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의 국제 평화·안보 증진 기여 방안 등 논의

담당부서 : 외교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27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02

외교부는 8.26() 한국유엔체제학회 학자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여 우리나라의 2024-25년 임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이사국 활동 현황을 평가하고, 글로벌 중추국가로서의 국제 평화·안보 기여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 한국유엔체제학회 참석자 : 최동주 숙명여대 교수(학회장), 주재우 경희대 교수, 최현진 경희대 교수, 문경연 전북대 교수, 임현묵 유네스코국제이해교육원장, 강우철 한국수출입은행 책임연구원

 

※ 외교부측 참석자 : 이경철 유엔 안보리 담당 고위대표, 유병석 국제기구·원자력국 협력관, 홍승인 국제법률국 심의관, 이현승 국제안보·사이버협력과장, 임효선 아프리카1과장

학계 인사들은 우리나라가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한반도 문제는 물론, 평화유지와 평화구축, 사이버안보, 기후와 안보, 여성·평화·안보 등을 포함한 주요 의제에서 안보리 활동에 적극 기여해오고 있는 점을 평가했다.

 

학계 인사들은 특히 지난 6월 우리나라가 안보리 의장국 수임 계기 북한인권에 관한 공식회의와 러시아-북한 간 무기거래에 관한 공식회의를 개최하여 국제사회에서 북한 문제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는 성과를 거두었을 뿐 아니라, 외교부 장관 주재 하에 사이버안보 공개토의를 개최하여 신흥 안보 위협에 대한 안보리 논의를 촉진하는 데 있어 리더십을 발휘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또한, 학계 인사들은 남은 안보리 이사국 임기 동안 우리나라가 국제평화와 안보 증진을 위해 내실있는 기여를 지속하도록 당부하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발전에 따른 신흥안보 위협 등에 관한 국제사회 논의에 있어 우리의 선도적 역할 수행 방안 등을 제언했다.


이번 간담회는 우리나라가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나갈 수 있도록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의견을 청취하고, 향후 안보리 이사국 활동 관련 정부-학계간 소통을 강화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2024.08.27 외교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7514&pageIndex=1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9-02&endDate=2024-09-02&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869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의 국제 평화·안보 증진 기여 방안 등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7
2868 폐업 소상공인의 재창업성공을 위한 현장 목소리 청취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8
2867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을 위해 3천 7백억 원 규모 특례 대출과 보증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29
2866 관계부처, 티메프 여행상품 소비자 피해 최소화 방안 모색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8
2865 국민연금, 미래세대의 목소리를 듣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4
2864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민·관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8
2863 유출지하수, 다용도로 활용한다… 수자원 대체 효과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10
2862 화학물질안전원-국립재난안전연구원, 지자체 화학사고 대피계획 강화 맞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4
2861 탄소규제 대응을 위한 탄소국경조정제 설명회 및 국제 동향 간담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5
2860 건강영향조사 지역주민에 대한 건강검진 지원사업 확대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77
2859 호남지역 재생에너지 보급·확대를 위해 지자체와 전력망 적기건설 방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521
2858 한미 연구기관, 야생동물 질병 관리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79
2857 KB부동산과의 협업을 통한 국유재산 정보의 국민 이용 활성화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83
2856 성별영향평가로 바꾸어 나가는 우리의 일상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1
2855 지역중소기업 혁신성장의 마중물 「지혁신선도기업육성(R&D)」 예비타탕성조사 면제 확정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86
2854 중기부, 지자체와 손잡고 규제자유특구 지역의 혁신클러스터로 키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97
2853 국내기업, 중동에 이어 호주에서 그린수소 사업 본격 진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42
2852 노사발전재단, 라오스·동티모르·케냐·요르단·도미니카 공화국 공무원 대상 글로벌 연수 성료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87
2851 ‘안전배달’ 위해 찾아가는 교육 시동 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166
2850 국립공원공단, 몽골 자매공원 10주년 맞아 보호지역 관리 협력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2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