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 가치 상승(Value-up)을 위한 복지기술 보유기업 공모

담당부서 : 보건복지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9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2-29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024년 신규사업인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디지털, 로봇 등 첨단복지기술을 보유한 기업을 대상으로 2월 28일(수)부터 3월 18일(월)까지 공모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첨단 기술이 결합된 서비스를 지역에서 제공해보고, 기술의 실증 및 현장 활용을 지원함과 동시에 보다 고도화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사업이다이번 시범사업은 지난 12월 발표한 ‘제1차 사회서비스 기본계획*(2024-2028)’의 주요 과제 ‘복지기술 활용을 통한 공급기반 혁신’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 [12.12일 보도자료 참조] “국민 누구나 필요할 때 누리는 질 높은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업은 그간 현장에서 활용되지 않았던 복지기술  기술을 활용한 제품을 보유한 기업이다. 단, 기존에 이용된 기술인 경우에도 획기적 개선과 변화를 준 경우를 포함한다. 

 

  지원유형은 ?비용지원형’ ?기회제공형’ 두 가지로, ?기술·제품을 이용자에게 제공할 때 드는 이용료를 지원받거나(비용지원형?기업에서 관련 비용을 전액 지원하고지역사회에서의 실증기회를 받는(기회제공형) 형태로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기업은 보유한 기술의 현장 활용 방안을 담은 제안서를 포함하여 신청해야 한다선정 후 즉시 현장에서 활용되어야 하는 점을 감안해, 안전성*과 상당 수준의 기술성숙도**(기술성숙도 8이상)를 갖출 것을 조건으로 한다.

 

 

 

   * 기술에 대한 안전성 입증, 배상책임보험 가입 등의 안전확보계획 제시 필요

  ** TRL(Technology readiness Level)

 

  최종 선정된 기업은 보유한 기술·제품 등을 사회서비스의 형태로 일부 지역에서 시범 제공하게 된다시범사업 성과 우수한 기업에는 상용화  판로개척 등에 활용 가능한 실증결과 확인서와 함께 실증을 거친 서비스 모델을 지역사회서비스 반영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 성과가 우수한 경우, 별도 절차를 거쳐 지역사회서비스 표준모델 반영여부를 검토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3월 18() 18:00까지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사업과 전자우편(kkjy1225@korea.kr">kkjy1225@korea.kr)으로 사업신청서 등 필요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시범사업의 세부요건지원사항신청 서류 및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와 중앙사회서비스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업 선정은 서면심사와 대면심사  지방자치단체 매칭을 거쳐 이뤄질 예정이며, 기업공모와 동시 지역의 사업참여 수요를 사전 조사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누리집(www.mohw.go.kr)-알림?공지사항?공고 
중앙사회서비스원 누리집(www.kcpass.or.kr)-알림마당-전체공지

 

<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공모 일정 >

공고 및 접수

(2.28~3.18)

 

1차 서면심사

(3월 4)

 

2차 대면심사

(3월 5)

 

사업수행 지역 매칭

(4월 1주)

 

최종 선정

(4.12)

 

 

 

 

 

 

 

 

 

선정계획 공고 및

신청 접수

?

평가위원회

?

평가위원회

?

복지부-지자체

-2차심사에서 선정된 기업

?

최종선정

결과 발표

  * 상기 일정은 평가 진행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구체적 일정은 공모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별도 안내

 

  권민정 사회서비스사업과장은 “복지기술 사회서비스 접목하는 이번 시범사업으로 보다 고도화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하며복지기술이 연구?개발(R&D)에 그치지 않고현장에서 활용되도록 지원해 국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사회서비스 혁신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4.02.29 보건복지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7946&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2-28&endDate=2024-02-2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455 방탈출 게임으로 국제적 멸종위기종 소중함 배워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76
2454 2022년도 화학물질 배출량 6만 1,035톤 전년대비 6.4% 감소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94
2453 발달장애인 위한 읽기 쉬운 생태도서, ‘도로를 건너는 야생동물’ 선보여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2
2452 2024년 장애인생산품 전시·홍보장터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1
2451 청소년 고립·은둔 고민 해결, 함께 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72
2450 해수부, 60개 항만하역장에 재해예방시설을 설치하여 항만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6
2449 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국제에너지기구(IEA)와 공동 개최 결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5
2448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지금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0
2447 ‘모두가 차별없는 세상을 위하여’ 제1회 편의증진의 날 기념행사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6
2446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 89.2%로 ‘18년보다 9.0%p 상승, 세종·서울·경기 등 높아 [출처] 대한…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75
2445 장애인고용공단-아이티센그룹 ‘자회사형 장애인표준사업장’ 설립 약속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6
2444 산업전환 과정을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취약 근로자의 고용안정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42
2443 떨어짐·끼임 및 부딪힘 사고사망, 현장의 철저한 안전 관리로 막을 수 있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259
2442 화학사고 대응 물질정보 97종에서 150종으로 확대… 현장대응 역량 높여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1
2441 행안부-환경부, 부처 간 칸막이 허물고 폐현수막 재활용 해법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92
2440 장애인고용공단-동진쎄미켐 자회사형 장애인 표준사업장 설립 협약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65
2439 위험성평가 우수사례, 기업이 직접 뽑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9
2438 제조업의 근간, 뿌리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생태계 조성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74
2437 원전 등 무탄소에너지 증가 추세, 탄소배출 지속 감소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8
2436 중대재해 반면교사(反面敎師), 2024년에도 중대재해 사고백서 발간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4-18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