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탄소 시대, 에너지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 전략”수립

담당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86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7-29

업화 기반을 구축한다우선, 핵융합 기술에 대한 민간의 관심을 제고하고 기술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민간기업, 대학, 출연(연) 등으로 구성된 ‘핵융합 혁신 토론회’를 출범(24.)한다또한대형 연구 기반시설 구축 등을 계기로 민간 기업에 대한 내수시장 활성화와 핵융합 관련 민간의 신생기업 창업과 시장의 조기 안착 지원하기 위한 ‘K-Fusion Startup 사업’을 추진한다또한, 공공기술의 민간 확산과 상용화 등을 지원하는 전담기관 지정·운영을 통해 기술 산업화 촉진한다.

 

  둘째?국내 핵융합 기업에 대한 세계시장 진출을 지원한다단기적으로는 한국형핵융합연구로(KSTAR) 설계·건설 경험으로 확보한 기술력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등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쌓은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해외 연구장치 건설 사업 수주 지원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잠재 수출국 규제 수요를 분석해 국가별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핵융합 종합 수출정보 플랫폼’을 구축하여 해외 기술·규제 동향 및 발주·입찰 정보 제공을 통해 실증로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셋째, ?핵융합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 및 확산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산업 수요에 맞춰 중성자 및 저온 플라즈마 기술 분야 등 핵융합 관련 기술의 산업적 활용을 다양화하고 관련 신산업을 창출할 계획이다구체적으로 -관 협력 기반 대형 연구개발 과제를 기획·추진하여 핵융합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 및 확산 뒷받침할 예정이다.

 

< 중성자 활용 분야 예시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중성자-활용-분야-예시.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27pixel, 세로 165pixel

 

< 저온 플라즈마 활용 분야 예시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저온-플라즈마-활용-분야-예시.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26pixel, 세로 165pixel

 

[전략3] 핵융합에너지 혁신 생태계 조성

 

  , ?-관 협력 기반의 핵융합 개방형 연구생태계를 강화한다공공의 연구성과와 설계역량을 대학·기업에 확산할 수 있도록 개방형 연구협력 체계 구축한다전문 연구기관(핵융합())이 국내 핵융합 연구의 거점역할 수행할 수 있도록 협력기능을 강화하고, 민간 중심의 연구개발 지원체계로 전환한다이와 더불어 민간이 한국형핵융합연구로(KSTAR)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민간기업의 실험 참여 확대하는 등 공공의 인프라를 민간에 적극적으로 개방한다또한대학과 기업이 한국형핵융합연구로(KSTAR),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등을 통해 축적된 핵융합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핵융합 빅데이터 센터”를 구축하핵융합 분야 혁신기술 개발  난제 해결을 위한 첨단 연구 기반시설 수요도 발굴해 구축할 예정이다.

 

  둘째?핵융합 인력수요 확대 대응을 위한 전문인력 확보·양성을 추진한다. 핵융합 분야 연구·산업 확대에 따른 인력 수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학의 핵융합 전공 및 과목을 신설·확대하고국제핵융합실험로(ITER)와 연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확충한다또한해외 우수연구자 유치와 정착을 위해 인건비 제도개선유치기관에 대한 유인책 제공 등도 적극 검토한다중장기적으로는 미래 핵융합 인력 수요와 공급 분석을 바탕으로 안정적 인력 수급을 위한 양성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셋째, 혁신생태계 조성의 일환으로 ?국제적 지도력을 강화하고 협치 체계를 주도하기 위한 기반도 마련한다국제 기준에 맞춰 원자력과 구별되는 별도의 핵융합 규제체계 개발을 위한 전담 조직을 설치하는 한편, 국제기구 핵융합로 개발 국가와의 규제 협력도 강화한다또한선행시험 장치로써 한국형핵융합연구로(KSTAR)를 활용하여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의 핵심 난제 해결에 기여함으로써 국제적 지도력을 강화하는 한편미국유럽일본 등 국가 간 연구시설의 전략적 공유 및 공동 연구 등을 통해 핵융합에너지 산업화 기반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과기정통부는 -관 합동으로 핵융합 혁신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기반 구축을 위한 1.2조원 규모의 ‘핵융합 혁신형 기술개발 및 기반 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도 기획 추진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종호 장관은 “핵융합에너지는 에너지 문제 및 전력수요 증가 문제의 해결책으로, 미래에는 핵융합에너지 기술을 확보한 나라만이 세계 에너지 시장을 주도할 수 있다.”라고 강조하며,

 

  “민-관 협력 중심의 연구개발 전환과 핵융합 생태계 강화를 통해 핵융합에너지를 조기에 확보하여 에너지 패권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07.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2192&pageIndex=13&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7-29&endDate=2024-07-29&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835 청년 대상 정신건강 분야 다양한 진로 탐색기회 제공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9
2834 제품안전 확보 위해 전문가들 한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94
2833 탄소중립 달성할 한국형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가속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63
2832 정신질환자 돌봄 가족 대상 처음으로 생활 및 서비스 수요 실태 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10
2831 임금체불은 심각한 민생범죄, 48개 지방고용노동청(지청)장이 해소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1,943
2830 더 안전한 생활화학제품 알립니다… 세정제 등 화학물질저감 우수제품 11개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81
2829 산촌 마을부터 광역시 번화가까지 지역 고유특성으로 지역경제 살린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47
2828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위한 설명회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36
2827 근로자 임금은 체불!, 처·며느리는 허위로 고액 임금을 지급한 건설업체 대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68
2826 교육부·과기정통부·산업부, 지역발전 협업 프로젝트 시동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43
2825 부산항 위기 대응을 위한 통합방호훈련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76
2824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지역별 주민 설명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25
2823 폭염에 따른 녹조 저감과 먹는물 안전 확보에 적극 대응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48
2822 대규모 수질오염사고 대비 10개 기관 합동 방제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26
2821 주택공급 확대방안, 속도감 있게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41
2820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정보제공 동의를 의무화하는 방안은 결정된 바 없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43
2819 모든 지자체 재난안전 담당자, 재난예방 업무에 「마을 간이무선국」 이용 가능해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19
2818 27개국 참여, 국제 온실가스 교육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31
2817 생산, 유통, 소비 전주기 순환이용 촉진으로 순환경제사회 전환 앞당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54
2816 정부, 온라인 플랫폼 포함, 추석 맞이 농·수산물 원산지 표시 및 안전성 일제점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23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