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시대의 대기질 관리, 국제사회 협력으로 대응 모색하다

담당부서 : 환경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68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10

환경부 소속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센터장 성지원)는 제5회 푸른 하늘의 날(97)을 기념하는 '2024 국제 학술토론회(심포지엄)'910일 앰배서더서울풀만(서울 중구 소재)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해에 이어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와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가 기후변화와 대기질 관리를 주제로 공동으로 개최한다.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는 올해 3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가 운영하는 동북아 청정대기 파트너십(NEACAP) 내 기술센터*로 지정되는 등 국제기구와 협력 기반을 다져왔다.

* 동북아 환경협력 프로그램(우리나라,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북한 등 6개국)의 과학기술정책위원회 회의 참석 및 과학기술정책위원회에서 작성한 각국 정책보고서 자문(’24.9.23~9.24)

 

대기오염은 광역적 문제로서 어느 한 국가만의 노력으로 개선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주변국과 대기질 현황, 대기오염 원인, 대기질 개선 성과 등을 공유하며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번 행사는 △기후변화와 대기질 관리, △대기질 정책의 감축 목표, △대기질 개선의 영향 등 총 3부로 구성됐다. 1부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태국 등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각국 대기질 변화와 관리 방안을 알아본다.

 

2부에서는 우리나라, 중국, 프랑스 등에서 시행하는 대기질 개선 정책의 감축 목표와 성과 사례를 공유한다. 3부는 국내를 포함해 미국, 유럽 등에서 기후변화 대응과 대기질 개선이 지역 또는 국가에 미치는 영향을 폭넓게 다룬다.

 

이날 행사에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부탄, 스리랑카, 몰디브, 이란 등 14개국 대기 분야 정부 관계자가 참석할 예정이다.

 

이 행사 이후 환경부 소속·산하기관(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공단)도 참여하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의 청정대기 관리 연찬회(워크숍* Clean Air Week, 9.9∼13)가 신라스테이(서울 마포구 소재)에서 열린다.

* 대기오염 관련 아태지역 국가의 협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대기질 관리, 효과적인 정책 결정 방법 등을 공유

?

성지원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장은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열린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 고위급 회의(SOM)에서 이번 국제 학술토론회의 정례화가 결정되었다”라며, “협력과 교류를 통해 일상화된 기후변화 속에서 과학적인 대기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겠다라고 밝혔다.



(2024.09.09 환경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49762&pageIndex=2&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9-10&endDate=2024-09-10&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997 버려지는 어구 줄이고, 회수는 최대로 ‘27년부터 ’바닷속 폐어구 발생≤수거‘목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19
2996 변화하는 재난안전 환경에 맞춰 안전시스템 지속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97
2995 대규모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개발 위해 정부-산업계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73
2994 3국 환경장관, 기후 · 플라스틱 등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62
2993 폐기물의 자원이용 활성화와 현장 여건을 반영한 행정처분 합리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29
2992 수열에너지 활성화 위해 산업계와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97
2991 납화합물·염화메틸렌 제한물질 지정, 백석면은 전면 사용금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90
2990 친환경 현수막 활성화 조례 제정, 폐현수막 건축자재로 활용한 작은도서관 설립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303
2989 친환경 현수막 활성화 조례 제정, 폐현수막 건축자재로 활용한 작은도서관 설립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34
2988 디지털플랫폼정부 국제협력 전문가 양성으로 우리기업 해외진출 적극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13
2987 일·가정 양립, 기업이 앞장서고 정부가 함께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64
2986 농촌체류형 쉼터·복합단지 도입으로 4도3촌 시대 실현 ‘눈앞’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25
2985 기술X금융, 민·관 한팀의 범국가 탄소중립 사업 「넷제로 챌린지X」 출범 - “기술과 혁신을 통한 위기극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81
2984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센터’ 개소로 인권침해 예방 및 권익 보호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60
2983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활성화 시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72
2982 국제기구 협력 통해 11개 개도국 디지털 전환 역량강화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07
2981 전자제품 재활용은 늘리고 비용은 줄이고… ‘생산자책임재활용’ 전 품목 확대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09-27 343
2980 민관 협력을 통한 위조상품 강력 대응으로 케이-푸드(K-Food) 수출 확대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27 223
2979 농림위성으로 농작물 관측과 기후위기 대응 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27 176
2978 전기사고 발생 예방을 위한 전기설비 등 700개소의 안전관리업무 실태조사 실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27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