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장애인 고용률 3.17%로 지속 상승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9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5-23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는 5.23.(목) 2023년 장애인 의무고용현황(’23.12월말 기준)을 발표했다.

   * (의무고용대상) 국가·지방자치단체, 상시근로자 50명 이상 사업체 총 32,316개소

     (’23년 장애인 의무고용률) 공공 3.6%, 민간 3.1%

   ’23년 장애인 고용률은 전체평균 3.17%, 공공은 3.86%, 민간은 2.99%이다. 10년간 추이를 볼 때, 장애인 고용률 및 규모는 지속 상승하였고, 공공부문의 상승률이 민간보다 높았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보도자료1번.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58pixel, 세로 388pixel 

   공공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자치단체 5.9%, 공공기관 3.90%, 중앙행정기관 3.43%, 헌법기관 2.86%, 교육청 2.51% 순이었다자치단체는 일자리사업에 장애인의 적극적 채용, 공공기관은 ‘장애인 고용현황 공시 의무화’ 등이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보도자료2번.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7pixel, 세로 382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보도자료3번.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54pixel, 세로 387pixel 

 

   정부부문(공공부문 중 공공기관 제외) 공무원과 비공무원 장애인 고용률은 각각 2.86%, 6.14%이다비공무원은 의무고용률을 크게 상회하였으나공무원은 교원군무원 등 장애인 채용여건*이 어려운 특정직 공무원이 많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교원장애인교사 수 부족, (군무원격오지 배치탄약·총포관리 등 특수업무 비중이 높음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2.99%로 상승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1,000인 이상 기업 고용률이 전년 대비 0.11%p 상승하여 전체 장애인 고용률 상승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장애인 고용인원은 215,195명이며, 500인 이상 기업(2,067개, 기업 총 30,897개 중 6.7%)이 109,703명으로 51%를 차지하고 있다. 

   임영미 통합고용정책국장은 “공공부문은 의무고용률을 상회하고 있으나상대적으로 장애인 고용이 쉽지 않은 분야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등과 전담팀(TF)을 구성하여 고용률을 높이도록 적극 독려*하겠다.”라면서,

   * (개선방향장애인 구분모집 확대응시자의 맞춤형 편의제공 및 임용 후 근무여건 지원 강화 등 

   “아울러민간기업의 경우 장애인 고용을 어려워하는 기업대상 컨설팅을 대폭 확대하고중증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자회사형 표준업장 설립규제를 완화하는 등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 확대를 위한 지원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05.23 고용노동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2089&pageIndex=1&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4,A00007,A00002,A00033,A00031,A00037,A00009,A00008,A00015,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5-23&endDate=2024-05-23&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535 기업과 전통시장의 새로운 상생협력, 지역경제 활성화 견인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7 147
2534 중앙전파관리소, 전파측정시스템 구축사업, 7년 연속 무재해로 마무리 결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7 139
2533 제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 시행 1년차, 착실히 기초를 다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7 165
2532 친환경선박 건조비용의 최대 30% 지원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7 143
2531 여름철 집중호우 대비 비점오염원 신고 사업장 집중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7 124
2530 제10회 어린이 환경안전 전시회 기념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7 128
2529 장애인 학생 선수, 장애인체육 미래 주역으로 키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4 157
2528 영국 탄소국경조정제도, 우리나라 민관 공동 선제적 대응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4 155
2527 자립준비청년의 “내 일을 그리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4 170
2526 한국-키르기스스탄, 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등 분야 협력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4 164
2525 공공기관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개선방안 확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4 274
2524 취약계층 청년 등의 혁신기업 인턴 참여, 민관이 사회적 가치 창출에 함께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10 165
2523 근로시간은 18% 줄이고, 생산성은 32% 높이고 한국생산성본부 2024-05-09 147
2522 유럽연합(EU) 공급망실사지침, 선제 대응으로 기회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5-09 166
2521 탄소중립, 광역 지자체가 직접 나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09 177
2520 “안전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현장의 안전활동 점검을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09 146
2519 탄소중립 시대, 산업경쟁력 강화 및 수출 증진을 위한 산업·통상전략 점검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09 161
2518 여름철 오존 집중관리로 국민건강 보호 한국생산성본부 2024-05-09 149
2517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응 기반(인프라)구축 지원사업 참여기업 2차 모집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5-09 218
2516 산재신청! 이젠 휴대폰으로 간편하게 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5-09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