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이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을 때는 작업을 중지해야 합니다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0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13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6월 5() 13:30지에스건설()에서 시공하는 서울시 마포구 공덕동 소재 주택 재건축 정비사업 현장* 방문하여 여름철 대표적 위험요인인 폭염과 집중호우 대비 관리실태를 점검했다.

   * (주소) 서울시 마포구 공덕동 105-84번지 일대, (공사금액) 4,215억원, (공정률) 5.7%

 

  고용노동부는 올해 여름철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폭염 대비 근로자 건강보호 대책*?을 수립하여 사업장의 온열질환 예방 활동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 5월 29일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유통기업을 방문한 데 이어 이성희 차관도 건설현장을 방문하여 사업장의 온열질환 예방대책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 폭염 예보 및 온열질환 예방가이드 신속 전파, 이동식에어컨 및 그늘막 등 온열질환 예방시설 재정지원온열질환 예방조치 이행여부 집중 점검 등(24.5.22. 보도자료 참조)

 

  방문 현장은 굴착흙막이 설치 등 기초 토목공사를 진행하면서 옥외작업의 비중이 커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곳이다. 이에 이동식 에어컨과 이 구비된 휴게시설얼음물얼음 목도리 등 근로자 보냉제품폭염 시 작업 중지 사례 등 대응 상황을 점검했다또한집중호우로 인한 굴착면 붕괴감전 등 장마철 위험요인을 안내하고, 안전조치 마련 여부를 확인했다.

 

  이성희 차관은 현장소장에게 폭염 대비 안전점검표와 쿨토시?쿨타올 등을 전달하면서, “건설현장은 대표적인 온열질환 취약업종으로 이에 대비한 안전조치를 준수하고폭염 예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온열질환이 발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작업중지 등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고용노동부도 6월부터 8월까지를 ?폭염·호우?태풍 특별대응기간?으로 정하고본격적인 폭염과 장마철이 오기 전부터 관계기관·민간재해예방기관 협력하여 꼼꼼하게 대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4.06.05 고용노동부)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875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을 위한 시민단체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8
2874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아카데미 일반과정 시범운영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854
2873 대학생 폭력예방교육 활성화를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1
2872 이미지 합성 기술(딥 페이크) 성범죄 근절을 위해 여가부·과기정통부가 손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6
2871 청소년 마음건강 지원 현장 비결 공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8
2870 혁신적 의료 공급·이용체계 확립 추진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5
2869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의 국제 평화·안보 증진 기여 방안 등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7
2868 폐업 소상공인의 재창업성공을 위한 현장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8
2867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을 위해 3천 7백억 원 규모 특례 대출과 보증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52
2866 관계부처, 티메프 여행상품 소비자 피해 최소화 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7
2865 국민연금, 미래세대의 목소리를 듣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3
2864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민·관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8
2863 유출지하수, 다용도로 활용한다… 수자원 대체 효과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3
2862 화학물질안전원-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자체 화학사고 대피계획 강화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4
2861 탄소규제 대응을 위한 탄소국경조정제 설명회 및 국제 동향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6
2860 건강영향조사 지역주민에 대한 건강검진 지원사업 확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87
2859 호남지역 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해 지자체와 전력망 적기건설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563
2858 한미 연구기관, 야생동물 질병 관리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0
2857 KB부동산과의 협업을 통한 국유재산 정보의 국민 이용 활성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3
2856 성별영향평가로 바꾸어 나가는 우리의 일상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