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으로 화학재난 막는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31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06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원장 박봉균)은 민관 협력으로 화학재난을 예방하기 위한 화학테러 및 사고 건강영향조사 현장 적용성 평가 연찬회(워크숍)’95일 부산호메르스호텔(부산 수영구 소재)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화학재난으로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경우 초기 신속대응을 위한 기관 간 정보 공유 체계를 사전에 확립하고, 현장의 의료대응 협조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특히 1995년 일본 도쿄의 사린 지하철 테러사건*의 대응에 참여했던 일본 화학재난 전문가를 초청하여 실전 대응경험을 공유하고, 우리나라의 대응·수습 체계에 대한 발전방안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 지하철에 살포된 신경작용제(사린 가스)에 의해 13명의 사망자와 6,300여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사건으로, 테러물질 정보를 신속하게 의료기관에 공유하여 피해자에게 적합한 제독제를 빠르게 처치함으로써 더 큰 피해로 확대되지 않았다고 알려짐

 

이날 행사에서 화학물질안전원은 ‘국내 화학재난 대응 체계’를, 낙동강유역경청 울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에서는 ‘울산지역 화학 테러·사고 대응 사례를 공유한다. 국립중앙의료원에서는 ‘화학사고 측면의 국내 재난의료 대응’을, 국군의무사령부는 ‘의무사령부의 환자 대응능력 및 발전방안에 대한 제언’을 발표한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국립중앙의료원 등 재난대응 관계기관과 사고정보를 더욱 신속하게 공유하고 더 나아가 국군의무사령부(군병원 및 의무중대) 및 국군간호사관학교 등과도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재난에 의해 고농도의 화학물질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주변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영향조사를 실시하는 경우 현장기술을 지원하고, 신속하고 전문적인 건강영향조사를 위해 2015년 전국 5개 대학병원*과의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금까지 협력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 (총괄) 순천향대학교 부속 구미병원, (수도권) 연세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중부권) 단국대학교병원, (영남권) 울산대학교병원, (호남권)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박봉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예상치 못한 화학테러 및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고 유기적인 의료대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민관 협력 강화를 통해 화학재난 대응 전 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09.05 환경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9073&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9-06&endDate=2024-09-06&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09 글로벌 친환경 인증, 섬유·패션 산업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181
3008 대외 공급망 안정화에 민관이 머리 맞댄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09
3007 중기부, 법무부-행안부-농식품부와 함께 지방소멸 대응 협력체계 본격 시행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20
3006 경영혁신 가속화로 새마을금고와 중앙회 투명성·안정성 강화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170
3005 아프리카에 재난위험경감전략 전수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192
3004 2023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평가 연차보고서 발간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318
3003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7년만에 갱신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16
3002 탄소중립포인트, 모바일 앱 '카본페이'로 편리하게 모으세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158
3001 환경부-포장·배달 업계, 일회용 플라스틱 배달용기 10% 감축 노력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428
3000 민·당·정, 한국형 농업인 소득·경영 안전망 구축을 위한 종합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04
2999 환경영향평가법 등 5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28
2998 전년 대비 공시기업(+170개), 공시근로자(+174천명) 공시근로자 중 소속 근로자(+177천명) 증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00
2997 버려지는 어구 줄이고, 회수는 최대로 ‘27년부터 ’바닷속 폐어구 발생≤수거‘목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22
2996 변화하는 재난안전 환경에 맞춰 안전시스템 지속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99
2995 대규모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개발 위해 정부-산업계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77
2994 3국 환경장관, 기후 · 플라스틱 등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63
2993 폐기물의 자원이용 활성화와 현장 여건을 반영한 행정처분 합리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30
2992 수열에너지 활성화 위해 산업계와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98
2991 납화합물·염화메틸렌 제한물질 지정, 백석면은 전면 사용금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90
2990 친환경 현수막 활성화 조례 제정, 폐현수막 건축자재로 활용한 작은도서관 설립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