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력과 역량을 갖춘 저소득층 학생 7,000명의 꿈을 응원합니다

담당부서 : 교육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7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4-09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장학재단(이사장 배병일)은 올해 7,000명의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금을 지원한다.

  2019년부터 시작된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금은 잠재력 있는 저소득층 중?고등학생을 조기에 선발하여 대학까지 연계 지원하는 국가 장학사업으로, 2024년에는 꿈 장학금과 다문화 장학금의 2가지 유형으로 운영된다.

  ※ 장학생(신규+계속: (2019) 1,483, (2020) 2,416, (2021) 3,279, (2022) 5,187, (2023) 6,517명 2019~2023년 꿈 장학금 지원액 약 570억 원

  다문화 장학금은 올해 신설된 유형으로 저소득층 이주배경학생을 대상으로 한다이는 이주배경학생을 우리 사회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적 지원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2024년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생 선발 및 지원 개요]

내용

 꿈 장학금

다문화 장학금

지원규모

신규 1,800명 / 계속 5,000명

신규 200명

지원요건

?국민기초생활수급자법정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

?교과?비교과 기준 충족

?국민기초생활수급자법정차상위계층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

?이주배경학생

?교과?비교과 기준 충족

지원내용

?매월 학업장려금 지원(중 25만, 고 35만, 대 45만)

?상담(멘토링), 진로 역량 개발 상담(컨설팅) 등 교육 프로그램

지원기간

?선발 시부터 대학 졸업 시까지 지속 지원

선발절차

?학교 추천(4.1.~4.26.) → 서류심사 및 심층평가(4월~6월)  최종 선발(6월)

  ※ 예산 집행 등 상황에 따라 최종 선발 인원 변동 가능

 

  2024년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생 규모는 기존에 선발된 5,000명과 신규 선발될 2,000(꿈 장학금 1,800다문화 장학금 200)을 합한 총 7,000명이다.

  선발된 장학생에게는 매월 학업장려금이 카드 적립금(포인트)으로 지급되며학생들은 학업진로 탐색 등 각자의 계획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1:1 상담(멘토링)마음건강진단진로역량 컨설팅 등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생들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한다.

  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금 신청 기간은 4월 1일(월)부터 4월 26일(금)까지 이며서류심사심층평가 및 장학생 선발?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6월에 최종 선발할 예정이다.

  이번 장학금 신청에 관심이 있는 학생·학부모는 신청 기간 내 한국장학재단 누리집(https://www.kosaf.go.kr)과 학교의 안내 사항을 참고해 생활기록부학업계획서 등 장학금 신청 서류를 학교에 제출해야 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우리 아이들이 어려운 가정환경 때문에 꿈을 포기하지 않고 꿈사다리 장학금을 디딤돌 삼아 새로운 도전과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히며“아울러자신의 가능성을 믿고 한 발씩 성장해 나가는 저소득층 중·고등학생들에게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바란다.”라고 말했다.



(2024.04.01 교육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23230&pageIndex=19&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4-09&endDate=2024-04-0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585 디지털을 통한 자립준비청년 도약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99
2584 2024년 대한민국 환경사랑공모전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120
2583 한-다자개발은행 협력, 개도국 녹색전환 앞당겨 한국생산성본부 2024-06-03 136
2582 자동차업계 상생의 온기가지역 곳곳 중소협력업체로 이어집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03 133
2581 “유연근무로 업무 능률 향상 및 우수한 직원의 장기근속 기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6-03 136
2580 농식품부-환경부가 “같이” 가축분뇨의 새로운 “가치”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03 128
2579 상생협력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31 149
2578 가정과 지구를 지키며 구매해요… 2024 녹색소비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5-31 148
2577 중소기업 탄소국경조정제도 대응, 정부가 밀착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5-31 139
2576 글로벌 청정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31 143
2575 “어선 생활 쓰레기는 되가져옵시다!” 어선 내 발생 쓰레기 저감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5-31 143
2574 해양수산부, 안전하고 행복한 일터 조성 의지 다져 한국생산성본부 2024-05-31 141
2573 해수부, 민간기업과 손잡고 해양쓰레기·기후변화 현안에 적극 대응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31 127
2572 녹색산업의 혁신기업과 열정적 인재를 이어드립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8 131
2571 친환경선박 도입, 진단부터 금융까지 한 번에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8 133
2570 해양수산 업·단체 중대재해 예방 설명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8 142
2569 탄소중립 선언 및 제품 탄소발자국의 검증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과정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8 134
2568 지속 가능한 미래 노동시장, 원·하청 상생협력 확산에서 해법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8 135
2567 직장내 장애인 인식개선 법정의무교육 6주년, 대국민 릴레이 캠페인 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8 140
2566 현장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재난안전통신망 사용 간편매뉴얼’ 배포 한국생산성본부 2024-05-28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