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초대형 사업" 추진

담당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6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6-28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초대형 사업“ 추진

이산화탄소 포집부터 활용까지 전주기 가치사슬 구성으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서업 모형 확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arbon Capture & Utilization) 기술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을 지원하기 위해 6월 19(실증 부지선정 공고를 시작으로 ‘CCU 메가 프로젝트’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CCU 메가 프로젝트 개요 및 추진 배경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은 발전 및 산업공정 등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획하여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로,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신속한 확보 필요성이 대두되었다이에 과기정통부는 작년 12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고도화 전략’을 발표하며, CCU 기술을 조기에 상용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해당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CCU 메가 프로젝트’는 ?연구개발 주체(출연연대학 등)는 물론?이산화탄소 발생원이 존재하는 수요기업?CCU 제품 활용 기업?감축량 평가·검증 기관 등이 모두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산화탄소 공급부터 제품 활용까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전주기 밸류체인을 구성하여 CCU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대규모 실증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나의 컨소시엄을 통해 연간 4,000톤 규모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석유화학·철강·시멘트 등 다양한 산업 분야별 복수의 컨소시엄 운영을 통해 대규모 이산화탄소 감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그동안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은 높은 기술적 난이도와 낮은 경제성 등을 이유로 상용화까지의 연계가 미약했으나, 본 CCU 메가 프로젝트를 통해 민관 공동 실증으로 성공사례를 창출하여 CCU 기술의 민간 확산을 유도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추진 계획

 

  대규모 실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절차로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하는 공모 통해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을 위한 시설·설비가 구축될 부지를 선정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 부지 선정 절차를 기반으로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2026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예정

 

  해당 절차는 (1단계)실증부지 유치계획(2단계)컨소시엄 구성을 포함한 실증계획 등 단계별 평가를 통해 진행되며, 6월 19() 공고를 시작으로 사업설명회(6월 25일 잠정)를 거쳐, 약 1개월 기한으로 실증부지 유치계획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선정의 공정성·객관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를 운영하고부지의 적합성을 포함하여 실증계획의 구체성 등을 중심으로 평가를 진행하여 실증 부지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평가 기준세부 일정 등 본 사업의 상세한 공고 내용 과기정통부(www.msit.go.kr), 한국연구재단(www.nrf.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차관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탄소중립을 실현할 수 있는 핵심수단”이라며유관 기업과 협력을 기반으로 CCU 메가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고국내 산업의 탄소중립 대응능력을 제고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06.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6330&pageIndex=26&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6-28&endDate=2024-06-28&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650 고용노동부, 경기도 화성 화재사고 관련 중앙산업재해수습본부 구성·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92
2649 행정안전부 장관, 화성 공장 화재 현장점검 비회원 2024-06-28 302
2648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공장 화재 관련 외국인 피해자 지원 방안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14
2647 순환경제 신사업 아이디어, 국민에게 듣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86
2646 여름철 배달종사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민-관이 힘을 합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59
2645 제2회 ‘생물 체험 교구 개발 공모전’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72
2644 정신장애 예술인 부부작가전 ‘따로 또 같이(Apart and together)’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18
2643 제1차 한-베트남 기후변화 협력 공동위(JWG)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34
2642 금융통신 취약계층 재기지원 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19
2641 친환경 에너지 바이오가스 산업 키운다… 유기성 폐자원 처리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18
2640 기후적응 전문가 모여 적응정보 표준화 협력방안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17
2639 포용의 가치를 담아 따뜻한 디지털 세상을 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92
2638 고용노동부 장관-검찰총장, 임금체불 근절·산업재해 예방 등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80
2637 중대재해 예방, 지속 가능한 조선업 성장의 밑거름입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96
2636 폭염 취약계층 안전 현장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71
2635 우리 선박·선원 보호를 위해 해양수산부-외교부 함께 힘 모은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57
2634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초대형 사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66
2633 무더운 여름철 노인일자리 안전하게 참여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69
2632 전기차 배터리 서비스 산업, 새로운 성장 기회로 민·관이 함께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67
2631 어린이집 등 여성 다수 종사업종도 육아지원제도 부담없이 사용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