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안전 증진과 탄소중립 실현 방안 모색

담당부서 : 교육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212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0-11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안전 증진과 탄소중립 실현을 주제로 1010(),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제4차 사회정책 공개토론회(포럼)를 개최한다.


사회정책 공개토론회는 ‘2024년 사회정책 방향에서 제시된 핵심 과제*대한 정책 대안을 공론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올해 총 5회에 걸쳐 진행된다.

* △인구절벽 완화 및 인적자원 경쟁력 강화,?△지역 성장동력 창출 및 균형발전, △디지털 적응력 강화 및 보편적 접근권 보장, △건강한 삶을 위한 안전 증진과 환경 보전, △연대와 성장이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사회


지난 제3차 토론회까지는 지방소멸 대응과 아동?청(소)년?노인 등 생애 전 주기별 정책 사각지대 해소 등 사회난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번 4 공개토론회에서는 더 좋은 사회로 도약하고 국민의 안전과 건강한 삶을 보장하는 자연?사회 재난관리 및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에 대해 모색한다.


먼저, 박상진 부연구위원(한국행정연구원)이 급격한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뿐만 아니라 대형 복합재난* 및 전기차?공장 배터리 화재 등 새로운 재난 유형을 제시한다. 또한 신속하게 재난을 예측·대응할 수 있도록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재난 모의실험(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기술 도입을 제안한다.

* 여러 종류의 재난이 동시 발생 또는 하나의 재난이 다른 재난을 유발(: 지진, 홍수 등 자연재해가 통신망 마비, 산업 사고, 화재를 유발)


이어 이재혁 연구위원(한국환경연구원)은 신재생 에너지, 자원 순환 등 산업구조를 전환하여 탄소중립을 실현한 미국·스웨덴 등 해외 사례를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자연을 보호하면서도 신산업 분야의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주제 발표 이후에는 김종훈 원장(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산업기술혁신연구원), 오창환 교수(전북대), 이동규 교수(동아대)가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혁신 방안 및 재난관리 기술의 고도화에 대해 심도 있게 토론한다.


이번 공개 토론회는 교육부 유튜브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되므로 관심이 있는 국민은 누구나 시청할 수 있다.

* 교육부 유튜브(www.youtube.com/user/OURMOETV) 및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유튜브(www.youtube.com/@KRIVET)

?

김영곤 교육부 차관보는 “변화하는 재난환경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이다.”라고 말하며, “국민의 소중한 안전과 건강을 위해 재난관리 시스템을 강화하고, 자라나는 미래세대를 위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4.10.09 교육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54289&pageIndex=5&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10-11&endDate=2024-10-11&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01 환경부-포장·배달 업계, 일회용 플라스틱 배달용기 10% 감축 노력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423
3000 민·당·정, 한국형 농업인 소득·경영 안전망 구축을 위한 종합대책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10-04 200
2999 환경영향평가법 등 5개 환경법안 국회 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27
2998 전년 대비 공시기업(+170개), 공시근로자(+174천명) 공시근로자 중 소속 근로자(+177천명) 증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00
2997 버려지는 어구 줄이고, 회수는 최대로 ‘27년부터 ’바닷속 폐어구 발생≤수거‘목표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19
2996 변화하는 재난안전 환경에 맞춰 안전시스템 지속 개선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97
2995 대규모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개발 위해 정부-산업계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73
2994 3국 환경장관, 기후 · 플라스틱 등 환경현안 논의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62
2993 폐기물의 자원이용 활성화와 현장 여건을 반영한 행정처분 합리화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28
2992 수열에너지 활성화 위해 산업계와 머리 맞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97
2991 납화합물·염화메틸렌 제한물질 지정, 백석면은 전면 사용금지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90
2990 친환경 현수막 활성화 조례 제정, 폐현수막 건축자재로 활용한 작은도서관 설립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303
2989 친환경 현수막 활성화 조례 제정, 폐현수막 건축자재로 활용한 작은도서관 설립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34
2988 디지털플랫폼정부 국제협력 전문가 양성으로 우리기업 해외진출 적극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13
2987 일·가정 양립, 기업이 앞장서고 정부가 함께 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64
2986 농촌체류형 쉼터·복합단지 도입으로 4도3촌 시대 실현 ‘눈앞’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25
2985 기술X금융, 민·관 한팀의 범국가 탄소중립 사업 「넷제로 챌린지X」 출범 - “기술과 혁신을 통한 위기극복과…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81
2984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센터’ 개소로 인권침해 예방 및 권익 보호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60
2983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활성화 시킨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172
2982 국제기구 협력 통해 11개 개도국 디지털 전환 역량강화 지원 한국생산성본부 2024-09-30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