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약자 보호·지원,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만드는 노동개혁

담당부서 : 고용노동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2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13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되는 제112차 국제노동기구(ILO) 총회(6.3.() ~ 6.14.())에 참석하여 현지 시각 6.10.() 14:55(한국시각 6.10.() 21:55)본회의 기조연설을 했다.

 

  이 장관은 인구구조 변화, 기술발전 등 경제·사회가 급변함에 따라 노동약자를 불공정불평등에서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하고, 국제노동기구(ILO) 사무총장 보고서 ‘새로운 사회계약을 향해(Towards a renewed social contract)의 비전과 같이 노사정이 불법을 배격하며 힘을 모아 대화하고, 연대함으로써 상생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공감하면서,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를 창출하는 지속 가능한 노동시장 구축을 위한 우리 정부의 노동개혁 정책을 소개했다.

 

  특히노동약자들이 일터현장에서 겪는 다양한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보호?지원을 강화하려는 계획과 임금체불 등 불법행위에 대한 신속한 피해구제 정책 등을 강조했다이는 지난 5월 14일 대통령 주재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감사합니다함께 보듬는 따뜻한 노동현장”)의 논의 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아울러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일?가정 양립 지원, 신산업?신기술 분야 직업훈련 확대와 산재?고용보험 제도 개선을 통한 일자리 중심의 사회안전망 확충 등의 정책도 소개했다.

 

  이 장관은 노동개혁 방향인 ‘일하는 사람 모두가 존중받고건강하게 일하며, 공정하게 보상받는 일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힘의 논리폭력·협박 등 불법적 수단을 사용한 문제해결 방식이 아니라노사정이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가 중요하다며노사정이 함께 적극적 논의를 통해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만드는 데 앞장설 것임을 밝혔다.

 

  이 장관은 11일 오후에는 국제노동기구(ILO) 질베르 웅보 사무총장을 만나 노동약자 지원 및 노동권 보호를 위한 우리 정부의 정책을 설명하고, ?2024-2026 -국제노동기구 협력사업(이하‘한-ILO 협력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약정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날 약정으로 우리나라가 향후 3년간(24~26국제노동기구와의 협력사업*에 지원하는 금액은 126억 원(915만 달러)으로, 사상 처음으로 100억 원을 넘어서게 된다*. 우리 정부는 국제노동기구와의 협력을 통해  중?저소득 국가의 일자리와 사회보호 사각지대 해소를 목적으로 하는 글로벌 액셀러레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사업을 지원할 예정이다.

 

  * 협력사업 규모: (’15~’17년) 33억원 → (’18~’20년) 40억원 → (’21~’23년) 59억원 → (’24~’26년) 126억원

 

 ** 글로벌 엑셀러레이터(Global Accelerator): 2030년까지 중?저소득 국가에 4억 개의 일자리 창출과 40억 명의 사회보호 사각지대 해소를 목표로 국제적 정책공조 및 투자 지원, ’22년부터 한-ILO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총 52만불 기 지원
 

?

?

(2024.06.10 고용노동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4911&pageIndex=7&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13&endDate=2024-06-13&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875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전략 이행을 위한 시민단체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8
2874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아카데미 일반과정 시범운영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852
2873 대학생 폭력예방교육 활성화를 위한 관계기관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1
2872 이미지 합성 기술(딥 페이크) 성범죄 근절을 위해 여가부·과기정통부가 손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6
2871 청소년 마음건강 지원 현장 비결 공유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8
2870 혁신적 의료 공급·이용체계 확립 추진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5
2869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의 국제 평화·안보 증진 기여 방안 등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7
2868 폐업 소상공인의 재창업성공을 위한 현장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8
2867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을 위해 3천 7백억 원 규모 특례 대출과 보증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52
2866 관계부처, 티메프 여행상품 소비자 피해 최소화 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7
2865 국민연금, 미래세대의 목소리를 듣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3
2864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민·관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8
2863 유출지하수, 다용도로 활용한다… 수자원 대체 효과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3
2862 화학물질안전원-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자체 화학사고 대피계획 강화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4
2861 탄소규제 대응을 위한 탄소국경조정제 설명회 및 국제 동향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6
2860 건강영향조사 지역주민에 대한 건강검진 지원사업 확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87
2859 호남지역 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해 지자체와 전력망 적기건설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563
2858 한미 연구기관, 야생동물 질병 관리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0
2857 KB부동산과의 협업을 통한 국유재산 정보의 국민 이용 활성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3
2856 성별영향평가로 바꾸어 나가는 우리의 일상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