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과기정통부·산업부, 지역발전 협업 프로젝트 시동

담당부서 : 교육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43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8-23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와 함께 822(), 지역발전 정책의 협업을 촉진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합동 정책을 발표한다.

교육부와 과기정통부, 산업부는 지역의 대학-산업-출연연의 동반 성장을 위해 부처 간 긴밀한 협업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함께하고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이하 라이즈’)*를 바탕으로 인재양성-·창업-연구개발-정주의 지역발전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교육부는 대학재정지원 권한을 지자체에 위임하고 지자체는 대학과 협력적 동반 관계를 구축하여 지역발전 전략과 연계한 대학 지원을 실시하는 체계

협약식 이후 간담회에서 세 부처는 합동 정책으로 라이즈 체계에서 이루어질 부처 간 협업 내용을 구체화한 지역발전 프로젝트 협업 방안을 발표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부와 산업부는 지역산업 수요 맞춤형 인재 양성을 지원한다. 산업부가 지역산업 활력 투자기금(펀드)*을 통해 지역 유망 기업의 기술사업화 자금을 지원하면, 교육부는 지역 대학이 해당 기업에서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해 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개설할 수 있도록 라이즈 체계에서 지원한다.

* 비수도권 소재 유망 기업에 투자하는 산업부의 정책 투자기금(펀드)으로, 현재 260억 원 규모의 1차 투자기금을 운용 중이며, 올해 말까지 1,100억 원 규모의 2차 투자기금 추가 조성 예정

둘째, 교육부와 산업부는 지역 주도의 차세대 혁신기술 개발도 함께 지원한다. 지역에서도 바이오·배터리 등 첨단산업 비중이 증가하면서 지역 주도로 차세대 혁신기술을 직접 선정하고 개발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대응하여, 지역기업과 대학이 연합체(컨소시엄)을 구성해 지역별 전략산업에 맞춰 연구개발(R&D) 과제를 신청하면 산업부는 기업에, 교육부는 대학에 연구자금을 지원한다. 필요할 경우, 역량 있는 수도권 대학 등과의 협업도 가능하다. 올해 하반기에 연구개발(R&D) 과제 접수·평가를 거쳐 내년부터 예산지원을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부와 과기정통부는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 역량을 고도화하기 위해 지역 거점 국립대와 출연연구기관 간 인력양성·기술이전 등 지역혁신을 지원하는 학·연 협력 플랫폼 구축을 지원한다. 기 선정된 4개 플랫폼* 중심으로 각 지역 라이즈 계획과의 연계 및 지역 라이즈 센터와의 협업을 추진한다. 하반기에는 양 부처 간 공동기획연구를 통해 전문기관 간 역할 정립 등의 협업 확대방안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 (과기정통부) 2023년 4개 권역 플랫폼 선정: 충청권(이차전지), 호남·제주권(첨단 이동 수단), 동남권(수소), 대경·강원권(첨단 이동 수단, 인공지능)

?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내년부터 전면 도입되는 라이즈를 통해 대학이 지역 내 혁신기관 간 협업을 주도하는 구심점이 되어 지역의 혁신적 발전과 동반 성장을 선도해야 한다.”라고 말하며, “지역 내 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부처 정책을 칸막이 없이 연계하고, 지역 혁신이라는 공동 목표 실현을 위한 협업 사업을 발굴하는 등 물심양면으로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하였다.



(2024.08.22 교육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6710&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8-23&endDate=2024-08-23&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915 노사발전재단, 양성평등 조직문화 조성을 위한 적극적 실천 약속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48
2914 호주와 자유무역협정 발효 10주년 맞아 핵심광물·청정에너지 협력 한층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78
2913 2024년 「건설근로자 종합생활 실태조사 결과」발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394
2912 중소기업퇴직연금기금제도 ‘푸른씨앗’ 출범 2주년 맞아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374
2911 소규모 기업 근로자도 육아휴직 부담 없이 사용하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55
2910 도시가스용 바이오가스 직공급 30배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8
2909 최근 5년간 정보공개율 약 94% 수준 유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7
2908 해상사고 예방을 위한 최신 도선 시뮬레이터 도입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1
2907 2024년도 환경교육도시로 지자체 6곳 선정… 지역 기반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95
2906 국립공원공단, 2024 탄소중립 주간 운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73
2905 ‘2024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한-IEA 공동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9
2904 농촌소멸 대응 추진 전략 이행을 위한 2025 예산안 1조 9,494억원 반영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72
2903 신용·기술 보증 우대 지원으로 재난안전 사업체 재정부담 완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44
2902 ESG 역량 강화 위해 대기업과 중소협력사 한 팀으로 대응해야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35
2901 지속가능항공유(SAF) 활성화로 기후위기 대응과 신시장 선점을 향한 우리의 발걸음이 빨라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438
2900 새마을ODA 협업으로 아시아·아프리카 12개 개발도상국 빈곤 극복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53
2899 ‘지역금융포럼’ 지역금융의 지역투자 활성화 방안 찾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59
2898 유럽연합(EU) 탄소규제 대응 표준화를 위한 정부-산업계 간 소통 세미나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47
2897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상담창구 더욱 편리해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66
2896 철강·알루미늄을 시작으로 주요 업종 탄소중립 릴레이 소통행보 가속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