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해외진출 활성화 본격 추진

담당부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생산성본부
  • 0
  • 174
  • 0
  • 0
  • Print
  • 상태: 노출
  • 12-0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 11월 28일(목) 서울에서 국내 기후변화대응 기술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기후기술협력 협의체(이하 ‘협의체’)」 회의를 개최하였다. 협의체는 국내 기관이 보유한 우수한 기후변화대응 기술(이하 ‘기후기술’)의 개도국 진출을 위한 후보 기술을 발굴하고, 기술의 현지 진출 사업의 공동 기획을 목적으로 운영된다.

 

이날 회의에는 기후기술 국제협력 전담기관인 국가녹색기술연구소와 기술보유 기관인 출연(연), 국가 간 협력 의사를 중개하는 국제기구(기술기술센터네트워크*>, 글로벌 녹색 성장기구**>) 및 한국국제협력단(KOICA), 세계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등 재정 지원기관이 참석하여 과기정통부가 지난 10년간 지원해 온 개도국 기술지원 사업의 대표 성과를 공유하고, 후속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 (Climate Technology Centre&Network,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 유엔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국가 간 기술협력 이행을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덴마크 코펜하겐 소재)

** (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글로벌녹색성장기구) 개도국의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국제기구(서울 정동 소재)

 

과기정통부의 개도국 기술지원 사업 대표사례로는 라오스 ‘녹색대중교통체계 실증사업’과 세르비아 ‘사물인터넷 기반 지역난방 지능형 점검 체계’ 등이 발표되었다.

라오스 ‘녹색대중교통체계 실증사업’은 2022년 과기정통부가 지원한 국형 대중교통체계 기술지원 사업으로, 국내 연구기관(한국교통대학교)이 현지 교통망 환경을 분석하고 라오스 정부와 녹색 대중교통체계 도입을 위한 국가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라오스 정부는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간선급행버스체계(BRT, Bus Rapid Transit), 버스정보관리체계(BIMS, Bus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과 같은 한국의 대중교통 서비스 실증을 추진할 예정이다.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시(市)의 ‘사물인터넷 기반 지역난방 지응형 점검 체계’는 국내 연구소(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와 기업(케빈랩/지역난방공사)이 현지의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분석하여 겨울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10%나 절감한 사례다. 세르비아 정부는 국내 연구소와 기업이 수립한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지역난방 열공급을 위한 중장기 이행안’을 바탕으로 베오그라드시 에너지 관리 체계 구축하기 위한 후속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대표사례를 공유한 한국국제협력단, 세계은행 등 재정 지원기관들은 우리 기술이 현지 사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기후기술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참여기관들은 개도국 대상 기술협력 사업의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기후기술 국제협력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과기정통부 이창선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국가 간 기술협력이 필수적인 만큼, 대한민국은 기후 선도국으로서 개도국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

“국내 기술의 해외진출 수요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기술의 현지 실증을 지원할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에 기여를 확대하고, 신시장 창출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4.11.2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62862&pageIndex=14&repCodeType=%EC%A0%95%EB%B6%80%EB%B6%80%EC%B2%98&repCode=A00007,A00002,A00033,A00014,A00031,A00009,A00008,A00015,A00012,A00019,A00001,A00013,A00023,A00032&startDate=2023-12-04&endDate=2024-12-04&srchWord=&period=year

ESG 정책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3065 폐기물 처리업 사업장 안전실태 현장 점검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31
3064 가상현실 안전교육·훈련으로 민간 화학사고 예방·대응 역량 높인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160
3063 재난안전 연구개발로 디지털 복제(디지털트윈) 기반지하공동구 재난관리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구현 한국생산성본부 2024-11-20 230
3062 바이오가스 생산목표제 운영기준 마련 한국생산성본부 2024-11-12 193
3061 녹색인프라 해외수출 지원펀드 1호 조성, 연내 300억 원 투자 추진 한국생산성본부 2024-11-12 494
3060 민관 힘모아 국제사회 자연자본 공시 대응 전략 짠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12 234
3059 우리나라 환경성적표지 인증 제품, 유럽 시장에서도 인정받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12 226
3058 소똥을 발전소 연료로 사용, 자동차 110만대 분 온실가스 감축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12 201
3057 저탄소 농산물 쿨(COOL)한 소비를 위해 농식품부와 6개 유통사 손을 맞잡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12 202
3056 소상공인 배달용 내연이륜차, 전기이륜차로 전환 가속화···친환경 배달 문화 정착 한국생산성본부 2024-11-12 158
3055 화학업계, 무재해를 위한 안전보건 상생협력 확산! 한국생산성본부 2024-11-12 156
3054 건강 마일리지 제도, 휴가지 원격 근무… ‘일과 여가 조화’ 보장하는 여가친화기업 168개사 인증 한국생산성본부 2024-11-12 211
3053 수소특화단지로 동해·삼척과 포항을 지정하여, 국내 수소산업의 성장거점으로 육성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06 250
3052 수소 기반 친환경 물류 생태계 강화로 수송부문 탄소중립 달성에 기여 한국생산성본부 2024-11-06 230
3051 탄녹위, ‘온실가스 감축’ 점검 결과 발표…2년 연속 배출량 감소, 목표대비 6.5% 초과 감축 한국생산성본부 2024-11-06 195
3050 친환경 동력원 실증 선박, 바다에 처음 띄운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06 161
3049 불법 노조 전임자 급여 지급 관행, 법과 원칙에 따라 바로 잡는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06 178
3048 지방공무원, 마음 편히 아이 키우게 된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06 228
3047 첨단재생의료에 대한 환자 접근성은 향상되고, 안전관리는 강화됩니다 한국생산성본부 2024-11-06 142
3046 농촌체류형 쉼터 도입 등 합리적인 농지 이용을 위한 농지제도 개편 한국생산성본부 2024-11-06 206