친환경 공정개선온실가스 관리체계(측정?목표 설정?감축구축

신규

심화컨설팅

? (환경무역장벽 대응 컨설팅) ESG 규제 맞춤형 대응 지원

 ※ 기후 공시?공급망 실사 대응 준비계약서 검토?이니셔티브 취득 지원

(탄소저감 제품 설계?생산 컨설팅제품의 탄소 경쟁력 강화 지원 

 ※ 제품 전과정 탄소 배출량 산정 및 감축 방안 수립

 

  기초 과정이 기업의 친환경공정 진단, 온실가스 관리체계 구축과 같은 일반적인 내용으로 구성된다면심화 과정은 국제 사회의 환경 규제에 맞춤형 대응을 위한 ‘환경무역장벽 대응 진단(컨설팅)’과 생산 제품의 탄소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탄소저감 제품 설계?생산 진단(컨설팅)’으로 구성되어 보다 전문적으로 지원한다.

 

  먼저, ‘환경무역장벽 대응 진단(컨설팅)’은 기업의 기후대응 관련 정보를 공시하는 ‘기후 공시’사업 전과정에 걸친 이에스지(ESG) 기준 및 실천사항을 조사?평가하는 ‘공급망 실사’ 등 환경무역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환경정보 공개 등록모의 공급망 실사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

 

  ‘탄소저감 제품 설계?생산 진단(컨설팅)’은 자동차석유화학 등 탄소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업종을 대상으로 제품 전과정 평가(LCA), 탄소 배출량 감축 및 공정개선 방안 수립 등을 지원하며, 공급망 내 유관 업체에 묶음 형태(패키지형)로 진단(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올해 지원사업은 수출 비중이 높거나 주요 공급망에 포함된 130여 개 중소?중견기업을 선정해 지원할 예정이다.

 

  사업별 모집기간 및 참여요건 등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환경부(www.me.go.kr)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www.keiti.re.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지원사업에 대한 세부사항 안내, 신청서 작성방법 및 접수방법 등 자세한 내용은 한국환경사업기술원 ESG경영지원실(02-2284-1966, 1988, 1968)로 문의

 

 

  장기복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급변하는 국제 환경무역 규제를 면밀히 분석하여 기업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원사업을 제공하겠다”라면서“우리 기업의 수출 경쟁력과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

(2024.02.14 환경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5262&pageIndex=1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2-21&endDate=2024-02-2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412 환경부-인천시, 수소버스 전환 정책 선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08
2411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촉진한다…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표시제도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05
2410 요즘 농가에서는 ‘저탄소 인증’이 인기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13
2409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및 활용(CCUS), 신산업 창출을 위해 속도 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03
2408 수소버스 보급 확대 대비 수소 수급상황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00
2407 정신질환자 사회복귀 위한 지역사회전환시설 운영상황 점검 및 현장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184
2406 생물다양성 경영 전략 새틀 짠다… 자연자본 공시 대응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224
2405 봄철 지붕, 사다리, 나무, 이동식 비계 위에서 떨어짐 사고 증가! 중대재해 위기경보 발령! [출처] 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9 177
2404 민원공무원의 안전한 일터 조성에 중앙-지방이 함께 한다 비회원 2024-03-29 175
2403 함께라서 따뜻했던 겨울, 도움이 필요한 이웃 찾아나선 지자체 포상 비회원 2024-03-29 187
2402 제주에 발달장애인 맞춤형 의료서비스 거점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31
2401 기후변화 대응과 물 위기 해소를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함께 앞장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29
2400 협력사 근로자 복지증진을 위한 대기업 노·사의 상생 노력을 정부가 응원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25
2399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더 이상 고민하지 말고 사용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03
2398 기후위기 시대, 습지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08
2397 2024년도 전기이륜차 및 배터리교환형 충전시설 보조금 지침 확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47
2396 ‘스트레스 진단·우울증 해소’ 근로복지공단이 도와 드립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272
2395 장애인 건강보건관리사업 업무 전산화 근거 마련으로 장애인에 효율적 서비스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191
2394 최중증 발달장애인에 대한 통합돌봄서비스가 시작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181
2393 기업의 지속가능성 공시 부담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3-22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