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 경영 전략 새틀 짠다… 자연자본 공시 대응방안 모색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15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3-29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대한상공회의소세계자연보전연맹과 함께 3월 27일 오후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서울 용산구 소재)’에서 ‘제1 자연자본 공시 토론회(포럼)’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자연자본 공시 도입 등 생물다양성 손실 방지를 위한 국제사회의 동향을 산업계와 공유하고세계자연보전연맹 등 국제기구와 함께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자연자본 공시란 기업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과 의존도 등을 평가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공개하는 제도다.

 

  2022년 12월 말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15차 생물다양성협약(CBD)에서 제도화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뤄졌으며작년 9월 유엔(UN) 산하 ‘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NFD)’에서 공시 관련 지침서(가이드라인) 공표하는 등 국제사회를 중심으로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자연자본 공시 관련 국제기구 인사자연자본 공시를 준비 중인 기업의 임원진 및 담당자회계법인 등이 참석하며자연자본 공시와 관련된 주제 발표와 토론 등이 예정되어 있다.

 

 

  먼저, ‘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 공개 협의체(TNFD)’에서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자연자본 공시 지침서(가이드라인)에 대해 설명하고‘세계경제포럼(WEF)’에서 자연친화적 경영활동 이행방안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생물다양성 경영을 위한 세계자연보전연맹의 지원체계에 대해 발표한다.

 

  또한 국내에서 선제적으로 자연자본 공시를 대비하고 있는 신한금융지주와 이와이(EY)한영 회계법인은 공시보고서 작성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사항과 직접 체감했던 애로사항 등을 참석 기업들에게 공유한다.

 

  환경부는 국제사회의 자연자본 공시 논의에 발 빠른 대응을 위해 지난 3월 6일 산업계회계·법무법인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자연자본 공시 협의체’를 발족한 바 있으며, 이 협의체에서는 자연자본 공시와 관련하여 △ 국제동향 및 정보 공유△지침서(가이드라인및 시범 보고서 작성 실무자 교육 및 자문 등 우리 기업의 대응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임상준 환경부 차관은 “전통적 이윤 추구 개념만으로는 기업 경영이 불가능한 시대를 맞고 있다”라면서“기후 공시에 이어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자연자본 공시도 기업의 생존과 성장의 핵심 열쇠라는 인식 아래 우리 기업 대응 역량 강화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03.27 환경부)

https://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22273&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3-29&endDate=2024-03-29&srchWord=&period=year

?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292 한-싱가포르 무탄소에너지 미래 협력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58
2291 설연휴 생활쓰레기, 한발 앞선 관리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364
2290 프랑스 전기차 보조금 관련 이의제기 절차 등 향후 대응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37
2289 한화진 장관, “따뜻하고 생동감 넘치는 어린이 환경보건 관리대책 추진하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27
2288 중동의 녹색 바람을 몰고 올 한국 수직농장, 농식품부가 함께 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39
2287 삼성전자도 28㎓ 이음5G 활용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42
2286 규제혁신으로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48
2285 한국수어의 날, 청각장애인 위한 안심글꼴 ‘한빛체’ 공개 한국생산성본부 2024-02-13 235
2284 국가물관리위원회, 녹조 해결에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55
2283 시각·청각장애인에게 맞춤형 저작권 교육 제공, 저작권 교육 사각지대 해소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66
2282 폐기물처리시설 사후관리로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체계 구축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43
2281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울산 지역 탄소중립 기술혁신 현장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06
2280 2024년 장애인고용공단 사업설명회 성료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27
2279 산업 현장에서 기업과 함께 석유화학 무역장벽 대응해법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09
2278 설 연휴 기간 환경오염행위 특별 감시·단속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3
2277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지원, 올해도 이어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28
2276 올해 우수재활용제품과 재제조 친환경제품 인증사업 본격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09
2275 민관협력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으로 나아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315
2274 건설근로자공제회, 「통합시스템 구축 용역」 본격 착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90
2273 ‘일하다 아프면 맘 편히 몸 편히’ 상병수당 신청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2-01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