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산업 수주·수출 순항… 민관원팀 효과로 올해 상반기 15조 원 달성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8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09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올해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녹색산업 수주·수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 15조 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한 해 동안 20조 4,966억 원의 실적을 달성한 것을 감안하면 올해 빠른 속도로 수주·수출 실적을 거두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1녹색산업의 해외 진출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산업계, 금융기관공공기관과 함께 녹색산업 협의체(얼라이언스)를 구성했으며, 현재 72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환경부는 참여기관과 밀접한 소통과 협력을 위해 기업별 1전략회의를 수시로 개최하여 사업(프로젝트)별 애로사항을 파악하고맞춤형 지원방안을 수립 후 상대국 정부 및 발주처에 제공하는 등 녹색산업의 수주·수출 확대를 위해서 전방위적 노력을 펼치고 있다.

 

  상반기 대표적인 녹색산업 수주 성과로는 오만에서 수주한 해수담수화 사업(지에스이니마) 및 그린수소 생산사업(삼성물산),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주한 상하수도 설계 사업(건화)이 있다.

 

  지에스이니마(GS Inima)가 오만에서 수주한 해수담수화 사업은 당초 2020년 12월에 수주했으나발주처의 부지 변경 요청으로 착공되지 못하고 사업이 중단되었다.

 

 

  환경부는 지난해 8월 한화진 장관을 단장으로 수주지원단을 오만에 파견하여 살렘 빈 나세르 알 아우피(Salim bin Nasser Al Aufi) 오만 에너지광물부 장관을 만나 해당 사업의 조속한 재개를 요청했고, 알 아우피 장관은 빠른 시일 내에 사업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화답한 바 있다.

 

  또한 환경부는 오만을 그린수소 중점 지원 국가로 선정하여 사업 타당성조사, 고위급 및 실무급 수주지원단 파견오만 측 정부 인사 국내 초청 등 전방위적 수주 지원 활동을 펼쳤으며그 결과 삼성물산포스코홀딩스 등 국내기업들이 오만 정부로부터 그린수소 생산 사업권을 획득하여 투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국내 엔지니어링사인 건화는 올해 1월 18일 사우디아라비아의 6 권역 상하수도 확장 및 개선 사업 중 3개 권역의 설계사로 최종 선정되었다. 

 

  국내기업이 사우디아라비아 상하수도를 설계함으로써 후속으로 발주 예정인 건설시공 등 본사업(약 6조 원) 입찰 참여에 국내 건설사의 유리한 여건이 조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환경부는 사우디아라비아 상하수도의 설계부터 시공까지 국내기업이 수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해 5월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수주지원단 단장으로 사우디아라비아에 파견하여 압둘라만 빈 알둘모센 알 파들리(Abdulrahman bin Abdulmohsen Al Fadley) 환경수자원농업부 장관을 만나 우리나라 상하수도 설계기술의 우수성을 적극 소개한 바 있다.

 

  아울러 작년부터 올해까지 23개국 현지에 녹색산업 수주지원단을 37회 파견했다. 해외사업의 특성상 수주 지원의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물 산업, 폐기물 에너지화, 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녹색 분야에서 수주가 성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2조 원임기 내 100조 원의 수주·수출 효과 창출이라는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녹색산업 수주지원단 파견을 통해 협상 지원부터 수주사후관리까지 기업의 해외 진출 전 과정을 지원하고 있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상반기에 거둔 15조 원의 실적은 민관원팀으로 정부를 믿고 함께해 준 산업계의 땀과 노력의 결실이다”라면서“국내기업이 세계 녹색시장의 탄소중립과 녹색전환을 선도적으로 견인하여 녹색산업 수출 강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2024.07.04 환경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39522&pageIndex=8&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7-09&endDate=2024-07-0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715 “대표이사(CEO)가 직접 현장을 살펴야 건설현장이 바뀝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7-19 265
2714 장애인의 기능향상을 위해 민·관이 뭉치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7-19 262
2713 KOLAS, 탄소중립 및 기술혁신 지원에 힘 싣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707
2712 전국 폐지수집 노인 14,831명 발굴, 노인일자리 4,787명 참여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355
2711 녹조 대비 안전한 수돗물 공급체계 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361
2710 2024년 사회적가치지표(SVI) 측정기업 2차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389
2709 근로복지공단과 카카오뱅크가 함께 하는 이유는?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316
2708 손실과 피해 기금과 녹색기후기금 지원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녹색 사다리 역할 수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339
2707 유럽연합(EU) 공급망 실사지침,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346
2706 최고의 재난안전 기술·제품 국민 여러분이 직접 선택해 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316
2705 물류센터의 온열질환 예방 상황 점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364
2704 치매환자와 발달장애인 실종 예방을 위한 민·관 협력 배회감지기 지원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325
2703 무색 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늘린다… 먹는물·음료 업계와 협약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298
2702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와 직업능력개발을 위해 근로복지공단과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함께합니다” [출처] 대한…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260
2701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국민과 함께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제도 만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273
2700 범정부 합동, ‘전지 공장 화재 재발방지 TF’ 첫 회의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248
2699 전기차 시대로 전환 위해 내연기관 차량 정비업계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292
2698 기후위기에 강한 정동진 해변 조성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254
2697 현수막 게시대, 폐의약품 수거함 앞으로 더욱 간편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263
2696 “다시 용기 내어 당당히 삶의 현장으로, 산재보험이 함께 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7-09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