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하는 재난안전 환경에 맞춰 안전시스템 지속 개선

담당부서 : 행정안전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20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09-30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9월 26일(목)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및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제23차 추진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 (참석) 행안·농식품·환경·국토부, 소방·산림·기상청, 경북도, 경기 성남·시흥시, 전북도, 학계 및 연구기관 전문가 등

 

정부는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23.1월 수립)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23.12월 수립)이 차질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지속 점검*하고 있다.

 

* 관계기관 점검회의 개최 : 2314/ 249

 

이번 회의에서는 각 대책에 대한 추진 성과와 향후 계획을 점검하고, 지자체 우수사례 등을 공유했다.



대책별 주요 추진 성과는 다음과 같다.

 

<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

 

인파 안전관리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현장 정착을 위해 재난안전 담당자 교육을 실시했다.

 

‘다중운집인파사고’를 사회재난 유형에 추가('24.1월)하고, 지자체에 다중의 참여가 예상되나 주최자 없는 지역축제에 대해서도 안전관리 의무를 부여('24.3월)했다.

 

관계기관의 정책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재난관리주관기관 대상 정책설명회, 지역축제 담당자 교육 등을 실시했다.

?


ICT를 활용한 인파관리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했다.

 

통신사 기지국 접속 정보를 활용해 인파밀집도를 모니터링하는 인파관리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중점 관리지역 100여 곳을 선정·운영하고 있다.

 

경찰과 소방의 긴급신고 공동대응 시 현장 확인을 의무화하고, 소방청과 경찰청 상황실에 상호 협력관*을 파견해 공동대응 체계를 강화했다.

 

* 소방?경찰(본청) 협력관 파견('23년) / 시도 소방본부?지방경찰청('24.12.~'25.1월 예정)

 

소방에서는 신속한 인명구조를 위해 구급지휘팀을 운영하고, 현장지휘관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휘역량강화센터’ 구축, ‘자격인증 교육 및 평가제도’를 도입했다.

 

아울러, 재난안전통신망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실전형 교육과 기관 간 공동대응 훈련을 강화했으며, 그 결과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6월 기준) ’22년 368시간 → ’23년 1,332시간(262%↑) → ’24년 2,347시간(76%↑)

 

<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

산사태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산사태취약지역 사전조사 대상을 확대(2.5만 개소 → 4.5만 개소)하고, ?부처별 관리하던 사면정보 200만 개를 통합했으며, ?대피시간 확보를 위해 산사태 예측정보에 ‘예비경보’ 단계도 신설했다.

 

고속도로·국도 도로비탈면 붕괴사고 예방을 위해 ?고위험 비탈면을 집중 관리하고, ?비탈면 IOT계측시스템을 설치해 위험징후를 실시간 모니터링한다.


지하차도 인명피해 방지를 위해 ?지하차도 통제기준(최대침수심 15㎝ 등)을마련하고, ?침수 우려 지하차도에 대해서는 현장책임자 4인을 지정해 안전관리를 강화했으며,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 설치 대상을 확대했다. 

도시침수 피해 방지를 위해 ?배수영향구간 정비 등 재해예방사업을 확대 하고, ?저수지 준설과 홍수조절능력을 증대했으며, ?상습 침수 농지의 배수시설을 확충했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사고 재발 방지와 피해 최소화를 위해 마련한 정부 대책이 현장에 안착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고 하면서,

“국민의 안전한 일상을 위해, 변화하는 재난안전 환경에 맞춰 국가 안전시스템을 보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4.09.26 행정안전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52401&pageIndex=9&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09-30&endDate=2024-09-30&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2943 석탄시대를 지나 미래를 준비하는 장성광업소 방문 한국생산성본부 2024-09-10 230
2942 국표원, 장애인기업 지원에 힘 보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75
2941 친환경선박 건조비용의 최대 30%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70
2940 전자제품 폐배터리 안전하게 옮깁니다… 운반·보관 기기 현장 시연회 개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57
2939 과학기술을 통해 기후위기를 극복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303
2938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 가속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87
2937 한-일, 무탄소에너지 활용 촉진 공조 시동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52
2936 민관 협력으로 화학재난 막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44
2935 새출발 희망 소상공인도, 일자리 찾는 청년도 국민취업지원제도가 함께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329
2934 제5회 ‘푸른 하늘의 날’ 정부기념식 개최, 맑은 공기 위해 나부터 지금 실천해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58
2933 에너지 효율혁신/절약, 30대 에너지 다소비 기업이 앞장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534
2932 청정수소, 글로벌 협력과 기술 공유의 장 열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23
2931 무탄소에너지(CFE) 글로벌 확산 위해 국내외 전문가 한자리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27
2930 한국고용정보원, 취약계층 청년의 사회 진출 돕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45
2929 한-불가리아, 원전 등 에너지 분야 협력 확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64
2928 미국 등 주요국과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현황 및 쟁점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88
2927 녹색산업 주요 해외 발주처·구매처 초청, 국내기업과 수출 상담의 장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12
2926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 개선… 배출권 시장은 활짝 열고, 과잉할당은 줄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313
2925 해수부, 한-영 해양생태계 보전 협력 강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28
2924 고위관리자 교육을 통한 재난대처실전 지휘역량 제고 한국생산성본부 2024-09-06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