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영향평가로 바꾸어 나가는 우리의 일상

담당부서 : 여성가족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0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02

여성가족부는 51개 중앙행정기관과 260개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한 총 311개 기관에서 추진한 ‘2023년 성별영향평가 종합분석 결과’27일(화) 오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성별영향평가는 ?성별영향평가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개정 법령, 주요 계획 및 사업 등 정책을 수립?시행하는 과정에서 그 정책이 성평등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여 정책이 성평등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2023년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는 법령과 사업 등 총 27,843건 대해 성별영향평가를 실시했다.

 

전체 과제 중 7,501건의 개선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정책개선추진한 과제7,024(93.6%)으로, 이 중 3,789개선 완료(’24.5월말 기준)하여 정책개선 이행률* 전년 보다 4.2%p 높아졌다.

* 정책개선 이행률 : (’22) 49.7% → (’23) 53.9%

? 중앙행정기관(51개) : 1,797건의 과제에 대해 평가하여 131건 개선 추진, 106건 개선 완료

? 지방자치단체(260개) : 26,046건의 과제에 대해 평가하여 6,893건 개선 추진, 3,683건 개선 완료

 

2023년도 성별영향평가에 따른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주요 정책개선 사례를 살펴보면,

 

기획재정부 사립학교 직원의 육아휴직수당소득세비과세하는 한편, 근로자 본인 또는 배우자의 출산 및 6세 이하 자녀보육 관련 급여에 대한 비과세 한도(10만원→ 20만원)상향했으며,

 

- 국토교통부는 자산관리회사가 자산운용 전문인력육아휴직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영업인가 요건*에 미달하더라도 영업인가 취소대상에서 제외했다.

* 자산운용 전문인력(상근)을 영업인가 시 3명 이상, 영업인가를 받은 후 6개월 경과 시 5명 이상 확보

 

대전 대덕구는 자살사망자의 성별 특성을 분석하여 남성근로자가 많은 공단 등에 마음톡톡버스로 찾아가는 정신건강검사 및 심리상담을 제공하는 등 자살고위험군을 조기발굴하고 치료지원했고,

 

- 강원 철원군성별 특성 고려하여 관광시설 공공산후조리원?유아숲체험원의 공간을 조성하고, 야간보행 안전을 위한 가로등 밝기 개선 등을 반영한 ‘인구감소대응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그 밖에 통계청통계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통계등록부의 인구, 가구에 대한 기본 정보에 성별 통계를 구축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단체 등이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성별 통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여성가족부는 국무회의에 보고된 ‘2023년 성별영향평가 종합분석 결과보고서’를 8월 말 국회에 제출하고, 여성가족부 누리집(www.mogef.go.kr) 등을 통해 우수사례를 공유·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2024.08.27 여성가족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7459&pageIndex=17&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9-02&endDate=2024-09-02&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803 조직문화 심층 진단을 통한 중소기업 고용문화 개선 사례 공유 비회원 2024-08-16 298
2802 국립과천과학관, ‘탄소C그널 순회전시’를 위한 한국에너지공단과 업무협약 비회원 2024-08-16 288
2801 해상풍력 보급의 새로운 이정표 제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329
2800 해양수산부, 글로벌녹색성장기구(GGGI)와 탄소중립을 위해 협력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71
2799 폭염 대응 지원 예산, 건설·물류 중심으로 20억원 추가 투입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75
2798 폭염 속 외국인 근로자도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46
2797 사업장 대기총량제 유연하게 개선… 연도별 배출허용총량에서 일부 당겨 사용 가능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59
2796 (설명) 환경부는 지역주민, 전문가 등의 다양한 의견을 고려하여 ‘사후환경영향조사’ 관련 규제 완화에 대해 … 한국생산성본부 2024-08-16 235
2795 현장의 재난안전 문제 해결과 중소기업의 판로개척을 위한 재난안전 혁신제품 지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8 379
2794 폭염 대처상황 긴급 현장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8 315
2793 최저임금의 차질 없는 현장 안착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296
2792 취약부문의 시원한 여름나기를 위한 에너지복지 지원시설 성과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301
2791 탄소 고정 효과 있는 토양개량제, 바이오차 투입 농가 모집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306
2790 광화문-남대문 일대 일회용컵 회수 시범사업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303
2789 폭염 시에는 지자체 공사 현장 근로자 보호를 위해 작업이 일시정지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279
2788 어르신이 역량을 발휘하는 ‘고령자친화기업’ 2024년 2분기 15개 신규 선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288
2787 전기차 화재를 사전에 차단하고 화재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287
2786 환경부 장관, 수자원 전문가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300
2785 폭염기 노인 취약가구 방문해 생활 여건 점검 및 공적 소득지원 관련 의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303
2784 노동약자의 현장 애로에 답하는 법·제도 개선을 추진하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8-05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