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건강관리 및 직업병 예방은 근로자건강센터를 활용하세요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7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03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4.26.() 10:30 천안에서 ?근로자건강센터? 성과와 한계를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워크숍을 개최했다.

 

  ?근로자건강센터?는 2011년 인천 남동공단에 처음 설립된 이후 현재까지 전국에 24개 센터가 설치되어 있으며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간호사물리치료사, 산업위생사심리상담사 등 전문인력이 배치되어 50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건강지킴이 역할을 하고 있다센터는 상대적으로 보건관리가 취약한 영세사업장의 근로자 및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뇌심혈관질환 및 근골격계질환 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건강검진 결과 직업병 질병의 소견이 있거나 관찰이 필요한 근로자의 사후관리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컨설팅 및 교육 등을 하고 있다.

 

  또한근로자건강센터 내에 직업트라우마센터(14개소)를 설치하여 직장 내 괴롭힘감정노동 피해중대재해 등의 사고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근로자에 대하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등의 직업트라우마 심리상담을 통해 신속한 일상으로의 복귀도 돕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전국 24개 근로자건강센터의 운영책임자와 실무자가 참석하여① 그간의 운영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1)과 ② 23년 우수사례 및 ’24년 사업계획을 발표(2)하는 시간을 가져 근로자건강센터 상호 간 자신이 위치한 지역과 산업 특성 등을 고려한 직업병 예방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붙임참조)

 

  먼저 근로자건강센터 발전방안 토론에서는 인구 고령화와 외국인력 증가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고용형태 다양화감정노동?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확대 시행 등 산업안전?보건을 둘러싼 새로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및 기업의 직업병 예방에 대한 투자 확대직업병 예방을 위한 근로자 건강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참석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는 등 열띤 논의가 이어졌다.

 

 

(현장목소리) 00근로자건강센터 관계자

 

 

▶ 저출산?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직원의 건강 악화는 생산성 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고산업재해의 증가에 따라 노동생산성도 악화된다는 연구결과가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향후 기업의 경쟁력의 핵심 중 하나는 직원의 건강관리이므로 업무상 질병에 취약한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건강관리 지원을 위한 정부나 기업의 과감한 투자나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어진 우수 사례발표에서는 ① 유해 화학물질을 경고 표지 없이 페트병 마개에 구멍을 뚫어 세척제를 담아 사용하는 사업장에 경고 표지가 부착된 원터치 개폐마개 소분용기를 보급한 사례(서울근로자건강센터)와 ② 직무스트레스 노출 강도가 높은 근로자 389명을 대상으로 아로마테라피를 활용한 심리안정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256명(65.8%)을 개선한 사례(인천근로자건강센터) 등이 발표되어 참석자들로부터 박수를 받았다.(붙임2 참고)

 

  류경희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그동안 정체되어 있던 업무상 질병 재해자가 2016년 이후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이 중 절반이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다.”라고 말하면서

 

  “이들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직업병 예방을 강화하고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에 대한 직업건강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오늘 논의된 과제들을 정책에 반영하고근로자건강센터를 지속적으로 확충하는 등 소규모 사업장 건강관리 지원체계를 촘촘히 구축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24근로자건강센터 1개소직업트라우마센터 9개소 추가 설치 예정



(2024.04.26 고용노동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27559&pageIndex=1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4,A00007,A00002,A00033,A00031,A00037,A00009,A00008,A00015,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5-03&endDate=2024-05-03&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665 기업 통근용 수소버스 전환, 액화수소충전소 설치로 가속화된다 비회원 2024-06-28 326
2664 복지 위기 알림 앱 전국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15
2663 하계 전력설비 운영 및 송전선로 건설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92
2662 화재 사고, 폭염 및 호우·태풍 대비 전국 현장 점검을 실시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90
2661 노동약자 지원을 위한 법·제도 개선 속도 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11
2660 온실가스 배출권, 주식처럼 위탁거래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66
2659 원청 노사와 정부가 힘을 모아 노동약자를 지원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75
2658 합리적 이유 없이 기간제 근로자 등의임금 등을 차별한 17개 사업장 적발·시정요구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36
2657 산업부·소방청 합동, 리튬 배터리 산업 현장 안전점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67
2656 지역 소공인 성장·발전을 지원하는 소공인특화지원센터 신규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62
2655 육아 친화적 근로환경 조성을 위해 육아지원제도 확대 및 기업부담 완화 등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76
2654 경기 화성 공장 화재피해 응급복구를 위한 긴급 재정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88
2653 에너지·자원 해외진출 공기업의 잠재적 국제분쟁 대응에 지원 나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49
2652 19종의 재난안전제품 인증으로 재난안전관리 수준을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78
2651 경기 화성시 공장화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86
2650 고용노동부, 경기도 화성 화재사고 관련 중앙산업재해수습본부 구성·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99
2649 행정안전부 장관, 화성 공장 화재 현장점검 비회원 2024-06-28 309
2648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공장 화재 관련 외국인 피해자 지원 방안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21
2647 순환경제 신사업 아이디어, 국민에게 듣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93
2646 여름철 배달종사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민-관이 힘을 합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