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탄소배출 없는 글로벌 녹색해운항로 구축에 앞장선다

담당부서 : 해양수산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31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09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국제해운 탈탄소화 선도와 국익 창출을 위한 「글로벌 녹색해운항로 추진전략」을 마련하고이를 ‘제29회 국무회의’에서 보고하였다고 밝혔다.

 

  녹색해운항로는 무탄소 연료 또는 친환경 기술을 활용한 해상운송 전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없는 항로를 의미하며,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규제 강화에 따라 친환경 해운?조선 산업을 주도하려는 국가의 주요 핵심 정책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미 국내 조선소 수주 선박의 78% 이상이 친환경선박으로 건조되고 있으며, 로테르담상하이싱가포르 등 주요 거점 항만을 중심으로 전세계 총 44개의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이 발표*되는 등 해운·항만 탈탄소화 선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 세계해사포럼(Global Maritime Forum)의 연구보고서 ‘Annual progress report on green shipping corridors’ (‘23.11.)

 

 우리 정부 또한 이러한 국제적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기 위해 작년에 개최된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APEC)에서 “대한민국의 친환경 해운 솔루션을 바탕으로 지구 각지의 녹색항로를 연결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해양수산부는 이를 체계적으로 실현해 나가기 위한 세부 추진전략을 마련하였다.

 

전략 ? 한-미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

 

 첫 번째-미 중앙정부 간 협력을 통해 세계 최초 태평양 횡단 ‘녹색해운항로’를 구축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22년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한-미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을 발표한 후, 사전 타당성 조사를 통해 부산·울산항과 미국 시애틀·타코마 항 간 컨테이너선 항로와 자동차운반선 항로를 ‘예비 녹색해운항로’로 선정하였다.

 

  올해에는 이 두 개 항로에 대한 기술적, 제도적,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통해 세부 로드맵을 수립하고내년부터는 친환경 연료공급 기술 등에 대한 연구개발사업(R&D) 수행과 민·관 합동 실증을 추진하여 ‘27년부터 녹색해운항로를 운영할 계획이다.

 

  한-미 간 녹색해운항로 운영이 본격화되어 컨테이너 선박 한 척이 부산항과 시애틀항 사이를 1년 동안 그린 메탄올그린 암모니아 등 무탄소연료로 운항하는 것을 가정하였을 때자동차 약 32,000여대의 연간 탄소배출량에 상당하는 탄소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부산항-미 북서부 항만(시애틀항 등)간 8개 정기노선투입선박 약50(24.6 기준)

 

전략 ? 녹색해운항로 확대 및 연계

 

 두 번째, 호주, 싱가포르, 덴마크 등 주요 해운국과 녹색해운항로의 확대·연계를 추진한다.

 

  친환경 수소·암모니아 시장 공급망 구축을 추진 중인 호주와 녹색해운항로를 구축하여 친환경 에너지 운송을 활성화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해 나갈 계획으로, 올해 호주와 공식 협력 방안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공동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아시아 주요 허브항만 국가인 싱가포르와는 내년 한국-싱가포르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을 추진하여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유럽을 잇는 ’메가 녹색해운항로‘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대표적인 해양기술 강국인 덴마크와는 기술협력 양해각서(MOU) 체결연구기관 간 교류를 통해 무탄소 선박 실증·보급 확산 등 친환경 선박 기술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전략 ?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기반 조성

 

 세 번째, 친환경 연료공급 실증 및 제도 마련을 통해 녹색해운항로 구축 기반을 마련한다.

 

 친환경선박 전환 및 녹색해운항로 시범운항 등 국제적 수요에 맞춰 그린 메탄올그린 암모니아 등 친환경연료 공급·실증을 추진하고안정적 공급망 조성을 위해 표준화된 공급 절차와 안전 지침 등을 마련하여 녹색해운항로 구축을 위한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전략 ? 국제해운 탈탄소화 지원 강화

 

  네 번째개도국 등을 대상으로 ’한국형 녹색해운항로 솔루션‘을 제공하고 국제협력을 강화한다.

 

  국제해사기구(IMO)와 함께 공동으로 추진 중인 탈탄소 정책 교육 프로그램* 연계하여 저개발국을 대상으로 녹색해운항로 구축 교육 및 컨설팅을 추진하고, 아시아중남미 국가 대상의 기술지원을 확대하는 등 ’한국형 녹색해운항로 솔루션‘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 우리나라 IMO 공동, 저개발국 등 대상으로 국제해운 온실가스 감축 교육 프로그램(GHG-SMART, Sustainable MARitime Transport) 시행 중(’22~)

 

  해양수산부 강도형 장관은 “녹색해운항로는 범 지구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 이행수단이자 글로벌 해운시장 재편의 열쇠”라며, “2050년 국제해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선도적인 대응과 함께 우리나라 해운·조선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글로벌 녹색해운항로를 촘촘하게 만들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4.07.03 해양수산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9373&pageIndex=9&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7-09&endDate=2024-07-0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655 육아 친화적 근로환경 조성을 위해 육아지원제도 확대 및 기업부담 완화 등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79
2654 경기 화성 공장 화재피해 응급복구를 위한 긴급 재정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91
2653 에너지·자원 해외진출 공기업의 잠재적 국제분쟁 대응에 지원 나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56
2652 19종의 재난안전제품 인증으로 재난안전관리 수준을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82
2651 경기 화성시 공장화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89
2650 고용노동부, 경기도 화성 화재사고 관련 중앙산업재해수습본부 구성·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02
2649 행정안전부 장관, 화성 공장 화재 현장점검 비회원 2024-06-28 312
2648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공장 화재 관련 외국인 피해자 지원 방안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23
2647 순환경제 신사업 아이디어, 국민에게 듣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96
2646 여름철 배달종사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민-관이 힘을 합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69
2645 제2회 ‘생물 체험 교구 개발 공모전’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82
2644 정신장애 예술인 부부작가전 ‘따로 또 같이(Apart and together)’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28
2643 제1차 한-베트남 기후변화 협력 공동위(JWG)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47
2642 금융통신 취약계층 재기지원 방안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37
2641 친환경 에너지 바이오가스 산업 키운다… 유기성 폐자원 처리에서, 재생에너지 생산으로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26
2640 기후적응 전문가 모여 적응정보 표준화 협력방안 모색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25
2639 포용의 가치를 담아 따뜻한 디지털 세상을 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401
2638 고용노동부 장관-검찰총장, 임금체불 근절·산업재해 예방 등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87
2637 중대재해 예방, 지속 가능한 조선업 성장의 밑거름입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305
2636 폭염 취약계층 안전 현장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6-28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