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로 업무 능률 향상 및 우수한 직원의 장기근속 기대”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2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03

 “결혼과 육아로 인해 퇴사하는 직원들을 보면서 유연근무 도입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젊은 직원들이 많아 유연근무가 도입되면 업무 능률이 오르고 우수한 근로자의 장기근속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케이피티 이재욱 대표이사는 유연근무에 대한 기대감을 이렇게 밝혔다.

  5.31.(고용노동부 이정한 고용정책실장은 유연근무 종합컨설팅에 참여하고 있는 ㈜케이피티를 찾아 대표이사근로자컨설턴트와 간담회를 갖고 컨설팅 진행 상황 점검 및 애로사항?건의사항 등을 청취했다.

  ㈜케이피티는 화장품 캡슐 소재를 만드는 중소 제조업체확장성이 뛰어난 캡슐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선두기업으로 평가된다직원의 평균 연령이 35로 젊은 기업이며근로자 93명은 사무직(49)과 생산직(44)으로 구성되어 있고이중 직장맘 ㄱ씨를 포함한 2명이 시범적으로 시차출퇴근을 적용받고 있으며앞으로 고용노동부 컨설팅을 거쳐 생산직 외 전 직원(49명)에게 시차?선택근무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ㄱ씨는 “3살 아이가 있는데어린이집에서 우리 아이가 제일 먼저 등원하고, 가장 늦게 하원한다고 하더라어린아이들은 자주 아프기도 하는데이런 일이 반복되면 퇴사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라며“현재는 유연근무 시범 적용으로 큰 도움을 받고 있고그래서 더 열심히 일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라고 말했다.

  유연근무 종합컨설팅은 해당 기업의 업종?직무 특성 등을 분석하여 최적의 유연근무 도입 및 활용 방법을 제시해주는 사업이다기업별로 약 12주 동안전문 컨설턴트가 기업 진단?분석인사노무제도 및 정보기술(IT) 기반 설계정부의 재정지원 안내?신청규정 마련 및 시범운영을 한 후 사후관리까지 지원한다원하는 기업에는 유연근무 인프라 구축비 및 장려금도 패키지로 지원한다.

 

  이 회사 인사담당 ㄴ씨는 “과거 유연근무는 대기업과 공기업에서 주로 시행되는 것이라는 인식과 함께 제조업 특성으로 쉽사리 도입하기 어려웠으나최근 기업들의 관심 증가젊은 세대의 인식변화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으로 인해 컨설팅을 신청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이정한 실장은 “최근 ㈜케이피티처럼 유연근무에 관심 갖는 기업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오늘은 제조업도 체계적인 컨설팅을 통해 충분히 유연근무를 도입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앞으로 컨설팅인프라 구축비 지원 및 장려금 지원 등을 더욱 내실있게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고용노동부는 기존의 재택근무 ‘컨설팅’ 및 ‘인프라 지원’을 올해부터 유연근무 전체로 확대했다특히 육아기 자녀를 둔 근로자의 유연근무에 대해서는 재택?원격?선택근무 장려금을 월 최대 30만원에서 40만원으로 상향하고 시차출퇴근도 월 최대 20만원의 장려금을 신설?지하고 있다.



(2024.05.31 고용노동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3611&pageIndex=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4,A00007,A00002,A00033,A00031,A00037,A00009,A00008,A00015,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03&endDate=2024-06-03&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597 온열질환이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는 작업을 중지해야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3 90
2596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행복한 워라밸 행복산단을 만들어나갑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3 85
2595 사회적기업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사회적가치지표(SVI) 활용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100
2594 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따뜻한 기술,제19회 대한민국 보조공학기기 박람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99
2593 국제환경규범 대응 위한 인재 키운다… 환경·사회·투명 경영 전문인력 양성과정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112
2592 국민과 함께 미래로, 녹색강국 대한민국… 2024년 환경의 날 기념식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102
2591 과기정통부, 실전형 사이버보안 인재 집중 육성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107
2590 장애인 배드민턴 발전과 장애인 고용 인식개선을 위해 상호 지원 협약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108
2589 모두가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 구축과 장애인고용 증진을 위한 협력!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87
2588 환경부-6개 기업, 지속가능한 환경교육 위해 손잡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92
2587 울산 산업단지 출퇴근용 내연이륜차, 전기이륜차로 바뀐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87
2586 커피 찌꺼기가 쟁반으로 재탄생… 국내 1호 순환자원사용제품 확인서 발급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94
2585 디지털을 통한 자립준비청년 도약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91
2584 2024년 대한민국 환경사랑공모전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11 110
2583 한-다자개발은행 협력, 개도국 녹색전환 앞당겨 한국생산성본부 2024-06-03 128
2582 자동차업계 상생의 온기가지역 곳곳 중소협력업체로 이어집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03 125
2581 “유연근무로 업무 능률 향상 및 우수한 직원의 장기근속 기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6-03 128
2580 농식품부-환경부가 “같이” 가축분뇨의 새로운 “가치”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03 120
2579 상생협력으로 동반성장에 앞장선 유공자를 찾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5-31 138
2578 가정과 지구를 지키며 구매해요… 2024 녹색소비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5-31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