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초대형 사업" 추진

담당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7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28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초대형 사업“ 추진

이산화탄소 포집부터 활용까지 전주기 가치사슬 구성으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서업 모형 확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arbon Capture & Utilization) 기술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해 6월 19(실증 부지선정 공고를 시작으로 ‘CCU 메가 프로젝트’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CCU 메가 프로젝트 개요 및 추진 배경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은 발전 및 산업공정 등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획하여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로,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신속한 확보 필요성이 대두되었다이에 과기정통부는 작년 12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고도화 전략’을 발표하며, CCU 기술을 조기에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해당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CCU 메가 프로젝트’는 ?연구개발 주체(출연연대학 등)는 물론?이산화탄소 발생원이 존재하는 수요기업?CCU 제품 활용 기업?감축량 평가·검증 기관 등이 모두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산화탄소 공급부터 제품 활용까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전주기 밸류체인을 구성하여 CCU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대규모 실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나의 컨소시엄을 통해 연간 4,000톤 규모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석유화학·철강·시멘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별 복수의 컨소시엄 운영을 통해 대규모 이산화탄소 감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그동안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은 높은 기술적 난이도와 낮은 경제성 등을 이유로 상용화까지의 연계가 미약했으나, 본 CCU 메가 프로젝트를 통해 민관 공동 실증으로 성공사례를 창출하여 CCU 기술의 민간 확산을 유도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추진 계획

 

  대규모 실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절차로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하는 공모 통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을 위한 시설·설비가 구축될 부지를 선정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 부지 선정 절차를 기반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2026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

 

  해당 절차는 (1단계)실증부지 유치계획(2단계)컨소시엄 구성을 포함한 실증계획 등 단계별 평가를 통해 진행되며, 6월 19() 공고를 시작으로 사업설명회(6월 25일 잠정)를 거쳐, 약 1개월 기한으로 실증부지 유치계획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선정의 공정성·객관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를 운영하고부지의 적합성을 포함하여 실증계획의 구체성 등을 중심으로 평가를 진행하여 실증 부지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평가 기준세부 일정 등 본 사업의 상세한 공고 내용 과기정통부(www.msit.go.kr), 한국연구재단(www.nrf.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차관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수단”이라며유관 기업과 협력을 기반으로 CCU 메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고국내 산업의 탄소중립 대응능력을 제고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06.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6330&pageIndex=2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28&endDate=2024-06-28&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825 부산항 위기 대응을 위한 통합방호훈련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70
2824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지역별 주민 설명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20
2823 폭염에 따른 녹조 저감과 먹는물 안전 확보에 적극 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43
2822 대규모 수질오염사고 대비 10개 기관 합동 방제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23
2821 주택공급 확대방안, 속도감 있게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31
2820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정보제공 동의를 의무화하는 방안은 결정된 바 없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40
2819 모든 지자체 재난안전 담당자, 재난예방 업무에 「마을 간이무선국」 이용 가능해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16
2818 27개국 참여, 국제 온실가스 교육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27
2817 생산, 유통, 소비 전주기 순환이용 촉진으로 순환경제사회 전환 앞당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49
2816 정부, 온라인 플랫폼 포함, 추석 맞이 농·수산물 원산지 표시 및 안전성 일제점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39
2815 전자식물검역증명서(ePhyto), 이제는 태국과 칠레까지!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07
2814 농식품부·해수부·협력재단 공동, ‘2024년 농어촌 환경·사회·투명경영(ESG) 실천인정제’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05
2813 모든 외국인 근로자 안전 교육 의무적 실시 신속 대피 위한 시설 개선 등에 최대 1억 원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83
2812 사이버 침해사고 대응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358
2811 배달플랫폼-입점업체 상생협의체 제2차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76
2810 재난안전산업의 자생적 성장 기반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86
2809 야외 공공근로자 및 취약가구 폭염대응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94
2808 최고의 일터를 더욱 빛나게 할 “일터혁신 우수기업 인증”에 도전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339
2807 환경부는 생활폐기물 처리 통계를 계속 고도화하고 있음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99
2806 장애인 창업과 기업 육성 통한 경제·복지를 포괄하는 진정한 생산적 복지 구현!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